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ak-88의 이미지

리눅스 레드핫에 세그멘테이션 오류입니다.

리눅스 레드핫 9.0 사용중입니다.
그러던 중 팀뷰어로 정전시 종료시키려
설치하던 중 세그멘테이션 오류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껐다 텔넷을 다시 켜서 접속하려하니
텔넷이 튕기고 안들어가집니다..
그래서 서버컴퓨터에 직접가서 명령어 su나 이런걸 쳐보면
????????? ????
어떤걸쳐도 이렇게 나옵니다
root 계정으로도 안되고
껏다키자니 홈페이지 운영중이어서 배너를 su권한으로
다시 살리는 시스템이라 안되면 항의들어올까봐 하지도 못하겠고 난감합니다ㅠㅠ

xoduddk123의 이미지

adduser때문에 perl을 설치하였는데 배보다 배꼽이 더큽니다;; 용량문제;;

안녕하세요

파일시스템에 adduser를 넣었습니다

크로스컴파일 하려고 하니 기냥 perl스크립트였습니다

그런데 이 adduser가 perl스크립트여서 perl을 크로스컴파일 해주었습니다.

그런데 adduser라는 명령어는 기냥 단순히 perl스크립트일뿐인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크로스컴파일한 perl용량이 어마무시합니다.

adduser 스크립트는 36K인데

perl때문에 넣어준 /usr/lib/perl 용량이 30M나 됩니다.

그냥 원래 이런것인가요 ??

아니면 더줄일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인가요 ? ? ?

kimchupa의 이미지

미디어 위키 MS Active Directory(LDAP) 연동 해결부탁드립니다.

미이어 위키를 MS Active Directory와 연동하여, 로그인을 하려고 하는데, 로그인이 계속 안되고 있네요...
혹시 보시고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LocalSettings.php에 LDAP인증부분을 작성하였는데,
로그인시 로그인 실패가 되며, 로그에는 "User DN is blank" 라고 뜨네요...

babbab의 이미지

새로운 UEFI에서 윈도우8.[1]과 리눅스가 dual boot 설치에 필요한 rEFInd

이것은 slackware linux 배포판을 만든 patrick volkerding이 올린 글인데
UEFI에서 windows 8 아니면 windows 8.1과 linux를 dual boot설치 하는 방법을 두리뭉실하게 올린 내용 링크입니다.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slackware-14/slackware-on-uefi-4175448945/

아래 링크는 rEFInd라는 boot manager 프로그램인데 제가 slackware linux와 windows 8.1을 dual boot 하는데
씁니다.

http://www.rodsbooks.com/refind/

dvvbstation의 이미지

CentOS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려고 합니다.

리눅스를 최소설치 해서 그런지 기본적인 명령어라고 생각했던
create 가 안되네요.
유저를 생성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요?

xoduddk123의 이미지

상용 컴파일러를 사용하면 tar같은 명령어도 더 빨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임베디드 ARM 환경에서 tar명령어로 240M정도 용량의 압축파일을 해제하고있습니다.

파일의 총갯수는 2만개 정도 됩니다.

여기서 압축을 풀떄 사용하는 tar명령어를 툴체인을 다운받아서 크로스컴파일한 tar 명령어를 사용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압축을해제하다보면 시간이 거의 7분가량 걸리는데

이러한 tar 명령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크로스컴파일러 툴체인말고

상용 컴파일러를사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더빠르게할수있나요 ??

이러한 작업을 더 빠르게 할수있따면 몇%나 성능의 향상을 가질수있나요 ??

jic5760의 이미지

SELinux MySQL DataDir 변경 문제

mysql datadir을 /var/lib/mysql에서 /mnt/DataStorage/mysql/data 으로 바꿀려고 하는데 자꾸 오류가 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mysql error :

dvvbstation의 이미지

CentOS 설치했는데 네트워크 설정 질문합니다.

리눅스 초짜가 다짜고짜 리눅스 설치하다 일 냈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이 없어 무지몽매함을 이해해주십시오.
요지는 가상머신에 리눅스를 깔았는데 공유기 ip대역에 들어오지도 않고 외부와 네트워킹이 되지 않습니다.

윈7 사용중인데 Vmplayer를 사용하여 CentOS를 설치하였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윈7에서 잡혀있는 랜카드]
1.로컬영역연결
IPV4 192.168.10.3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10.1

2.VMware Network Adapter VMnet1
192.168.139.1
255.255.255.0

3.VMware Network Adapter VMnet8
192.168.137.1
255.255.255.0

pydoop의 이미지

데비안 기존 jdk 삭제방법에 대하여 여쭤보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에 발 담근지 얼마 되지않은 리눅스새내기 입니다.

데비안을 설치! JDK를 깔려고 확인하니 이미 깔려 있더군요! 오예!
간단한 실험을 위해 HelloWorld 를 작성하고 컴파일 하려는 순간 javac 를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java -version 은 또 되더군요!

환경변수가 잘못 설정되었나 싶어 "~/.bashrc", "~/.profile", "/etc/profile" 에서 확인해 보았지만 없었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모르는 다른 방법이 있나 봅니다. 검색해보니 "which"를 이용하여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하기에
"which java" 를 쳤더니 "/usr/bin/java"가 나오긴 했습니다만.. 이 녀석은 무엇인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환경변수 같은 것일까요,,,?

기존 jdk와 그와 관련된 모든것을 삭제시켜버릴 방법이 없을까요? 설치방식이 아닌 포터블 JDK를 통해 직접 설정하고
쓰고 싶습니다(하둡 노드 설정 때문입니다). 초보지만 너그러이 봐주시고.. 도와주세요 !! 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