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허접질문]파티션..

제 하드는 분할 안된상태로 윈도만 깔아서 쓰고 있습니다.
파티션2개로 분할할려고 하는데 이상태에서 걍 하면
윈도 데이타 날라갑니까???
갈텨주세요...하드는 40기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jdk 설치에 대해서....

j2sdk-1_3_1_01-linux-i386-rpm.bin 파일을 받았는데
설치 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j2sdk-1.3.1-FCS-linux-i386.tar.bz2 파일은 어떻게
설치 하는지 방법 좀.....부탁드립니다.

두 파일의 차이점까지 가르쳐 주시면 더욱 더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tartx가 안되요

startx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startx
xauth creating new authority file /root/.Xauthority

execve failed for /etc/X11/X (errno 2)
giving up.
xinit No such file or directory (errno 2) unable to connect to X
server
xinit No such process (erno 3) Server error.

os wowlinux 7.1 파란
vga S3 Trio 64v2/GX (1M)
cpu intel p2(450) -----> dual
mb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cecast 소리가 안나와요...

kldp의 문서대로 차근차근 따라해서..
설치완료했습니다.

icecast+not_lame+liveice입니다. port넘버 디폴트가 8000 or 8001이더군요.
그러나 icecast실행시 실행되더니 자동으로 shutdown하더군요.

그래서 icecast.conf와 liveice.cfg파일에서 포트넘버를 9000번으로 바꿨더니
정상동작하는 것 처럼 보이고 xmms로 접속했더니 client가 접속했다는 메세지
도 나왔어요. 그런데 왜 소리가 안들릴까요?

redhat7.1입니다.

리눅스 질답란인데...이거 주제에 맞나요?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오래(?) 켜두면 리눅스 서버로 접속이 안돼요

파워리눅스 6.0을 풀로 설치했는데요, 서버를 켜 놓구서 다른 곳으로 가서

ping을 하면 죽었다구 나옵니다.

그래서 서버로 가서 콘솔로 로긴하면 다시 정상적으로 되구요. 콘솔 로긴하면

밖에서두 다시 접속이 됩니다.

왜 그럴까요? 알려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YSQL 클라이언트는 잘되는데 서버설치시 에러가...

FREE BSD 4.4 사용중입니다.
하두 작동을 안해서 포트로 MYSQL 을 재설치하는데 SQL클라이언트는
잘 설치되는데 SQL서버는 설치시 이런 에러메시지가...

If you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this upgrade, please re-
build this
port with the environment variable OVERWRITE_DB defined.
*** Error code 1

Stop in /usr/ports/databases/mysql323-server.
*** Error code 1

Stop in /usr/ports/databases/mysql323-server.
*** Error code 1

Stop in /usr/ports/databases/mysql323-server.

어떻에 해야하나요; DB 를 phpmyadmin 으로 접속해서 지웠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pm 으로 *.src.rpm 파일을 설치하려 합니다.

rpm 으로 *.src.rpm 파일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되죠?

그리고 패키지 간에 버전차이가 많이 나면 설치가 안되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다른 질문입니다.mysql 실행문제

또 다른 질문입니다...
mysql을 설치하고 서버 띄우고 접속할때 mysql -uroot로 접속하잖아요
근데 password를 걸면 접속이 안되요
mysqladmin으로 root를 패스워드 걸어주고 mysql -uroot -p
하면 패스워드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입력해도 acess deny메시지만 나오고
접속이 안되네요...-hlocalhost옵션도 줘보고 별짓다했는데 안되네요
책에서는 분명 이렇게 하면 된다고 나왔는데 왜 안될까요?

맨드레이크8.1이고 a.p.m은 새로 컴파일해서 다시 설치했습니다.예전 rpm판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nome의 노틸러스가 혼자 죽네요

전 KDE를 사용하지만 노틸러스라는 파일관리지가 아주 멋있더군요
근데 그걸 실행하믄 홈디렉토리 읽다가 그냥 죽어버려요
계정하나 만들어서 했을땐 설정에서 부드러운 그래픽 사용안함으로 했더니
한글이 잘 나오더군요...(윈메이커였음)근데 gnome에서 노틸러스를 시작하면
다시 죽어버리고 다음부터는 윈메이커로 해도 죽습니다...
제 계정에서 해도 마찬가진데...우선 노틸러스가 떠야지 설정에서 부드러운
그래픽 사용안함으로 해서 한글이라도 보지요...이건 실행조차 안되니...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_- 호스트 타입!!-_-

제가 컴파일 중에..
./configure를 하는데여...
이런 에러 메세지가 나오더라구여..

checking host system type... configure error can not guess host type;
you must specify one

호스트 타입을 못찾는다기에..함..host명령이 때렸쬬..-.-;; 근데 host
not found 라는 메세지가 나오고

컴파일 못하구 잇음니닷 ..

host정보나 이런건 /proc밑에 가상파일로 존재거같은데? 그걸 가지고 host명령
어로 보는건지...

-_-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