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dskim7의 이미지

cygwin root계정으로 login하는 방법?

cygwin root계정으로 login하는 방법을 아시는분 :cry:

jincha의 이미지

7.3에서 지포스 2 GTS 가 잡히지 않아서요.

cpu pentium 4를 사용하고.
512 메모리 사용하고
지포스 2 GTS 를 사용하고 있거든요.
7.3을 깔았구요..
x 윈도우가 실행이 되지 않아서요..
그래픽을 못잡길래...
그래서 사이트에가서
nvidia_kernel-1.0-4050.tar.gz를 다운 받고
nvidia_GLX-1.0-4050.tar.gz를 다운 받았거든요...

헌데.. nvida_GLX...는 압축이 풀어지는데
nvidia_kernel...는 압축풀때 에러가 뜨더라구요..

에러는

tarSkipping to next header
tarArchive contains obsolescent base-64 headers
gzipstdininvalid compressed data -- crc error

panda9의 이미지

TIME_WAIT 를 없애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linux(Red Hat, Kernel 2.4.9-21smp) 에서 php 4.2.2 를 사용하구요.
php CLI 를 이용, CRON 으로 원격에 있는 mysql 서버(mysql-3.23.54a)에 접속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원격에 있는 mysql 서버가 문제가 생겨 몇시간 동안 다운된 적이 있고 이 시간동안 로컬에 있는 php 프로그램은 CRON으로 실행하여
mysql 서버와 접속을 계속 시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래서 그런지 netstat -t 로 확인해 보면, 며칠째 원격에 있는 DB 서버로 수십개 이상의 TIME_WAIT 를 볼 수 있습니다.

hermian의 이미지

모든파일의 일치하는 문자만 치환하는 방법

보통 문자열 치환의 방법은 많이 나와 있습니다만
file에
kkk
kkkk
kkkkkk
kkkkkkkkkk
...

가 있을 경우 정확히 kkk만 jjj로 치환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즉 첫째줄은 바뀌어도 나머지는 바뀌지 않아야 합니다.
그것도 모든 하위 디렉토리에 대해서요.
vi로 일일이 열어서 할려고 하니 너무 힘드네요. :(
여러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dolbi의 이미지

SUSE Linux & Cross-X over ?

오늘 리눅스월드 컨퍼런스 & 액스포 2003을 다녀왔습니다.

그곳에서 수세 리눅스와 크로스 엑스오버를 탑재한 opendesktop을 살펴봤는데... 흠... 윈도 애플리케이션과 다양한 멀티미디어가(퀵타임, 윈도 미디어) 운여되더군요...

그곳 담당자에게 물어보니 한글 애플리케이션은 잘 모른다고 하던데... 혹시 수세 전문가분들중에서... 여쭙고 싶습니다...

수세리눅스에서 한글 윈도 애플을 함께 쓰려면 cross-x over같은 애뮬외에는 대안이 없나요 ? 래드핫이나 맨드레이크에서는 WABI를 돌렸었는데... 불편한 점이 많아서 거의 사용을 포기했었습니다...

pss1214의 이미지

루트아래 tmp 의 마운트 문제

저는 Redhat7.1 을 사용중인데요,
루트아래 /tmp 를 마운트 해서 여러 사람이 scratch 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을 하지 않는 파일이 어는 정도 시간이 지나면 지워져 버리는 일이 발생해서
데이타를 가끔 분실하는 경우가 있는데 혹시 지워지는 시간을 늘이는 방법을 아시나요?

poleni의 이미지

리눅스를 설치했는데 아무것도 할수 없네여..도움이 절실히 필요

리눅스 설치는 여기 있는 많은 고수님들의 도움으로 인하여 무사히 마쳤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매우 감사드립니다..
윈2000과 리눅스로 멀티부팅을 만들어놓았고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은 GNOME
으로 하였습니다.(무척 깔끔한 화면구성이 맘에 듭니다..)
근데 리눅스로 무엇 하나 할수 없습니다..
물론 이렇게 여기 질문을 적기전에 제 스스로도 찾아다녀봤습니다..
여기 있는 문서들도 읽어보고 하였는데 제가 원하는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도서관에서 책을 찾아봐도 리눅스에 관련된 서적이 매우 적고 또 제가 사용하는

andy의 이미지

어느 리눅스를 선택해야 하는지 알려 주세요

저는 이제 리눅스를 배워보려고 합니다.
어느 리눅스를 선택해야 하며, 어떻게 구할수 있는지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설치하는방볍은 어느 리눅스나 다 똑같은지요?

sayyeah의 이미지

fsck.ext3 사용시 궁금한 점입니다.

안녕하세요? :shock:

구글에서 검색해봐도 fsck.ext3 에 관련된 내용이 너무 적어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fsck로 ext3하드를 체크했다가 갑자기 파티션이 날라가버린 상태인데요.
fsck가 이렇게 무서운 줄은 몰랐습니다.
현재는 fdisk /dev/sda 하면 파티션은 보이나 mount가 안됩니다.
(mount /dev/sda1 /ss, mount /dev/sda1 /ss -t ext3 다 해봤습니다.)

fsck.ext3 /dev/sda1 하면
(fsck -t ext3 /dev/sda1 해도 똑같더군요)
e2fsck 가 실행되면서 ext2 파일시스템을 찾을수가 없다고 나옵니다.

은영신랑의 이미지

modlues.conf관련 질문이요

이해가 잘 안되는데요..
제 modules.conf 화일을 보면

alias eth0 tulip
alias scsi-hostadapter aic7xxx
....
등으로 되어 있고 lsmod해보면 tulip, aic7xxx등으로 올라가 있는데요.

임의로 alias etho tulipxxx 로 바꾸고 부팅을 하니깐 올라가지가 않더라구요.

이 modules.conf는 어떤식으로 동작하는건가요?
또 alias eth0 tulip만 해두면 자동으로 tulip이 올라가는건지, 아니면 다른
스크립트 화일같은데서 부팅시 올라가도록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건지요?
좀 복잡하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