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ET: 44 messages suppressed

사용배포본 와우리눅스 7.1 파란

리눅스 설치를 하고 DNS설정을 한 후에 ntsysv해서 시작될때 실행하는 데
몬을 httpd, mysqld,named, proftpd 를 추가해서 재부팅했더니 첫화면 그
러니까 로그인도 안한 상태에서 갑자기
NET 43 messages suppressed
NET 57 messages suppressed
NET 36 messages suppressed
NET 53 messages suppressed
NET 44 messages suppressed

이런 메시지가 계속 넘어갑니다.
이런 메시지가 무엇을 의미하며 무엇때문에 생기는지 아시는분 도움 부탁
드립니다.
그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커널 컴파일 옵션?

커널 소스 2.4.20을 다운받아서 커널 컴파일을 새로 했습니다.
제 나름대로 kernel config에 관한 설명들을 읽어가면서 했지만, 결국 인
터넷이 먹통이 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분명 부팅시에 랜카드 드라이버 모듈도 정상적으로 올라가지만, 인터넷
접속은 안되네요...
케이블 모뎀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커널 컴파일 할 때 어
떤 옵션들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는지 아시는 분은 좀 가르쳐 주세요.
인터넷이 안되니까 너무 답답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해염?ㅜ.ㅡ

리눅스 설치했구염..리눅스 7.1 레드햇입니다.
웹계정에..용량 300메가 짜리 50분짜리 동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근데 윈도우상에서는 분명 50분으로 뜨는 동영상인데..
ftp올린후..인터넷 주로로 클릭해서 보면
30분동영상으로 미디어 플레이어에 시간이 나오고 나머지 뒷 부분은
짤려서 안나옵니다.
파일의디렉토리 위치를 바꾸어도 안되네요..똑같구요..
혹시 용량 업로드가 잘못되었나 시퍼서 ftp접속 해봤는데..올라가있는 용
량은 정상이며,
텔넷 접속해서 용량 확인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용량은 다 올라갔는걸루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pache + jserv를 설치를 했는데.. 이런 오류가..

[11/12/2002 020453718] (EMERGENCY) ajp12 connection fail
[11/12/2002 020453718] (ERROR) an error returned handling request
via protocol "ajpv12"
[11/12/2002 020453900] (EMERGENCY) ajp12 can not connect to host
127.0.0.18007
[11/12/2002 020453900] (EMERGENCY) ajp12 connection fail
[11/12/2002 020453900] (ERROR) an error returned handling request
via protocol "ajpv12"
[11/12/2002 020520056] (EMERGENCY) ajp12 can not connect to host
127.0.0.18007
[11/12/2002 020520057] (EMERGENCY) ajp12 connection fail
[11/12/2002 020520057] (ERROR) an error returned handling request
via protocol "ajpv12"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직도 답변못얻은] 네임서버 설정(버추얼 호스팅관련)???

[아직도 답변못얻은] 네임서버 설정(버추얼 호스팅관련)???

안녕하세요.

질문요지
===================
virtualhost 환경에서 네임서버가 인식을 못하는것 같은데 원인이 뭔지
요???
(url에 www.MYDOMAIN.co.kr, Neo.MYDOMAIN.co.kr 을 입력하면 화면에 안

오는데 원인이???)

[테스트 서버 환경]
=================
레드햇8.0
mysql-3.23.52

httpd-2.0.43
php-4.2.3
ZendOptimizer-2.0.3-Linux_glibc21-i386

저희 테스트 서버에서 가상호스팅을 설정하고, dns도 설정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uts_version이 뭔가요???

redhat을 사용중인 초보입니다.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려고 하는데... 도무지 되질 않네요.
설치문서에 보면,
edit the file .uts_version(pico or emacs) and ensure that the
correct kernel version is listed. If not, change it.
이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서 .uts_version이라는 파일을 찾을수
가 없습니다. 그리고 왜 파일 이름앞에 .이 붙는지도 의문사항이구요.
원래 이 플그램이 redhat에선 정석으론 설치가 되질 않는다고 합니다. 그
래서 설치가능한 tip 문서를 보면서 따라해보고 있느데.... 몇일째 삽질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은 어떻게하나요?

리눅스서버의 네트웍 트래픽을
mrtg 외에 간단하게 모니터링 할 방법이 없나요?
단순히 트래픽 수치만 프린트해줘도 되거든요..
제발 가르쳐 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시 나타나는 에러

모두들 안녕하십니까.

Wow Linux Paran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래픽 모드로 설치할려고 하니... 부팅이 안되고 컴은 스크린에
서 멈추더라고요.
그래서 텍스트 모드로 보니.

Calibrating APIC timer ....
...... CPU clock speed is 2017.9888 MHz
...... host bus clock speed is 0.0000 MHz
cpu 0, clocks 0, slices 0

까지만 뜨고 멈췄습니다.

메인보드는 ASUS P4S133
(******* SiS 645 Chipset *******
SiS사의 펜티엄 4 지원 칩셋인 SiS645칩을 탑재하고 있으며 인텔의
mPGA478 타입의 펜티엄 4 프로세서를 지원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depatch?

etherboot와 idepatch를 써서 부팅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ehterboot는 알겠는데..
idepatch가 하는 역활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고수님 있으시면 가르쳐 주십시오.. 관련 싸이트라도 가르쳐 주시
면 고맙겠습니다.

수고하십시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원격지에서 프로그램 돌리는 방법(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좀....

지난번에도 비슷한 질문을 한적이 있는데요....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서 프로그램을 돌려야 합니다.
그런데 이녁석이 로그아웃 후에도 살아있어야 한답니다.
그래서 여기서 얻은 답변이 nohup를 사용하는 방법이었는데요
잘되긴 합니다만....
다시 로긴했을때
실행중인 그 프로세스에 다시 들어가서 계속 작업을 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더군요...
너무 당연한 이야긴인가요? ㅜ.ㅜ

그래서 screen을 이용할려고 이녀석을 설치했는데....
에러가 나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