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네임서버 시동시...

우선 네임서버를 기타 여러 문서들을 보고 저의 서버에 맞춰

설정하고 실행시키려 하니깐...

/etc/init.d/named start

하려 하니....

시작........[실패]

라고 나오는데요....

이럴때 어디를 봐야 하나요?

named.conf, 아님..named.conf에 지정한 각 zone 파일인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ail???

저희학교 연구실에 리눅스 서버가 하나 있는데 얼마 전부터 메일이 안되더
군요. 머신네임은 hep8.skku.ac.kr인데 거기서 외부로 보내는 메일은
제대로 보내지는데, 밖에서 오는 메일은 받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sendmail에는 이상이 없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았
는데
hep8에서 telnet localhost mail이라고 하면
Trying 127.0.0.1...
Connected to localhost.localdomain.
Escape character is '^]'.
220 hep8.skku.ac.kr ESMTP Sendmail 8.11.2/8.11.2; Sat,17....
로 나오는데

telnet hep8.skku.ac.kr mail이라고 하면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네트워크상에 있는 홈페이지를 볼수 없어요

네트워크상에 서버가 총 3개가 있습니다.

방화벽이 있고 그 뒤로 프록시와 웹서버가 있는데요,

얼마 전에 문제가 있어 프록시서버를 다시 설치한 뒤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에서 URL을 쳐서 웹서버에 있는 홈페이지에 접속하
는 것이 안됩니다.

브라우저에서 사설아이피를 치면 들어가 지고, 네트워크 밖에 있는 컴퓨
터에서도 홈페이지에

URL로 접속이 가능한데..

... 말이 좀 긴데요, 정리하자면 네트워크상에 있는 홈페이지(웹서버)에
URL로 접속 하는 방법 아시는 분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웹서버 구축에 대한 파티션 문제입니다.. 고견부탁드립니다..

리눅스를 조금 공부하고 웹서버를 공부할려구 합니다...
물론 개인적인(영화, 여행등등) 목적인 웹서버입니다...
기초적인 리눅스 공부를 할때와는 달리 설치시 파티션 부터 다른것 같은데
요.
파티션을 어떻게 잡아줘야 될까요?

하드는 14기가(윈도우2000pro 설치)
46기가(기타자료)
80기가(기타자료)
18기가(리눅스 설치예정)
메모리는 576MB(512+64)
입니다...

/
/apm
/home
/data
swap 이렇게 잡을려구 하는데... 용량을 어떻게 해줘야 할지 감이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모질라에서 답변작성시 이전 제목이 그대로 따라붙는 문제

아래의 4166에 답변을 단 후에, 4164에 답변을 다니까 제목이 이전의 답변제목 그대로 따라 붙는군요.
어디에서 설정을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환경은 우디(2.4.18)에 기본설치되는 모질라1.0.0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NS상에서의 alias란 무엇인가요?

어제 하루종일 DNS상에서의 alias에 대해서 찾다가 도저히 안돼겠어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그냥 alias에 대한 간단한답변과함께 제목과같이 DNS상에서의 alias에 대
해서두 답변좀 달아주세요..
그럼 kldp유저분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ysql 에서 한글이 안 먹어요.. 도대체 왜..- -;;

안녕하세요
질문 좀 하겠습니다.
mysql 에서 한글이 안되는데 도무지 모르겠네요.
분명 설정시 한글도 될 수 있겠금 했거든요..

mysql> show variables like 'character_set' ;
+----------------+---------+
| Variable_name | Value |
+----------------+---------+
|character_set | euc_kr |
+----------------+---------+
1 row in set (0.00 sec)

이렇게 되면 무난히 잘 된게 아닌가요?
서버에서 직접입력해도 되지 않고 원격으로 putty 프로그램을 써도
한글이 영 입력되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소스트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려고 하는데...
설치과정에서 kernel source tree의 위치를 입력하라는 문구가 나오던
데...
이 kernel source tree가 뭘 뜻하는건지 모르겠어요.
다운받은 후 압축을 푼 그 경로를 입력하라는건지, 아니면 다른 무언가를
입력하라는건지????
그리고 데비안에서 .config파일이 뭐하는 거고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하네
요. 커널 컴파일 도중에 만들수 있다는데 어떤 과정에서 어떤 명령어로 만
드는지 모르겠어요.

초보자의 길은 멀고도 험하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elnet 설정을 마쳤는데 외부에선 접속이 안되네요..-o-

Redhat 7.1을 깔고 네트워크를 다 잡고..-o-

telnet까지 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내 컴퓨터에서는 내 컴퓨터로 텔넷 접속이 되는데..-o-

외부에서는.. 접속하면 반응이 없네요.-o-

네트워크는 분명히 확실하게 잡았습니다..

도움을 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inetd.d/telnet 에서 only_from ???

레드햇7.1에서 슈퍼데몬에서
외부로부터 텔넷이 가능하게하려면 xinetd.d/telnet화일
을 고치면 되는데 이때 only_from 하고 IP만 쓰게 되있더군요!
IP 대신 도메인 네임 으로 지정해줄수 없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