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부팅시 에러문제.. 답변 제발좀 부탁드립니다.

컴퓨터를 재부팅 하니까 아래 메시지가 뜨네요

Checking filesystems

/homeclean, 2188/500960 files, 418077/1000038 blocks
/tmpclean, 15/26104 files, 3322/104391 blocks
/usrclean, 17003/131616 files, 65837/263056 blocks
/var contains a filesystem with errors, check forced.
/var
Unattached inode 26523
/varUNEXPECTED INCONSISTENCY;RUN fsck MANUALLY.
(i.e., without -a or -p options)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filesystem check.
***Dropping you to a shell; the system will reboot.
***When you leave the shell.
Give root password for maintenance
(or type Control -D for normal startup)_ <<< _ 커서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로그인이 안되요~!

콘솔모드에서는 로그인이 되는데
x윈도우에서는 로그인이 안되요~!
패스워드까지 다넣고나면 몇초후에 화면이 깜박이다가
다시 로그인 화면으로 돌아 오거든요~!거참~~패스워드도 제대로 넣었는데
정말 미치겠네요 여태까지 온것도 너무 힘드네요
대답좀 해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MX-166 에 알짜 6.2 깔았습니다. xinetd 가 가능한가요?

MMX-166 에 메모리 16메가 에 알짜 6.2를 깔고 커널을
2.4.18 로 업을 하고 rpm 도 최신걸로 업을 했지요...
현재로선 아주 잘됩니다.
근데 inetd 를 지우고 xinetd 를 쓰고 싶은데 이시스템이 쓸수있는지 알
고 싶습니다.
쓸수있다면 inetd 는 어떻게 지우며 xinetd 는 어떻게 따로 설치를 해야하
는지도 알고 싶구요.
빠른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와우 7.1 을 깔려고 하다 깔수없다는 메세지때문에 6.2를 깔았는데요.
이 6.2를 7.1 대로 끌어올리고 싶은데...
어떤것들을 주로 업을 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현재 업을 한것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 server 에러랍니다... - -; 부탁드립니다

몇일 전에 첨으로 리눅스를 다운로드 해서 설치했습니다.

기대에 차서 1시간 반동안 인스톨하고 나서 (배포판 래드햇 7.1k)

껐다가 켰더니...... 모니터가... 꺼벅꺼벅 하더군요..

그래서 텍스트 모드로 로그인으로 다시 설치......했습니다

startx명령을 줬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failed to set default font
path 'unix/7100,/usr/X11R6/lib/X11/fonts/TrueType'
Fatal server error
could not open default font 'fixed'

When reporting a problem related to a server crash, please sen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명령어에서요..

useradd aaaa
하고 웹상에서
aaaa@해당싸이트
이렇게 치면 싸이트로 들어가지는데요..
desktop폴더만 있고..
다른폴더로 이동을 못하는데요..
ftp프로그램으로 하면
/home/aaaa로 들어가져서 내가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할수있거든요..
근데..
웹페이지에서는 desktop폴더만 있고
다른폴더로는 못가는데..

usradd 할때요.. 다른옵션이 있어서
다른디렉토리로도 이동할수 있는
그런 명령어도 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씁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pm의 spec파일에 관하여

rpm으로 패키지를 작성하기 위해 spec파일을 작성중에 있습니다.
작성중에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www.rpm.org사이트에서 rpm에 관한 정보를 읽어 보았습니다만, 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과 부족한 내용이 많아서 애로가 있네요.

=== 궁금 내용 ===
1.spec파일중에서 여러 section이 있는데 %build인가 %prep인가에서
소스를 빌드하는 내용을 추가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빌드란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제가 패키지화 하고자 하는 소스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bzImage를 했는데 /boot 디렉토리가 다 날아갔네요... 어떻게 된

커널 컴파일을 몇십번 넘게 했는데요...
make install을 했을때 /boot디렉토리가 날아간적은 있어도
make bzImage를 했을때 날아간적은 첨이에요...
이유가 뭘까요?
어떻게 주의를 해야 날아가지 않을까요?
그리고 혹시 /boot디렉토리가 날아가도 복구하는 방법 없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마스커레이딩에서 매핑시간 체크는 어떻게..?

안녕하세요.
리눅스 일자 무식입니다. 점 도와 주세욤
리눅스 마스커레이딩 할때요...
UDP하고 TCP 기본 매핑할당 하는 시간을 알고 싶습니다.
그러니깐 NAT에서는 포트를 서로 공유해서 쓰기 때문에 현재 NAT에서 쓰
고 있는 포트가 사용을 안하면 포트가 닫힙니다.
전 리눅스 마스커레이딩에서는 그거 디폴트로 몇초로 잡혀 있는지 궁금합
니다.

이것을 검사하거나 설정할려면 리눅스에서는 어떤 명령어로 가능하나요..?
알려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NS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도메인을 발급받고 krnic에 등록을 해야 한다고 하던데...
등록 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아님 그냥 네임서버만 설치하면 되나요...?
그럼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꾸벅~~~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NS로 핑테스트가 안되네요.

이번에 사무실이

8개로 분할된 C 클래스로, 255.255.255.224 의 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네
트워크로 들어갔습니다. 전용선 서비스 업체는 보라넷이라는 군요.

근데.. 이전의 전용선에서는 IP, Gateway, DNS 까지만 정확하게 해주면
되던 인터넷이 안됩니다. 한대에서만 그러는게 아니고 리눅스박스 모두
가 안됩니다.

문제는 윈도우 계열들은 잘만된다는 거죠. 아주 자~~~ 알....

리눅스에서는 IP 등등 바꾸고 network restart 해주면...
IP, Gateway 등등 모두 잘 바뀌지만 핑테스트에서 Gateway 까지는 되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