설치 및 활용 QnA

xoduddk123의 이미지

dd명령어로 img를 write할때 빈공간이 똑같으면 그만큼 write되는게 빨라지나요 ?? ?

안녕하세요.

dd명령어로 이미지를 write할때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dd명령어로 4G용량의 이미지를 특정 장치(/dev/sda)에 write한다고 가정하였습니다.

그럼 여기서 기존의 /dev/sda는 헥사로 이미지 덤프를 떠서보면 기존에 전부다 000000000000인 공간이라고 가정을하면

dd명령어로 써줄 4G이미지중 000000000000인 공간이 많으면 아닐때보다 dd명령어로 write해줄때의 속도가 빨라질까요 ? ? ? ?

xoduddk123의 이미지

tar로 특정압축된파일을 특정디렉터리에 압축을 해제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tar 을 이용해서 압축해제쉘스크립트를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AAA.tar.gz에는 총 3개의 파일이 압축되어져있습니다.
[ aaa.txt bbb.txt ccc.txt ]

AAA.tar.gz에는 이렇게 총 3개의 파일이 압축되어져있습니다.

여기에서 AAA.tar.gz에 압축되어있는 aaa.txt파일만 압축을 해제하기위해서

# tar xvzfp AAA.tar.gz aaa.txt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AAA.tar.gz의 압축해제될 디렉터리를 설정하기위하여

# tar xvzf AAA.tar.gz -C /mnt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2가지를 혼용하여 AAA.tar.gz라는 압축파일에서 aaa.txt라는 파일만 선택적으로 압축해제하여서 /mnt라는 폴더에다가 압축을 해제하고싶어서

# tar xvzfp AAA.tar.gz aaa.txt -C /mnt 이렇게 쉘명령어를 만들어보았는데 생각처럼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 ? ?

wetjean의 이미지

텔넷 접속시 리눅스 명령어 안보임

안녕하세요. 간만에 질문 올립니다.

리눅스 PC 에 텔넷으로 접속후 명령어가 보이지 않네요. 작동은 합니다.
그리고 탭이 안맞다고 할까요. 프롬프트가 정렬이 되지 않고 계속 어긋납니다.
프롬프트 상태에서 엔터를 칠때마다 오른쪽으로 이동되네요.

테라텀에서나 cmd 창 열어서 실행할때나 동일합니다.

byungchigi의 이미지

Conky 기본 설정 값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Conky를 설치하고 터미널에 Conky를 쳤을때 나오는 검은 화면의 기본 설정 값이 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다른 떠다니는 코드를 수정하려니 사람마다 다 다른거 같아서;
kldp 위키에 있는 .gz 파일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실제 정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유오픈소스 투표 플랫폼 있을까요?

실제 정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투표 플랫폼 있을까요?

언어 번역하고 국내 휴대폰 인증 기능만 붙이면 국내 정치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안정적인 자유오픈소스 투표 플랫폼 있을까요?

추천해주세요.

thinga3의 이미지

맥10.9 메버릭스 사용중인데 libc6-dev-i386을 깔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0.9를 사용중인데
컴퓨터에 깔아야 하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 프로그램이 32비트만 지원이 되서 libc6-dev-i386이 필요한데
이를 찾을 방도도 없어서 글을 써서 올립니다.

apt-get, fink, port, brew로 검색을 해도 나오질 않는건지 제가 못보는건지 그저 답답하기만 하네요.
혹시나 이에 대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ltkddyd의 이미지

외장하드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나서부터 윈도우 부팅이 안됩니다.

컴퓨터 내장하드에 이미 윈도우 8이 설치돼 있는 상태에서 리눅스를 외장하드에 설치했습니다. 다 설치하고 난 뒤에 외장하드를 빼고 부팅을 해봤는데 윈도우 8이 부팅이 안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외장하드를 유에서비 케이블로 연결해서 부팅할 때에는 grub 메뉴가 뜨길래 윈도우 부팅을 선택했더니 윈도우 8 부팅이 됩니다. 아무래도 MBR의 부트 레코드 문제인 것으로 보이는데 usb 외장하드 연결하지 않고 부팅을 어떻게 하나요? 집에 윈도우 8 부팅 시디는 없습니다. 윈도우 8 부팅 시디 없이 윈도우 8로 부팅을 할 수 있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mechinsae의 이미지

DNS 관련 문의 드립니다.

이번에 리눅스로 내부 DNS를 구축하였는데요

구축한 DNS를 다른 PC (리눅스나 윈도우)에서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리눅스에서는 nslookup이나 등록한 호스트, URL 다 접속이 가능한데 다른 PC에서 구축한 DNS 사용시에는 리눅스에서 처럼 적용이 되지 않네요

따로 설정을 해줘야 하는것이 있나요?

혹시 이런 경험을 하신분이나 해결 방법을 아시는분은 알려주세요

hmk_sd의 이미지

리눅스 우분투에서 vbox에서 게임하기

제가 리눅스를 쓰고잇어서 vbox로 게엠을 할려고 함니다.

그런데 실행을하면 패치까지는되는데 그뒤론 실행후 바러 종료가 됨니다.
저는 vbox에 windows7 을쓰고잇고요

게임가드 를 쓰고잇는거같은데 이거 해결 방법은없나여?????

Vb ware 에사는 가능하다는데 리눅스에서 vm사용이 힘들어서 ㅜㅜㅜ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