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지정한 장치 경로 또는 파일에 엑세스 할 수 없습니다.

비주얼 스투디오 설치중 오류인데요ㅠㅠ
인검에서 나온대로 클라우드 평판 기반 실행 차단 사용 체크 표시도 풀고
혹시 몰라서 검사 예외 설정에 들어가서 파일도 추가해줬는데 여전히 저런 첨부된 파일고 같이 "지정한 장치, 경로 또는 파일에 엑세스 할 수 없습니다. 이 항목에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것 같습니다."라고 뜹니다ㅠㅠ 관리자 모드로도 실행해봤는데 계속 경고창이 발생합니다ㅠㅠ

wlsgml3015의 이미지

리눅스 Centos 7 xrdp 원격 접속 한글 입력 안되는 문제

해결해보려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 하였습니다.
1.설정>지역 및 언어>입력 소스를 '한글(Hangul)'로 바꿈
2.locale, LANG="ko_KR.UTF-8"

두번째는 locale 확인해서 정상적으로 바뀐것도 확인하였고, 첫번째는 콘솔에서 한글 토글키(한/영 키)와 shift+space 두가지 방법 모두로 한글이 정상적으로 토글되고 작성되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런데, xrdp로 원격 접속을 하기만 하면 한글 입력이 안되네요. 날짜나 시간에 표시된 한글은 또 깨지지않고 잘 나옵니다. 어제 온종일 구글 뒤져가며 해결방안을 찾아봤는데도 해결이 안되네요....

세벌의 이미지

리눅스 패키지 업그레이드 하려면?

https://www.debian.org/security/2018/dsa-4313.en.html
읽다가...

We recommend that you upgrade your linux packages.
해석하면
여러분의 리눅스 패키지들을 업그레이드할 것을 권합니다.

그런데...
리눅스 패키지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모르겠네요.
패키지 업그레이드 어떻게 하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 시작시 가상 사설망 자동 접속이 안됩니다.

와이파이로 인터넷을 사용중입니다. 우분투 18.04 LTS 사용중이고요.

Openvpn 을 우분투시작할때 자동접속하기위해서

네트워크 도구를 통하여 와이파이 옵션에 자동으로 가상 사설망에 연결에 체크하고

재부팅하면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수동으로 네트워크 선택으로 와이파이 접속하면 가상 사설망으로 자동 접속까지 잘됩니다.

시작시 가상사설망까지 자동 접속되게 할 수 없을까요?

세벌의 이미지

리눅스용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GIMP는 리눅스의 포토샵이라 불릴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은 종류가 많네요.
리눅스용 동영상 프로그램은 어떤 게 좋을까요? 어떤 차이점들이 있나요?

세벌의 이미지

데비안 9.5에 버추얼박스 최신 버전 설치 ?

데비안 9.5에 버추얼박스 최신 버전 설치하려다 보니 잘 안 되네요.
https://debianusers.or.kr/node/285
에 상황을 써 놓았는데 kldp에 많은 분들이 오시니 여기에도 질문 링크 올려둡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kjyong98의 이미지

xen 서버 게스트 네트워크 문제

안녕하세요.

젠서버 설치 후에 게스트를 생성했는데

게스트에서 인터넷 등 외부로는 통신이 되는데 호스트나 외부에서는 게스트에 통신이 안되고있습니다.

호스트 NIC를 통해서 자동으로 브릿지형태로 게스트에 동일한 대역의 새로운 ip가 할당이 되긴했는데 어디가 문제인걸까요

일단 호스트 ip addr 결과 올려보겠습니다. 호스트에선 랜카드 두개 사용중인데 현재 eth1만 사용중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폴더 설정 바꾸는법

지금 android로 열어도 project로 여는 것처럼 나오는데 혹시 원래 안드로이드 열리면 보이는 res, java, mainfest 폴더가 뜨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u235의 이미지

vi "insert 모드에서 저장" 가능할수 없을까요?

앞서 문의드렸던 요즘 Pyrhon 삼매경에 빠져있는
윈도용 vi 열열 매니아 입니다.(노안 관계로 cmd 콘솔만 선호ㅋㅋ)

윈도용을 쓰면서 가장 불편했던점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어떤 세팅을 써도 마우스 클릭시 커서이동이 가능하게 못한다는것과
Nun 키패드는 방향키용 밖에 못쓴다는것 정도 입니다.
전자는 다른 메모장 등과 연동시 reg와 별개로 마우스로 복/붙이 가능한것으로 위안은 되나

이 두가지는 아마도 cmd용 vi 유저가 급증하지 않는한 한동안 개선을 기대하기는 힘들듯 합니다.

그외 리눅스와 공통사항으로
insert 모드에서 저장을 못한다는 점이 있는데요. (불러오기 등등은 됐어도)
때문에 [ESC] 키에 손이 너무 많이가는 치명적인? 불편이 있습니다.
구문 테스트시 평균 분당 10~20초에 한번은 저장해야 하니까요 ^^.

대부분 에디터들은 [Ctrl]-S 로 저장하기가 무조건 기본이지만
vi만은 항상 [Esc]로 나갔다 와야 하니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설치중 오류

Android Support Repository, Android SDK Tools and
8 more SDK components were not installed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