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ehnpark의 이미지

실행시간 몰아주는 방법좀

랩탑이 넘 느려서 실행시간을 한 프로세스에 몰아주고싶은데
혹시 다른 방법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Openwrt 라우터에 패킷 스케줄러 올리기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 개발

hongjun423의 이미지

리눅스 centOS7 방화벽 설정 질문 입니다

centos7에서 도커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데요
방화벽을 끄면 도커에 구성된 80이나 443 포트 연결이 안되더군요

메인 os에서 80포트를 모두 차단해버리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tcp

이렇게 하면 80포트가 추가 되고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port=80/tcp

이렇게 하면 80포트가 삭제 돼서

innnbang의 이미지

솔라리스 11에서 netmask 변경하는 방법 부탁드립니다..

운영중인 서버에서 (솔라리스11)에서 넷마스크를 변경하고자 합니다..

ifconfig를 사용하면 간단히 될 줄 알았는데.. 11부터는 네트워크 쪽이 많이 바뀌었더라구요

netmask변경하고 인터넷 연결하는 것까지 알고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kdyapple98의 이미지

pygame을 설치하려고 하는데...바이너리? 소스?

pygame을 이용해서 게임을 한번 만들어 보려고 pygame을 설치하려는데

Binary Installation 이 있고
Source Installation(?) 이었나 ..
여튼 Binary 뭐시기랑 Source 뭐기시가 있더라구요

그 둘의 차이점이 뭔가요?

Binary는 대충 기계어로 번역해서 pygame 개발자가 만들어 놓은 설치파일을 가지고 그냥 수동적으로 설치하는거 같고...Source 는 뭔가 설치하려는 사람이 직접 Source 코드를 짜가지고 자신에게 딱 맞게 능동적으로 설치하는 느낌인데.. 정확히는 뭘까요?

wonjnlee의 이미지

버추얼박스로 브릿지 방화벽(iptables) 구성시 네트워크 어댑터 어떻게 설정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버추얼박스로 구성한 가상 리눅스에서 브릿지 방화벽을 테스트하려고 합니다.

[client pc1] -> [bridged firewall pc (virtualbox)] -> [client pc2]
이런식으로 동작시켜서 가운데에 있는 virtualbox가 iptables를 forwarding 하려고 하는데요.
랜카드를 어떤식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기존에 가상머신이 아니었을 때에는 그냥 랜카드 두개 부착하고 각각 인식시켜서 브릿지 구성했는데요.
가상머신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bridged firewall로 구성하는 pc에도 랜카드 두개 부착되어있습니다.
도와주세요!

wonjnlee의 이미지

128기가짜리 ssd -> 윈도우 10, 리눅스 듀얼부팅 가능할까요?

개발용도로만 사용할거구요

만약 된다면 용량을 어떻게 분배해야 좋을까요?

윈10에 페도라23 설치할 예정입니다.

ainc의 이미지

live iso 설치 과정에서 문제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데비안 제시를 live iso를 외장 하드디스크에 설치디스크를 만들고
설치디스크된 외장 하드디스크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려하는데
설치과정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첨부된 파일들을 보면

SCSI5 (0.0.0)(sdb)- 40.0GB ST340014A
#1 주 9.9GB F extr /
#5 논리 1.3GB F 스왑 스왑
#6 논리 28.8GB f ext4 /home

파티션 나누기를 하고 바뀐 사항을 디스크에 쓰기를 선택하면

SCSI5 (0.0.0)(sdb) 장치의 파티션 #1에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데 실패했습니다라는
오류창이 뜹니다.

왜 그런가요?

- 외장하드에 운영체제를 직접 설치해 쓸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고
좋지 않다는 것을 확인해서 게시글을 지울려고했는데 지울 수가 없어
확인 글을 남깁니다.

andysheep의 이미지

웹 브라우져, libreoffice 문서 작성기, 기타 편집기에서 한글 낱말 잘라내는 문제


화면 폭에 정해진 길이가 넘어가면 영어는 낱말 전체를 다음
줄로 넘기지만 한글은 여전히 낱말 중간을 잘라버려요.

한글은 한자가 아닌 소리 글자로 낱말 단위로 붙여야 합니다.

영어처럼 낱말처리하게 구현하는 건 소스 코드 몇줄이면 끝나는데
수십년이 지났지만 바뀌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습관이 무서운 건지, 이점에 관심을 두고 패치할 수 있는 개발자가 부족한 건지.
전자라고 보는데요.

우선 불여우는 51.0.1, LibreOffice는 4.3.3.2 한글 담당자 찾아 따져야 겠어요.

cbyungin의 이미지

dokuwi 에 ckgedit 플러그인 설치시 UTF8 인코딩 문제 해결 방법 있나요.

dokuwiki 버전은 Release 2017-02-19a 이고
파일 업로드/다운로드시 한글명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관리->고급->fnecode 에서 ASCII 가 아닌 파일 이름을 인코딩하는 방법을 utf-8 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기본 에디터에서는 한글로 업로드시와 다운로드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데 문제는 ckgedit 플로그인 입니다.

wiki 문서명을 한글로 입력시 [ex) 한글문서:한글설치문서]
실제 서버에는 파일 업로드가 되지만 팝업으로 뜨는 FCKeditor 에서는 리스트가 보이질 않습니다.

이런 증상은 explorer 에서만 발생합니다. 참고로 explorer 11 버전을 사용합니다.
chrome 는 정상적으로 한글 리스트가 보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