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warpaint의 이미지

무선랜 설치에 관한 질문 인데염

o/s:radhat 7.3(kernel:2.4.18-3),삼성 매직 p-4(데스크탑)
wlan:linksys의 WMP11 v2.7의 무선랜(PCI card)
드라이버:linux-wlan-ng driver v0.1.14-pre6
위와 같은 환경에서 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혹시 설치해보신분이 있다면 제가 설치한 과정을 보시고 잘못 된 점 및 에러에 대한 해결방안 좀 알려 주세요!
setting(될수 있으면 자세히 기술 하겠 습니다)
1. radhat 설치전 시스템에 무선랜 삽입
2.radhat 7.3 설치
->설치중에 무선랜 인식 하지 못함
3.리눅스 설치후 부팅
->부팅중에 무선랜 인식 하지 못함

beprog의 이미지

한컴리눅스3.1ftp버전 설치후 부팅이 안됩니다.

레뎃만 쓰다가 한컴리눅스 함 써볼려고 깔았습니다.
부팅이 정상적으로 안되고 grub 쉘(grub> ) 비슷한 곳으로 들어가는군요.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fdisk로 하드를
/dev/hda1 (3G 한컴리눅스용)
/dev/hda2 (10G WindowsXP용)
/dev/hda3 (4G RH9.0 용)
/dev/hda4 (swap)
이렇게 나누고 우선 윈도우를 깔았습니다. 그리고 한컴리눅스를 깔았는데요 레드햇 깔기도 전에 부팅이 안되네요. 부트로더는 grub선택했습니다. 잘 안되길래 원래 윈도우 자료 다 날려가면서 새로 파티션 잡은 거거든요. 또 부팅디스켓으로 부팅도 해봤는데 잘 할줄 몰라서 무용지물이네요. 한컴리눅스 씨디로 rescue모드로 들어가도 마찬가지로 뭘 해야할지 몰라서요. 도와주세요.

mook0512의 이미지

vnc 어떻게 사용하는거죠?

Redhat9 (2.4.20-8)

설치시 vnc가 rpm으로 설치되어있더구요.
이걸 윈도우플랫폼에서 vnc viewer로 접속할려는데요, 안되네요.

vnc server를 따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나요?

x-manager가 안되서 vnc를 써볼려는데, 이것도 쉽지 않군요.

참, 저는 linux랑 윈도컴 두대가 공유기에 물려있습니다.(192.x.x.1
192.x.x.2)

cd9cd9의 이미지

디스크쿼터와 자동마운트에 대한 질문여...

여러 유저분들의 답변을 받고, 그 동안 디스크쿼터에 대한 궁금증이 어느 정도
해소되어
제 나름대로 디스크쿼터에 대한 공부를 하고 정리를 할려고 했는데, 문제점이 발
생되었어요..ㅠ_ㅠ
우선 디스크쿼터 설정을 위해 제가 진행한 과정을 나열해 볼께요,

1) /usr/src/linux-2.4.2 디렉토리로 이동
2) make xconfig 실행
3) Linux Kernel Configuration 창이 떠서 FileSystem 버튼을 누르고, Quota
Support 항목에 y
에 체크하고 Main Menu 버튼을 누르고 Linux Kernel Configuration 의 Main

alkaid1004의 이미지

NTFS를 지원할수 있게 할려면 커널을 어떻게 컴파일 하나요.???

계속된 질문에 민망하군요 ^^;;

답변 달아 주시는 분들 정말 고맙습니다...

커널 컴파일 과정을 좀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따로 커널 컴파일을
받을수 있는 웹사이트를 가르쳐 주시면 고맙 겠습니다...

초보라서 질문이 넘 많군요...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세요~^^ :roll:

불량도ㅐㅈㅣ의 이미지

[질문] USB로 리눅스 혹은 유닉스 깔아볼 생각인데....

리눅스 혹은 유닉스 설치할때...

제일 편한 것은 CD이지만,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면 플로피 디스켓으로 까는 것두 좋더군요.

요즘 USB 용량 적당하고 가격 적당한거 나오는데요.

혹시 USB로 부팅을 할려면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하죠?

1) USB 메모리 제품에서 부팅 기능만 있으면 된다

2) USB 부팅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이기만 하면 된다

3) 1,2번 두개 다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제 생각에는 2번만 충족되면 될 것 같은데....

맞나요?

alkaid1004의 이미지

흠... 아무도 NFS에 답변이 없으시군요^^;;; MPlayer9.0에 관한

설치 하시분.. 계시면요... 처음 어느것 부터 설치 해야 되는지 알려 주시겠습니까???

제가 이것만 잡고 3시만을 그냥 보내 네요 ㅡㅡ;; 미쵸... 제 실력이 딸려서 그러니 좀 도와 주세요...

지금 사용되는 패키지는 전부 홈페이지 에서 받았는데.. 자꾸 설치할려고 하는 패키지가 설치 되어야 된다고 하네요.... 도대체 어쩌라는건지... 제가 코덱을 설치하려고 하면... 지금 까는 코덱이 있어야 설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ㅡㅡ;;

참고로 전 그냥 rpm으로 받아서 하고 있습니다...

seed의 이미지

arp 명령 출력결과가 느린이유....?

arp를 치면 arp 테이블결과가 나오는걸로 아는데요.
arp치면 출력결과가 너무 느립니다. -_-
arp -s 로 방금전 입력한 주소인데도 말이죠..
한 10초 정도 걸리거든요...
이유를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lkaid1004의 이미지

NFS 에 관한 질문입니다..

NFS 에서 서버를 돌릴때.. 그냥 자기자신의 컴퓨터를 서버로 돌릴수 있는지 궁금 합니다... 자기 자신의 컴퓨터로 돌릴수 있다면.. 도메인 문제같은것은 어떻게 해결 하지는 궁금 하군요....

제가 아직 리눅스 초보라서 ... 질문이 좀 이상해도 이해를 해주세요^^;;

답변 드리면 감사 하겠습니다...
-------------------------------------
질문이 좀 이상 했나 보군요... 제가 아직 NFS를 처음 접하는 단계라서...

쉽게 제가 듣고 싶은 답은요...

만약 제가 친구와 NFS 로 서로 공유를 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NFS설정에서 보면요... 클라이언트 측에서 NFS로 서버 접속을 할적에... 도메인 이름으로 적접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제가 만약에 NFS 서버를 운용 한다면.. 제컴퓨터의 설정을 어떻게 잡아 주는가하는 질문이죠....

nulluser의 이미지

외장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했더니 root에게만 권한이 생깁니다.

소니노트북 Z505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ieee1394포트에 외장시디롬을 물리고 그 시디롬에 외장하드디스크를 물렸습니다.
# mount /dev/scd0 /mnt/scd
mount: block device /dev/scd0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 ls -l
dr-xr-xr-x 11 root root 4096 7월 18 2002 scd
시디롬은 모든 유저에게 읽기 권한이 있습니다.

문제는 하드디스크를 마운트 했을때입니다.
ntfs로 포맷된(윈도2k과 함께 사용중이라서..) 80G의 하드디스크를 물린후에 마운트 시켰더니
오직 root에게만 권한이 생깁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