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queenmedley의 이미지

[질문]HDMI 연결된 모니터는 밝기조절이 안되나요?

데스크탑에 아치리눅스설치하고 모니터를 HDMI로 연결해서 사용중입니다.
cpu는 인텔 하스웰이고 gpu는 내장 HD4600을 사용하고 있구요..
/sys/class/backlight/acpi_video0/brightness 에 값을 변경해도
밝기조절이 안되고
xbacklight 라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No outputs have backlight property
라는 메시지만 나옵니다.
이걸 해결해볼려고 구글링을 한달째 하면서 커널 파라미터에 이저저거 값 넣어보고 해도안되는상황에서..
아래 글을 발견했는데요..

https://bbs.archlinux.org/viewtopic.php?pid=1383068

gksrlf2ek의 이미지

맥북 커맨드 s로 부팅하는게 FreeBSD 인가요?

맥북에서 부팅할때 계속 커맨드+s 키 누르면 검은 커맨드라인 뜨면서 sh 쉘 뜨는데 이거 FreeBSD인가요?
OSX가 FreeBSD기반이니 혹시 그렇지 않을까해서요;

abcd011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용? 데스크탑용? 엔터프라이즈? 기업용? 도와주세요..ㅠ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배우고자 하는 초짜입니다

centos를 공부해보고 싶고 unix도 만질 기회가 생긴 생초짜인데요..

리눅스 중에서도 서버용?, 데스크탑용?(개인용 이라고 보면 되는지), 기업용? 이렇게 있는데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개인용은 GUI가 있고, 서버용은 GUI대신 텍스트(쉘)상태고 주로 웹서버,ftp서버 등 서버용도로 쓰이는게 맞는지요..

엔터프라이즈는 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이것외에도 다른 용도의 리눅스들이 있는지 여쭙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__)

lsm5059799의 이미지

데비안 아이위즐 인터넷이 안되네요 도와주세요

일단 정확하게 칼리를 깔았습니다.

문제점...사용해보니 아이위즐(인터넷)이 안됬고 미러도 사용하면(apt-get)을 사용하면 0%에서 진행하지를 않습니다.

그리고 netstat -tnl 명령으로 써보니 기본적으로 631(?) 포트와 53 포트가 실행되지 않았더군요

네트워크 관련해서 되는 것....핑은 다음(daum.net)으로 해보니 됬고 ssh 도 되었습니다. 위 두가지 사항만 되지 않습니다.

노트북환경은 samsung arm chromebook 입니다. 칼리에서 제공하는 칼리크롬북arm이미지 파일이용하여 부팅하였습니다.

그리고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인터넷을 사용했습니다.

어떻게하면 인터넷과 미러가 될까요???

seojh1431의 이미지

centos 는 데스크탑용 서버용으로 나누어진 페도라와 우분투와는 달리 서버버전만 있나요?

centos server 를 검색하니 server version은 없고 그냥 centos 밖에 없는데.. 그럼 centos 그것 자체가 서버버전이란 의미인가요??

페도라와 우분투는 나뉘어져있잖아요?

http://data.nicehosting.co.kr/os/CentOS/6/isos/i386/ 여기를 참고 했습니다.. 그리고 CentOS-6.6-i386-bin-DVD1.iso 와 CentOS-6.6-i386-bin-DVD2.iso

이렇게 DVD1, DVD2 로 나뉘어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seojh1431의 이미지

컴퓨터 A가 컴퓨터 B를 디도스 공격하면 컴퓨터B는 패킷 포워딩을 사용하여 컴퓨터 C로 흘려보내게 하고 싶습니다.

참고로 컴퓨터 B는 랜카드 두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OS는 우분투12.04 LTS 입니다

컴퓨터a
address 192.168.111.40
netmask 255.255.255.0

컴퓨터b (두장의 랜 카드를 사용)
address 192.168.111.30 (eth 0)
netmask 255.255.255.0

address 192.168.112.30 (eth 1)
netmask 255.255.255.0

컴퓨터c
address 192.168.112.40
netmask 255.255.255.0

컴퓨터 A가 (eth0 192.168.111.40) 컴퓨터B의 eth0으로 핑을 보내면 컴퓨터 B는 eth0에서 eth1로 보내고 eth1은 컴퓨터C의 eth0으로 보냅니다.
라우팅 게이트웨이와 방화벽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armadillo의 이미지

linux/unix 에서 소스로 빌드할때...

반갑습니다.

linux/unix에서 소스로 빌드를 할때 순서가

01 # ./configure --prefix=....

02 # make

03 # make test

04 # make install

이렇게 보통진행하는데..

01 # 과정에서 configure로 넘겨줄 옵션이 많을때
보통은 여러줄로 이어서 타이핑하는데...
파일에 넣어서 파라메타로 전달하는 방법 같은게 없을까요 ?

configure --help를 읽어봐도 별 내용이 없고..

configure < config.cfg 로 해봐도 안되고...

한번에 설치되지 않을때를 대비해서 분명 방법이 있을듯한데..
물론 shell script로 명령과 함께 하는 방법이 있긴한데, 그건 꼼수같고...

혹 도움될만한 정보 있음 부탁드립니다.

즐거운 주말되세요.

seojh1431의 이미지

기존 윈도우7에서 우분투를 깔기위해 usb 부팅디스크를 설치하던 중 설정을 잘못해서 윈도우7 다 날려먹고 우분

우분투 설치도 안되고... 그래서 예전부터 윈도우서버 공부할 생각이었기 때문에 윈도우서버2003 시디넣고 설치를 할려고 하던 중.... 블루스크

린이 뜨면서 설치도 안되네요.. 원래 윈도우7에 복구파티션이 있어서 부팅하고 esc 누른 후 f11을 누르면 복구할 수 있었지만 다 날라가서 이것저것

도 안되네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되죠?? 밑에 그림파일 첨부합니다.

노트북 기종은 HP Presario CQ40 입니다.. 엄청 오래된거..

seojh1431의 이미지

네트워크 질문입니다.

구축환경은 컴퓨터 3대 모두 ubuntu 12.04 LTS 입니다.

공격자, 서버, 희생자가 있습니다. 서버에는 랜카드 2개를 장착하고 굴러다니는

랜선 2개를 주어서 공격자(eth0) ----(eth0) 서버 (eth1)----(eth0)희생자 이런식으로 컴퓨터를 구성하였습니다. 아이피는

Attacker
address 192.168.111.40
netmask 255.255.255.0

Server (두장의 랜 카드를 사용)
address 192.168.111.30 (eth 0)
netmask 255.255.255.0

address 192.168.112.30 (eth 1)
netmask 255.255.255.0

victim
address 192.168.112.40
netmask 255.255.255.0

지금 현재 네트워크는 이렇게 구축하였구요.. 어택커가 디도스툴로 빅팀을 쏘면 써버에서 티시피덤프의 로그가 남도록 하였습니다.. 그런데..문제는

sanugi의 이미지

samba에 share 설정을 했는데도 윈도우에서 계정 정보를 묻습니다! 설정이 잘못된걸까요?

[global]
#Workgroup = WORKGROUP
server string = TEST
Log file = /var/log/samba/%m.log
Max log size = 50
security = user
dos charset = cp949
unix charset= euc-kr
#printing = none
#disable spoolss = yes
#guest only = yes
#guest ok = yes
#guest account = nobody

[share]
comment = SHARE
path = /SHARE/
security = share
guest account = nobody
#guest ok = yes
guest only = yes
read only = yes
#browsable = yes
map to guest = Bad Password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