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s0ulhacker의 이미지

레이드(raid)구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똑같은 Sas 1TB 하드디스크가 4개 있습니다
서버는 hp dl380 g6 구요
하드디스크 4개중에 3개를 묶어서 3TB로 사용하고
1개는 레이드로 안묶고 OS만 설치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이럴때 보통 어떤식으로 구성하는지 대략적으로라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레이드 구성을 해본적이 없어서 검색을 해봤지만
감이 오질 않네요

wnsdud9984의 이미지

Zorin os 10 ibus-anthy 사용하는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집에 돌아다니는 고물 노트북에 Ubuntu 14.04 LTS 를 설치해서 하용한지 몇 개월 다른 리눅스를 깔고싶었습니다.

많은 리눅스중 Zorin os 라는것이 눈에 띄었고 설치를 했는데 구동은 아주 잘되는데 키보드 언어설정이 이상하더군요.

제가 일본어를 사용하는일이 좀 많아서 ibus-anthy를 꼭 설치를 해야하는데

콘솔에서 sudo apt-get install ibus-anthy 를 하고 입력 소스 목록에 가면 우분투에서는 항목에 일본어(anthy)가 있었는데 Zorin os에서는 나타나질 않는겁니다.

그후
1. ibus restart
2. reboot
3. ibus-setup 에서 일본어(anthy) 끌어오가

검색해서 위의 3가지를 모두 해보았습니다.

우분투 15.04 버전을 베이스로 만들었다고 하길레 우분투 15.04 버전의 anthy를 설치하는 법을 검색후 해보았습니다.

bsjun의 이미지

안쓰는 PC에 SSD 달고 리눅스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도움좀 부탁드려요

우선 하드는 더 안달고.. 테스트용으로 쓸거라 SSD만 달 예정인데요

파티션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ㅠㅠ
주 용도는 웹 서버용인데
POST , GET 을 많이 하거든요..

ext4 만 trim 기능을 지원한다 이런얘기를 들었는데
SSD 하나만 달거면 그냥 특별 설정없이 설치하면 될까요?
Cent OS 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simhigo의 이미지

xen 에서 vyos 사용하려고하는데...

xen 2개의 머신을 올리고 하나의 머신에서 vyos를 설치하여 nat dhcp로 구성하고 다른 이미지에서 vyos에서 설정한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려고 합니다.

각각 이미지들은 셋팅이 끝난 상황인데 저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방법이 없네요 도와주세요 ㅠㅠ

gmlwns5176의 이미지

리눅스 민트 17 시나몬 버전 설치후 GRUB진행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윈도우가 깔린 SSD하나가 탑제된 노트북을 쓰고 있는데
리눅스를 사용해볼려고 노트북에 마이크로 SD카드를 꽂아 SD카드에 리눅스를 설치하려고 했습니다.
라이브 USB로 SD카드에 리눅스설치를 마친후 SD카드로 부팅해보니
리눅스 민트로 진입이 안되고 그냥
GNU GRUB version 2.02^beta2-9ubuntu1.2
Minimal BASH-like line editing is supported, For the first word, TAB lists possivle command completions. Anywhere else TAB lists possible device or file completions.

grub> _

yoyo238의 이미지

통신에 관해서 도저히 해결이 안되서 질문 올립니다.

환경
리눅스(centos7) 공인 ip
window10 공인 ip
window7 사설 ip

리눅스서버를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putty로 원격접속해서 관리를 할려고 하는데 사설ip를 가진 컴퓨터에서는 잘접속이되는데

공인ip를 가진 window10에서는 접속은 커녕 ping조차도 안나가지네요 며칠동안 붙잡고있는데 해결이 안됩니다 혹시 해결방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p.s 공인ip끼리는 같은 대역대 입니다.
p.s window와 centos의 방화벽은 모두 내려둔 상태입니다.

asysa6979의 이미지

centos to red hat migration 질문

서버에 설치할 os로 centos를 선택하려고 하는데 구글에 검색해보니 나중에 red hat으로 옮길 수 있는 것 같더라구요.
이 때 자료 손실이라던가.. 뭔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애초에 red hat으로 설치하는 게 나을까요?

meaningslow의 이미지

깃허브의 사용법에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코드와 별로 친하지 않은(ㅠㅠ) 학생입니다. 이번에 사용해보고 싶은 오픈소스가 나와서 사용법을 익혀보려는데 도대체 이쪽으로는 지식이 전무해서
죄송함을 무릅쓰고 질문을 올립니다. 제가 써보려는 오픈소스는 렌즈 라이터(https://github.com/substance/lens-writer)라는 것입니다.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리드 파일도 다 읽어봤습니다만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걸 구동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필요한건가요? 로컬에서는 구동할 수 없는건가요? 서버에 올리고 특정 index 파일을 클릭하는 걸로 되는 겁니까?
인스톨 부분도 어디에서 뭘 어떻게 인스톨 소스를 고치고 해야하는지 도대체 도통 모르겠습니다 ㅠㅠ
인스톨을 하고나면 index 파일을 클릭하는 걸로 구동이 되나요? ㅜㅜ

rapony12의 이미지

ibus-hangul-1.4.2.tar.gz 슬랙웨어에서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tar -xvzf ibus-hangul-1.4.2.tar.gz 로 압축을 풀고 설치를 할려는데 installpkg 관련 명령어나 pkgtool 로는 설치도 안 되고 폴더 안에 파일중 어떤 걸 어떻게 설치할지
모르겠네요.아시는 분 답변부탁드립니다.

byeown의 이미지

firewall 포트포워딩좀 가르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이거 복잡하네요..
eno1이 외부로부터 들어온선
eno2는 내부 192...ip를 가진 인터넷인데요

eno의 23번포트를 eno2의 22번포트로 보내고싶은데 방법을 잘 모르겠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