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드가 자꾸 모자란다고 나옵니다..

프린터를 유닉스용 프린터로 잡을려고 하니깐 하드용량이 부족하다고 자꾸 나옵니다.
프린터 포트는 IP로 잡고 예)192.168.0.xx
이렇게 하고 나서 OK 누르면 하드용량이 부족하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package update 시킬려고 해도 하드 용량이 부족하다고 나옵니다.
왜 그런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아님 하드 용량을 재할당 해야 하는것인지
아님 다시 깔아야 하는 것인지 ..
저는 서버로 자동 파티션으로 깔았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Linux 파티션 정리...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a6 381139 356436 5025 99% /
/dev/sda1 46636 7827 36401 18% /boot
none 514212 0 514212 0% /dev/shm
/dev/sda2 4127108 1402548 2514912 36% /usr
/dev/sda7 256667 63152 180263 26% /var
/dev/sda5 1984396 41760 1841832 3% /home

현재 위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에 할당된 용량을 늘이기 위해서 /usr 파티션의
용량을 / 에 할당하고 싶습니다.

해당 Data를 유실하지 않으면서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inux에서 pci to cardbus bridge 사용이 잘 안됩니다.

pci 타입의 무선랜을 pc linux에 설치하는데요,

움.. pci 무선랜 자체 ip에 핑은 되는데 외부로 나가는 핑이 안되네요.

ip setting 문제는 아니고, TX attempt prior to association,
frame dropped 하구 에러가 나는데..
쩝.. pci to cardbus bridge(TI1211 또는 TI1410사용) 옵션을
세팅해줘야 하는 것 같은데.. 자료두 없구..

어떻게 해야할까요?? 혹시 관련 자료라두...

yenta_socket을 사용하는데 관련 자료 아시는분~~

부탁하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가 갑자기 다운됐는데....

안녕하세요, 정인기입니다.

리눅스가 갑자기 다운되었는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어떤 로그파일들을 찾아봐야할까요?

지금 찾아본 것들은... /var/log/message 인데...

Aug 9 092000 ns kernel Unable to handle kernel NULL pointer
dereference at virtual address 00000000
Aug 9 092000 ns kernel printing eip
Aug 9 092000 ns kernel c0116e4f
Aug 9 092000 ns kernel pgd entry da79c000 0000000000000000
Aug 9 092000 ns kernel pmd entry da79c000 0000000000000000
Aug 9 092000 ns kernel ... pmd not present!
Aug 9 092000 ns kernel Oops 0002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cl/Tk 아시는분 꼭 보시고 도와 주세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기초부터 배우는 TCP/IP 애널라이저 작성과 패킷 해석이라는
좀 깔끔하지 못한 책을 샀는데요...그 책에서 Tcl을 연동하는 부분이 안돼
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에러메세지는
bash ./display.tcl bad interpreter 허가 거부됨
이렇게 뜨고요....
몇일동안 해볼려구 이리저리 찾아보고 물어봐도 잘 아는 분이 없더라고
요..그래서 여기까지 왔습니다....꼭 도와주세요...그럼 글을 읽어 주셔
서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두개의 nat입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요..^^
다름이 아니라..
라우터를 2개를 사용하고 있거든요..
한개는 사무실의 라우터이구요..
하나는 집의 라우터 입니다.
둘다 코요테리눅스를 이용하여, 설치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집에있는 사설 아이피의 클라이언트컴(win98)에서
사무실의 사설아이피의 ftp서버(linux)에 접속을 하면..
425 Can't build data connection No route to host
라는 메세지와 함께 접속이 끊어집니다.
ftp에 접속된 환영메세지도 볼수 있는데 말이죠..ㅜ.ㅜ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pache, php 환경 설정 해주었는데 8M 파일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웹사이트에서 8M 이상의 파일이 올라가지 않아서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해주
었습니다.

1. php.ini 파일
upload_max_filesize=10M
max_execution_time=120
로 변경하였습니다.

2. httpd.conf 파일에서
Timeout=200
KeepAliveTimeout=200
으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파일이 올라가질 않네요.
저장 버튼을 누르면 내용이 저장되지 않고 '찾을 수 없는 파일'이라는 메
시지가 뜹니다.
속도가 좀 많이 느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제가 httpd.conf에서 지정해준 시
간보다 훨씬 빠르게(15초정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가 오늘 처음 레드헷 7.2 패키지를 깔았는데요 ㅠㅠ


제가 오늘 처음 레드헷 7.2 패키지를 한 80기가 하드의 파티션으로

16기가에 깔았는데 설치까지 끝나고 재부팅하는데 윈도우로 자꾸만

부팅이 되네요.. 부트 로더로 GRUB 를 설치했느데.. 왜 이렇게 되는지

모르겠네요..ㅠㅠ 누가 아시는 분점 알려주세요...오늘부터 리눅스

열심히 배워볼려구 하는 사람이었슴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pm질문좀 하겠습니다. 답변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rpm에 대해서 공부좀 하다가

몇가지 의문이 나서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rpm에 관해서 여러가지 참고 문헌을 다 뒤적이다가

몇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다름이 아닌

제가 rpm패키지를 만들어서 그것을 다시 한번 깔아 봤는데

궁금한것은 다름이 아닌

spec파일을 만들때

옵션을 이런식으로 주었습니다.

%build
./configure
make
%install
make install
여기 까지는 제가 만든 rpm을 깔았을 경우
설치 하는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inetd 도와주세요

xinetd 도와주세요

redhat 7.1로 업그레드 했습니다, 그전엔 수세6.4 (커널2.2) 썻었어요
inetd 에 해당하는 xinetd (xinetd.con) 도저히 모르겠고 잘 안됩니다, 도
와주세요
우선 텔넷만이라도 되게 하는법좀 갈쳐주세요

현재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etc/xinetd.conf 는
defaults
{
instances = 60
log_type = SYSLOG authpriv
log_on_success = HOST PID
log_on_failure = HOST
}
includedir /etc/xinetd.d

/etc/xinetd.d/telnet 은
service telnet
{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