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윈도우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레드헷 8.0을 깔았는데...
한글이 안되네요~~
참 헛접한 질문인데..
텍스트 모드나 엑스 윈도우 모드나
한글이 안되네요
원래 안되는건지...아니면..
설정을 다시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한글이 될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모르겠네요
지금 그놈이거든요 한글이깨져 나오네요...

아시는분...답변좀해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he Linux Bootdisk HOWTO 를 보며...

The Linux Bootdisk HOWTO 를 보며
( http//kldp.org/HOWTO/html/Bootdisk-HOWTO/buildroot.html )

따라하고 있는데여...

dd if=/dev/ram0 of=/tmp/fsfile bs=1k count=3000 후..
( /tmp/file 파일 생성됨 )

mount -o ram=/dev/ram0 -t ext3 /tmp/fsfile /mnt 를 하면...

에러 메세지 fsfile는 슈퍼 블록 디바이스가 아니라고 나옵니다 -_-a

저 에러 메세지의 치료법-_-;을 모르겠습니다^^;

와우 리눅스 7.3 파란 R2
/dev/ 밑에 ram* 다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지금 프로그래밍을 하는데요,,,

지금 프로그래밍을 하는데요,,,
지금 유닉스명령어중에 RM명령대신에 자기가 만들어서 쓰는프로그램을 만
들고잇는데...
지금 밑에 써놓은 것정도까진 했걸랑요.. 근데 여기서 더이상은 못하겠어
서요~~
강좌란에 있는 걸 많이 참조해서 했거든요...
근데 거기있는걸 그대로했는데도 실행이 안돼요~~~
컴파일을 잘못했나요?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main(argc ,argv)
int argc;
char *argv[]

int unlink();
if(unlink(argv[1])==-1)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죄송) 솔라리스와 windows system을 COM1을 이용하여 연결방법.

솔라리스 8과 windows system을 serial로 연결할 일이 있는데
혹시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

windows에서는 하이퍼터미날을 이용하면 되는데, 솔라리스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이렇게 했는데 잘 안되더라구요.(COM1이용)

#tip /dev/ttya

리눅스 게시판에 올려서 죄송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웹서버에서 세션이 안먹힙니다...

웹서버에서 세션이 안먹힙니다..
웹에서 로그인을 하면 서버 tmp/에는 세션이 생기는데
웹에서는 로그인 인식을 못합니다..
또한 서버 tmp/에 생긴 세션에는 내용이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세션값 테스트 파일을 만들어서 웹에서 테스트해본 결과
/tmp에는 세션파일이 생성되지만 테스트파일을 실행해본 결과
전혀 세션값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tmp/에 생성된 세션파일에 내용이 하나도 들어가질 않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ysql설치중 configure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
checking if struct dirent has a d_ino member... yes
checking whether signal handlers are of type void... yes
checking for tgetent in -lncurses... no
checking for tgetent in -lcurses... no
checking for tgetent in -ltermcap... no
checking for termcap functions library... configure error No
curses/termcap library found

위와 같이 에러가 발생했는데 무슨원인인지를 모르겠습니다.
좀 알려주세요
gcc --version egcs-2.91.66 이구요
mysql-3.23.52 , redhat 7.2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ns설정~~좀알려주세여

설정파일입니다...

named.conf 다른 것은 거드리지 않았고요
zone "135.252.61.in-addr.arpa" { ----저희 아이피 주소는 61.252.135.**
임다
type master;
file "135.252.61.in-addr.arpa.zone";
};

zone "naradigi.com" {
type master;
file " naradigi.com.zone";
};
으로 설정하였구요

리버스 파일은
$TTL 86400
@ IN SOA @ root.localhost (
11 ;Serial
28800 ;Refresh
7200 ;Retry
604800 ; Expire
86400 ; ttk
)
@ IN NS ns.k-ibc.co.kr. --저희가 웹호스팅하구 잇는 업체의 dns서버임

100 IN PTR naradigi.com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레드햇 8.0

얼마전에 8.0을 다운받아 설치 했습니다.
원도우 XP랑 멀티 부팅 설치 했답니다...

제가 잘 몰라 여쭤 볼것이 몇 개 있어서 이렇게.....
바쁘시겠지만 부탁드립니다.

1.

이전까지는 와우 리눅스 파란 7.1 썼습니다.

그런데 제 랜카드를 잡지를 못하더군요...
(LG 110l PCI Ethernet Adepter 쓰고 있습니다.)

랜카드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깔았답니다..
(리눅스용 드라이버 커널 2.4.X 용으로...)

압축 풀고... touch * 하고.... make clean 하고... make 하면
오류가 나면서 *.o 파일을 생성하지 못하더군요... 그래서 insmod는 아예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pache를 ssl과 함께 띄우기???

433 port로 ssl로 apache를 띄우고 싶습니다~~
https//를 사용할 수 있도록요~

OS는 Debian Linux이고 apache에 mod_ssl를 붙여 설치했습니다...

설치된 경로는 dselect로 했으니 /etc/apache/에 있구요...

httpd.conf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현재는 apachectl start를 하면 그냥 80port로 뜹니다...

ssl이랑 연동하려면 어떤 부분들을 httpd.conf에 추가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ps1. 그리고 구글에서 좀 찾아보니깐, apachectl startssl이라고 하라던

apachectl에서는 start|stop|restart|...만 허용되던데, 이건 무슨소리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endmail의 로그 파일이 삭제 된후 로그가 생성되지 않아요..

고수님들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sendmail의 로그 파일이 삭제 된후 로그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잘못하여 센드메일의 로그 파일을 삭제 했습니다.
삭제하면 않된다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저의 실수로 삭제가 되어버렷습니
다.

가장 쉬운 방법으로 다시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십시
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