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leesh2143의 이미지

iptables 질문좀 올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iptables과 관련하여 공부하던중 염치없이 질문을 남깁니다..ㅠ

openwrt를 이용해 공유기를 만들어써보려고 하는데...

이 공유기에 PC A랑 PC B가 연결돼 있습니다..

PC A랑 PC B간에 SMB 포트를 openwrt공유기 단에서 iptables로 막아보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ㅠ

iptables -I FORWARD -s 192.168.1.0/24 -d 192.168.1.0/24 --dport 445 -j DROP

iptables -I INPUT -s 192.168.1.0/24 -d 192.168.1.0/24 --dport 445 -j DROP

iptables -I OUTPUT -s 192.168.1.0/24 -d 192.168.1.0/24 --dport 445 -j DROP

이 외에도 i옵션 o옵션 써서 인터페이스를 lan으로 막아보기도 해봤는데... A <-> B 간에 접속이 너무 잘 되네요...ㅠ

foruses의 이미지

하드디스크 간 cp -a 할 때, failed to preserve ownership 에러

sudo \cp -a source/* target/

속성을 보존하려고 위처럼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뜹니다.
그리고 target내 모든 파일 속성이 drwxrwxrwx 로 바뀌어 복사가 됩니다.

cp: failed to preserve ownership for `/source/file1.dat': Operation not permitted

source 의 하드디스크는 ext4 파일 시스템이고, target 하드디스크는 mkfs.exfat 로 생성되었고, mount.exfat 로 마운트했었습니다.

혹시 해결방법 아시는 분 계시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boomydh의 이미지

/mnt failed: Structure needs cleaning 오류를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여?

타겟보드 루트파일시스템을 옮기기 위해서

# mount rootfs.ext4 /mnt -o loop
# cp -rf /mnt/* /media/sdcard
# sync
# umount /dev/loop0

위에 같은 순서로 작업을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마운트 할려고 하니

mount: mount /dev/loop0 on /mnt failed: Structure needs cleaning

메세지가 뜨더니 다시는 마운트가 안되더라고요

이미 언마운트 된 상태에서 /dev/loop0를 조사할 수 없고 그렇다면 root가 문제인거 같은데

다른 포럼에 있는 fsck나 e2fsck를 이용할려고 해도 root를 언마운트 할 수 없으니

재시작하여 shift를 눌려서 recovery 모드로 가서 fsck를 해서 재부팅해도 결과는 같더군요

일단 system 로그 파일 보니

qenq65의 이미지

network daemon이 사라질수도 있나요?

#systemctl status network
Unit network.service could not be found.

갑자기 어느순간부터 network 데몬 상태확인이 안되네요.

CentOS 7.4버전인데..

Apache 올려서 WEB서버로 사용중인 서번데 어느순간부터 네트워크 데몬 상태확인이안되구..

그렇다고 ip ping이 안가는것도 아니구 전혀 문제는없는데

데몬만 존재하지가않아요..어떻게 해야하나요

journalctl 명령이나 로그확인해두 특별한 로그도 존재하지않구요,,,

ip addr , ip link 명령어도 없어졌네요..혹시관련이 있을까요

세벌의 이미지

아두이노 문서 한국어 번역

요즘 아두이노 갖고 재밌게 지내고 있네요.
https://www.arduino.cc/en/Main/Documentation
를 보고, 여기서 en만 ko로 바꾸면 한국어 문서가 나오길 바랬습니다.
https://www.arduino.cc/ko/Main/Documentation
해봤습니다.
404
나오네요.

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 문서 한국어판은 어디 있나요?
혹시 있다면 어디에 있나요?
혹시 없다면 어떻게 만들면 되나요?

qmfflwj의 이미지

리눅스 보드에서 네트워크 설정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한달정도를 고민하다가 질문을 남깁니다.

제가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해서 일지돌 모르기만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리눅스 보드가 하나 있습니다. 리눅스 보드에는 Ethernet 카드가 3개가 붙어 있습니다.

SGMII Ethernet 2개와 L2 Switch Ethernet(8 port) 1개가 있습니다.

그래서 리눅스에서는 eth0, eth1, eth2(switch)가 잡힙니다.

eth1에는 외부 ip가 들어옵니다. 외부 공유기에서 들어오므로 192.168.1.0/24 대역의 ip가 들어옵니다.

그래서 리눅스 설정으로 dhcp or static 하게 eth1의 ip를 설정하면 모두 eth1을 통해 외부와 통신이 가능합니다.

제가 하고 싶은 것은 eth2에 있는 8port switch에 dhcp or static으로 ip를 할당해서 리눅스 보드에서 8 port

에 꼽힌 Device와 내부적으로 통신하며, 그 상태 값들을 저장해서 최종적으로는 eth1을 통해 외부로 보낼려고 합니다.

foruses의 이미지

[완료]맥북에서 ssh -X 로 리눅스에 접속 후, xclock 하면 그래픽이 리눅스 컴퓨터 상에 나타나는 문제

1. 제 맥북에서 xterm으로 다른 리눅스 컴퓨터에 연결(ssh -X user@xxx.xxx.xxx.xxx) (연결하는 과정 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2. 그래픽을 띄우면 (gv) 그래픽이 제 맥북에 뜨지 않고 리눅스 컴퓨터 상의 모니터에 뜨는군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 맥북에는 XQuarz (최신버전)가 실행 중이라 그래픽 띄우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어야 함에도 말입니다.

흔히 있는 문제가 아닌거 같은데요, 도와주십시오~!

jcdgods의 이미지

2개 이상의 NIC를 가진 서버에서 SSH 설정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웹 서비스를 위해서 서버를 세팅중에 의문점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사실 리눅스에 대해서 잘 모르는 편이라 당연한 질문일 수도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서버는 HP이고 4개의 NIC를 가졌습니다. OS는 우분투 16.04LTS 를 사용중이구요.
이중에서 1개는 고정 IP를 할당하고, 나머지 1개는 내부망으로 사용할 라우터에 연결해서 NIC 설정에는 동적 IP를 할당하고 있습니다.(라우터에서 MAC으로 IP 고정)

NIC #1 : 고정 IP
NIC #2 : None
NIC #3 : 192.168 대역의 동적 IP (라우터 MAC 고정)
NIC #4 : None

SSH 설정을하면, 무조건 1개의 NIC에서만 SSH가 가능해집니다..
만약 NIC#1이 살아있다면, 무조건 고정 IP로만 SSH가 가능하고, NIC#3의 IP로는 SSH 응답조차 안됩니다.

근데 NIC#1을 죽이면, NIC#3로 또 SSH가 가능합니다.

sshd_config에 LISTEN을 통해서 두 IP 모두 등록한 상황입니다.

lsjlsu1022의 이미지

일본 컴퓨터에 ReactOS 한국어 설정으로 설치해서 쓰기

인터넷에서 중고경매로 마우스 컴퓨터라는 일본회사의 컴퓨터를 구해서 파워만 프리파워로 교체해서 ReactOS를 설치해서 쓸려고 합니다.
문제는 이게 일본 컴퓨터라서 그런지 설치할때 언어를 한국어로 했는데 죄다 께져서 나오네요
아직 네트워크 연결은 하지 않았습니다만 일단 네트워크에 연결을 해서 한글 인코딩 관한것을 다운받는게 낫나요 아니면 일단 포맷하고 다시 일본어로 깐 이후에 설치해는게 낫나요?

하진호@Google의 이미지

우분투 17.10에서 wine 한글 입력 되시나요?

우분투 17.10에서 리눅스 입력기로 한글이 입력 되시나요?

wine으로 카카오톡하려고 하는데,

fcitx 사용중인데 영어 밖에 입력이 안 됩니다.(notepad.exe 켜도 한글 입력이 안 되네요...)

근데, fcitx에서 한글만 입력되게 해도 영어만 입력되는게,

wine 안의 윈도우 자체 입력기를 사용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왜 갑자기 이럴까요? 저만 이러는지....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