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rymp의 이미지

linux 서버 hang 상태 어떻게 분석해야 하나요?

제가 관리하는 리눅스 서버가 hang 이 발생했습니다. (리눅스 2.6 32bit / 32GB / 16core / No swap)

대부분의 daemon 들이 "D" uninterruptable sleep 상태에 빠졌습니다.

alloc_page 나 ex3 파일시스템 관련 call 에서 멈추어 있더군요

kernel 의 buddy info 를 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gusim52의 이미지

RAID 구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 드릴께요.
RAID 내부 컨트롤러 PERC H71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RAID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1인 입니다.
고수님들의 도움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3.5인치 500GB 하드는 5개 있습니다.
2.5인치 SSD 1개 있습니다.

첫번째 질문, 2.5인치 SSD 에는 OS 를 설치하고, 나머지 3.5인치 5개는 기존 자료를 보존하면서 d.e.f.g.h 각각 잡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인식이 되지 않네요.
이렇게 구성은 되지 않을까요?

두번째 질문, 기존 3.5인치 5개에 보존되어 있는 자료(2TB)를 어떻게 하면 될까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ubly.l의 이미지

Oracle Listener가 DNS Server 죽었을 경우, 죽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DNS Server 작업간 Service가 Down된 상태로 유지되었는데 Oracle Listener가 죽었습니다. -_-;
이럴 수도 있을까요?

오비이락인지 아닌지 모르겠어요.

rudolph0724의 이미지

버추얼박스 - Mac OSX 에서 추출한 ovf 파일 이미지를 Window 버추얼박스에서 추가 할수있는 방법없나요?

안녕하세요 질문 있습니다

저는 맥에서 버추얼박스를 이용하여 centos 위에 개발 환경 구축한 다음 ovf로 추출하여 필요할 경우 추출한 ovf 파일을 가져와 사용하고 있습니다.

맥에서 추출한 ovf가 맥에서는 추가 가능한데...

윈도에서는 맥에서 추출한 ovf 파일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없더라고요.. (추가 중에 에러가... )

버추얼박스 - Mac OSX에서 추출한 ovf 파일 이미지를 Window 버추얼박스에서 추가 가져올 수 없나요?

감사합니다

E_Dn의 이미지

USB 디바이스 드라이버 관련(?) 질문!!

무선마우스 USB수신기에 데이터를 송신해서 마우스가 하는 역할('마우스 포인터 움직이기' '클릭' 등의 역할) 외의 부분에 관여할 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혹시 디바이스 드라이버에서 마우스에서 하는 역할의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게 되어서 불가능 하나요?

cleansugar의 이미지

루분투 저절로 읽기 전용으로 리마운트 되는 것 끄는 법좀 알려주세요

루분투 최신 버전에서 트랜스밋숀으로 토런트들을 받다가 몇 시간 지나면 저절로 읽기 전용으로 리마운트 됩니다.

아마 하드에 배드섹터가 있나 봅니다.

다시 부팅하면 저절로 fsck를 하라며 키를 누르라고 나옵니다.

문제는 fstab에서 해당하는 가상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옵션을 defaults로 설정해서 errors=remount,ro 이런 게 없습니다.

그리고 dumpe2fs에서 해당 가상 파일시스템을 보면 디스크 에러시 continue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저절로 리마운트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sck -cc로 검사해도 배드섹터 없다고 나옵니다만 우분투 디스크 뷰어 프로그램으로 보면 배드섹터가 이미 있다고 나옵니다.

루분투에서 배드섹터가 있어도 읽기전용으로 자동 리마운트되지 않게 하는 법이 있을까요?

gildong17778의 이미지

-

kalid11의 이미지

CentOS 6.5 vncpasswd관련해서 여쭤봅니다

다름이 아니라 오늘 처음 centOS를 써보는데요, 계정을 루트계정 포함 5개를 만들어서 나눠쓰고 있습니다,
근데 제가 vnc를 써서 GUI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했는데
터미널에서 vncapasswd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서 지정을하면
각계정에 지정하는 vncpasswd a (단 여기서 a는 계정명)이렇게 하고나서 계정별로 비밀번호를 걸어주어도 그냥 vncpasswd라고 쓴 것에 해당되는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모든 계정에 들어갈 수 있더군요
심지어 자기가 따로 지정해놓은 비밀번호는 먹히지도 않습니다;

계정마다 패스워드를 다르게 해주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될까요

parkon의 이미지

우분투 업그레이드 하다 완전 망한것 같네요 ...

자꾸 게시판을 어지럽혀서 죄송합니다.

우분투 10.04를 잘 쓰고 있다가, 업그레이드 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우선 12.04로 업그레이드를 했는데, 아래 글처럼 네트웍에 문제가 있었지만 어찌 어찌 해결했구요.

그런데, 인터넷 속도도 왠일인지 많이 느리고, 또 마침 14.04도 나왔으니 내친김에 14.04까지 업그레이드 하려고 했습니다.
명령창에서 do-upgrade (?)인가 하는 명령어로 업그레이드를 시작했는데,
왠일인지 한참 지나서 에러 메시지를 내고 중단되더군요.

그 에러 메세지는 주로 texlive-.... 패키지들과 hal이란 녀석이 디펜던스 문제가 있다는 등의 이야기였습니다.

그래서 그냥 포기했는데요, 다시 컴터 부팅하니까 부팅 과정에서
무지막지한 양의 에러 메시지들이 나오던군요. 역시 위와 같이 texlive, tex-common, hal 에 관계된 녀석들이었습니다.

parkon의 이미지

[완료] 우분투 12.04로 업그레이드 한 후 네임서버가 작동을 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금 전 우분투 10.04LTS에서 12.04LTS로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컴터 리부팅 후, 웹브라우져가 안되어서 살펴보니,
네임 서버가 작동을 안하는 것 같습니다.

즉 다른 머쉰에 ssh로 연결할 때 IP 주소를 적어주면 되는데 머신 이름으로 부르면
"ssh: Could not resolve hostname ...." 이런 메시지가 나오는 군요.

ifconfig 때려보면 eth0는 작동하는 것 같구요.

저는 고정 IP를 케이블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결책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