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6Gelemen의 이미지

uim 질문

uim에서 입력기를 이것과 같이 하였는데 한글 입력이 안됩니다.(nimf로 하고있어요)
이미 im-config로 설정을 마치고 로그인하고 로그아웃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어떻게 없애죠? 보기 불편하네요

grazie3의 이미지

우분투 19.10

현재 우분투 19.10을 사용중인데..
스마트폰을 USB로 연결해서 큰파일들을 복사할때.. 자꾸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다시 새로 깔아야 하나요?

우분투는 18.04으로 잘사용하고 있었고 ..이때는 아무 문제 없었는데

19.10에서는 이문제가 발생해서 구글에서 찾아봤는데.. 제대로 해결되는방법을 못찾아서요..

qweraass의 이미지

웹서버 리눅스 구축질문입니다.

웹서버 리눅스 구축질문입니다.

이력서 작성용으로 저만에 웹서버을 구축을 하려고 하고있습니다.

지금 os는 centOS을 사용중입니다.
기본적으로 설치해야할 오라클db, 톰캣, JDK 설치까지 마쳤습니다.

x윈도우 없이 설치를 한 과정에서 터미널이 아닌 보이는 툴이 필요할거 같은데 x윈도우를 설치하는게 맞는건지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실제로 회사에서 서버를 리눅스로 올릴때 x윈도우를 사용하지 않을거 같아서여...

foruses의 이미지

[완료] 파일 내 특정 문자 뒤 부분을 잘라내기 하려면?

123a54
54a343
993a3932
38a2

이 아래처럼 되도록. 즉 a라는 특정 문자 이후의 값을 잘라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23
54
993
38

Hyeon9mak의 이미지

github의 LFS에 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github가 개발한 오픈소스 LFS에 개념 자체는 이해를 했습니다.
궁금증이 생긴 것은 LFS도 결국 어딘가에는 원본 파일을 저장한다는 이야기인데

LFS를 설치한 로컬기기가 가지고 있는 원본 파일의 주소(포인터)를 따가는 것인가요,
LFS를 통해 github가 제공하는 서버에 원본 파일을 업로드 후 주소(포인터)를 따오는 것인가요?

원본 파일을 어디에서 다루는지에 대해 궁금해서 이모저모 검색을 해보았는데
원하는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서 뜨문없이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P...

rkdckddn77의 이미지

mariadb를 사용하다 보니 문제가 생겼습니다.

환경은 리눅스 Centos 7.6 64bit를 사용하고 있고, mariadb는 10.4.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mariadb가 실행이 되지 않은 문제입니다.

저는 장비 2대의 이중화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장비 #1, 장비 #2 는 이중화 구성이 되어 있고, mariadb datadir는 장비 #3의 특정 경로를 mount 시켜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Active 장비에서만 mariadb를 실행시키고, standby 장비에서는 mariadb를 실행하지 않습니다.

mariadb가 양쪽 장비에서 동시에 실행 안되도록 설정을 해두었습니다.

또한, mariadb를 정상적으로 종료를 시킨 후, 절체가 됩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문제가 없고, 절체 되었을 때도 문제가 없습니다.

이번에 테스트를 하면서 Active 장비의 link를 down 시켜 보았습니다.

Active 장비는 link down으로 인하여 장비 #3과의 mount에 문제가 생기고, mariadb도 문제가 생깁니다.

ehdgml9358의 이미지

DISK RAID 풀림

안녕하세요.

정상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버의 DISK RAID가 풀리는 케이스에 대해서 여쭤 봅니다..

1) OS 영역 C:\ 디스크 2개로 RAID 1구성
2) DATA 영역 D:\ 디스크 2개로 RAID 1구성

정리하면
C:\는 RAID Volume0 (RAID 1구성, Member DISK 0 + Member DISK 1)
D:\는 RAID Volume1 (RAID 1구성, Member DISK 0 + Member DISK 1)

정상적으로 OS 부팅과 APP 서비스 기동까지 이상 없던 상황입니다.

이후

6Gelemen의 이미지

Unity 프로그램 실행

리눅스 민트에서 Unity를 쓰고 있습니다.
Dock 말고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행하는지 모르겠어요

lshakluuh의 이미지

centos 서버 접근불가 문제 ㅜ

회사에서 개발용 서버를 두고 쓰고있습니다

centos7이고 ssh ftp db 정도만 깔아서 개인 테스트 용으로 쓰는 서버입니다.

사실상 제 개인용 서버라서 저만 접속해서 사용을 하는데

제 노트북에 무선으로 같은 망에서 내부 접속을 합니다 (서버 ip는 고정으로 192.168.0.100을 씁니다)

문제는 이걸 한동안 잘 쓰고 ssh, db 그냥 다 잘 하다가

갑자기 db 연결 접속 불가, 그러니깐 time out이 떠서 쉘 접속을 해보니

쉘은 permission denied (프로그램에 따라서 access denied)

ftp도 접속 안되고 그냥 내부 모든 접근이 안됩니다

제 노트북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 컴퓨터(유선)으로도 접속이 안되고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그냥 갑자기 안되다가

지난번에 한번 갑자기 회사 인터넷이 전부 나갔다가 다시 고쳐진적이 있는데 그 이후엔 다시 잘됩니다

이상한건 어제도 또 오전에 접속이 안되다가 밥먹고 오니깐 되는겁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부팅시 rc3.d 실행순서

서버 리부팅시 rc3.d 에서 도는 순서에 대해 궁금합니다.
같은 S99 라 가정하였을때 그다음 실행순서는 링크 등록상 알파벳순인가요?

ex) S99aaa ,S99bbb 등록시 S99aaa가 무조건 먼저 실행되는지..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