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sk3060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REWRITE된 URL을 톰캣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질문글 남깁니다.

웹서버는 apache 2.5를 사용하고, jk 모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WAS는 톰캣 8을 사용하고 있으며, 프로토콜은 AJP 1.3으로 아파치와 연동된 상태입니다.

다른 rewrite는 정상 작동하지만, 다른 회사로부터 넘겨받은 데이터를 rewrite 할 경우 아파치는 부정적인 로그는 찍히지 않지만, WAS 로그에서는 접속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

다른 회사로 부터 요청(redirect를 통해 /ajax/check.do로 넘김. 메소드는 POST)

웹서버

access_log

[15/Sep/2021:15:43:09 +0900] "POST /ajax/check.do HTTP/1.1" 301 451 "-" "Mozilla/4.0"

error_log rewrite:trace2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canf한글 입력 안됨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stdio.h>
 
int main()
{
	char d[20];
 
	printf("한글입력=");
	scanf("%s", d);
	printf("\n\n");
 
	printf("한글출력=%s", d);
 
	return 0;
}
jehun0717의 이미지

폐쇄망에서의 패키지 설치 문의.

안녕하세요, 이번에 폐쇄망 환경을 가진 사이트에 패키지를 설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왔습니다.

OS는 Ubuntu 18.04이며,
개발환경/구동가능한 OS에서 설치된 모든 deb파일들을 전부 가져가 로컬저장소를 구성하려 하고있습니다.

아직 실제 사이트에 가서 설치 진행은하지 않고 테스트만 진행 중인 상황인데

로컬저장소 셋팅 할때부터 막히네요-_-;;;

구성하기 위한 update 파일은 아래와같습니다.

vim /bin/update-kldp

#! /bin/bash
cd /usr/local/kldp
dpkg-scanpackages . /dev/null | gzip -9c > Packages.gz

문제는 dpkg-scanpackages 인데요, 저장소 구성을 위한 deb파일 패키징을 위한 dpkg 옵션같습니다.
저것을 사용하기 위해선 dpkg-dev를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구요-_-;;;;;;;;;;;;;;;;;;;

읏짜의 이미지

모듈 cross compile

커널 모듈을 arm64 타겟으로 cross compile을 하려고 하는데요
gcc-aarch64-linux-gnu 설치하고

Makefile을
make -C /lib/modules/$(shell uname -r)/build M=$(PWD) ARCH=arm64 CROSS_COMPILE=aarch64-linux-gnu- modules
이렇게 동작하게 하면

"./include/uapi/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런 에러가 나오는데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우분투 버전은 18.04입니다

kmjlso의 이미지

우분투 gui 모드가 계속 되지 않습니다 ..

우분투 리눅스 노트북 사용하던 중 제가 파이썬을 업데이트 하고 싶어서 이것저것 검색해서 여러가지를 계속 해보고
재부팅 했더니 바탕화면이 뜨지 않고 바로 텍스트 모드만 뜨더라구요..
gui 모드로 바꿀 수 있다는 온갖 방법을 해도 안뜨길래 그냥 공장 초기화를 하고 처음부터 다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공장 초기화 과정을 밟고 재부팅 한 후 startx를 해보았는데
-bash: startx: command not found 라고 뜨면서 넘어가지를 않습니다 ㅠㅠ
도대체 어떻게 해야 초기의 노트북 그대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 제가 우분투?를 아예 처음 써보는거라
아직도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쓰고 하는게 익숙치 않네요 몇시간째 씨름해도 고쳐지질 않아서 조심스럽게 질문 드려봅니다
이런 질문해도 되는지 모르겠는데 안된다면 죄송합니다 :(

jys923의 이미지

공유기에서 wol을 막습니다.

공유기에서 wol을 막습니다.

wol 쓰고 싶어서 찾아봤습니다.

ip와 Mac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현제 pc는 공유기에 물려있는 상황입니다.

포트 포워딩 했는데 안됩니다.

pc를 외부 인터넷선에 직결하니 잘되네요.
직결해서 되는거 보면 pc 설정은 문제 없는거 같은데...

좀 찾아보니 공유기에서 하려면 공유기에서 브로드캐스트 해줘야 된다고 하는데 제 공유기는 브로드 캐스트 주소를 포트 포워딩 하려니까 주소를 잘쓰라고 나오네....

넷마스트 255.255.255.192

192.168.25.63 으로 지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livey의 이미지

우분투 20.04 vsftpd 서버 파일질라 로그인 안되는 문제 문의

AWS 우분투 20.04 에 vsftpd 서버 설치하고

윈도우10에 파일질라 설치하여 계정/패스워드로 접속하면 로그인이 안되는데

*.pem 파일을 사용하면 로그인이 되는데 계정/패스워드로는 로그인이 절대로 안되네요..

포트도 바꿔보고 vsftpd.conf 파일 설정도 계속 바꿔가면서 해보는데

계정/패스워드으로는 며칠동안 한번도 로그인을 못했는데

sftp 접속은 원래 키파일을 사용한 로그인만 가능한가요? 계정/패스워드 로그인은 안되는건가요??

sl9429의 이미지

Not defined 오류

터미널에 sudo dpkg --add-architecture i386을 입력해야하는데 실수로 3을 빼고 입력을 하니까 i86 not defined가 뜨더라구요 근데 제대로 입력을 해도 계속 i86 not defined가 뜹니다 ㅠㅠ 이 명령을 취소하는 법이 있을까요?

kkb의 이미지

grep으로 온전히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하기 질문

vi에서 온전히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하려면

/\<apple\>

위와 같이 검색하면 온전히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되잖아요?

This is a apple juice. 검색되고
ret=apple(2, 3.14159); 검색되고
ice->juice->apple++; 검색되고
sum=pine+apple-2; 검색됩니다.

반면에,
apple_juice 검색되지 않고
applemango 검색되지 않고
2apple 검색되지 않죠.

gilyongi의 이미지

외부에서 SSH접속 안됩니다.


CentOS 7을 최소설치를 하고,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으로 리눅스가 설치된 컴퓨터IP를 지정을 해주었습니다.

vi /etc/ssh/sshd_config

-> Port 22

열어주었습니다.

ip addr을 입력해서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를 확인하고 동작의 이상유무를 확인 하였습니다.

sshd가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였고,

방화벽 설치유무를 확인하고 포트22를 열어주었습니다.

firewall -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22/tcp

공유기에서 외부 ip 주소를 확인하여, 외부네트워크에서 ping 테스트를 해본 결과 이상이 없이 잘 작동하는 것이 확인이 되었습니다.

ping ***.***.***.***

그러나 Putty로 접속을 시도하니

'Remote side unexpectedly closed network connection'
라고 뜹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