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ai의 이미지

binary RPM 파일의 설치 과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1/ kernel-2.4.20-18.8.src.rpm 파일을 받아
rpm -ivh kernel-2.4.20-18.8.src.rpm 을 실행하면
/usr/src/redhat/SPECS/ 와 /usr/src/redhat/SOURCES/ 에
관련한 파일들이 생깁니다.
rpmbuild -bb kernerl-2.4.spec 을 실행하면
binary RPM 파일이 생성됩니다.

2/ 제가 궁금한 것은
spec 파일안에 %prep, %build, %install 섹션에서
수행되는 명령들, 스크립트 들을 사용해
바이너리, 소스 rpm 파일들을 만든다(build) 란 말은

rpmbuild -bb kernel-2.4.spec 명령으로 만들어진 바이너리 rpm 을 시스템에 설치할 때

MasterQ의 이미지

VDSL 공유 그냥 허브써도 괜찮은건가요?

VDSL 외장 모뎀이 있는데 공유를 하려면

인터넷공유기가 필요한가요? 아니면

그냥 HUB만 써서 모뎀에서 나온선을 uplink에 꽂고

나머지는 그냥 랜선을 꽂아서 쓰는게 가능한가요?

어디서 들은바로는 HUB는 쓰지 못하도록 해놨다고 하던데..

VDSL 공유 어떻게 하시는지 좀 알려주세요~

송지석의 이미지

mozilla firebird 안티알리아싱을 끄려면?

지금 젠투 리눅스 깔고 모질라 파이어 버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래 오페라를 깔아봤는데 한글 입력시 띄어쓰기를 하면 입력했던 한글이 없어져 버리는 현상이 나오길래.. 오랜 시간 컴파일해서 firebird를 깔았습니다.

그런데 기본으로 antialiasing이 켜있는 것 같습니다.

글씨를 볼 때 뿌연 것이.. 너무 심하네요. 글씨가 뭉개져 깨져보일 때도 있습니다. 마우스로 끌어서 블럭을 설정해주면 보이지만요..

오페라는 안티알리아싱이 안 켜 있는지 아니면 적절하게 되어있는 지 괜찮게 보입니다.

Karisma의 이미지

Kernel 업그레이드 관련..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현재 레드햇 7.2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있어서 깔려고 하는데 커널을 업데이트 하라고 나오는데
좀 난감하네요...

현재 커널 버전이 2.4.7-10인가 그렇고 2.4.9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라고
나오는데 여기 저기 문서를 찾아봐도 쉽게 알수가 없어서 질문 올립니다.

커널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toy의 이미지

thinkpad쓰시는 분들 질문요..........

thinkpad 380에 리눅스를 깔았는데요.
(옛날 구모델이죠..)
오른손 영문키가 숫자자판으로 쳐집니다.
왜그런가요...ㅠ
윈도우에서는 영문으로 입력되거든요....
오른손영문자판에보니 조그만 숫자들이 적혀있긴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cguy의 이미지

원인불명(?) 의 웹서버 장애.

참 의아스런 현상입니다.

특별히 문제없이 사용하던 서버인데.

대충 열흘전 한번 그리고 어제 한번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서버는 하나로 idc 에 입고했고요,

간단한 서버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Xeon의 하이퍼 스레딩으로 시퓨가 4개로 잡힙니다.)

cpu = Xeon 2.4GHZ * 2ea
memory = ecc/reg 512MB * 2ea
hdd = seagate 36GB ULTRA320 10000RPM

증상 정리.

1. httpd 프로세스의 cpu 사용률 독식. (각각의 httpd 프로세스 마다 cpu 사용량이 개당 평소 1~2% 를 넘어서 5~10% 로 올라감.)

zhangyuan의 이미지

single booting

부팅시...

'freeing unused kernel memory: 244k freed'

위의 메시지를 남기고 잠들어버립니다...멈춘다는 야그죠..

해서 싱글로 부팅할려고

linux single

linux 1

linux root=/dev/hda1 initrd=

위에꺼 다 해봐도 부팅이 안됩니다..

어떻게 부팅할수 있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purewell의 이미지

RH8에 NPTL 적용하기?

RH8의 커널소스와 Redhat프로젝트 페이지의 nptl 소스를 받았습니다.

이것을 커널에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kwon37xi의 이미지

iRiver IFP 시리즈 리눅스에서 인식되나요?

저는 iRiver IFP-180T 사용자입니다.
iRiver 홈페이지에 USB Mass Storage 장치로 만들어주는 드라이버가 올라와 있길래, 윈도우에서 그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포맷해서 음악을 잘 듣고 있습니다.
헌데 리눅스에서는 이게 UMS로 인식은 되는데, 디바이스가 안생깁니다.
즉, /proc/scsi 를 보면 usb-storage-0 이게 생기고 거기 있는 파일을 보면 Attatched=yes 가 뜹니다. 하지만, /dev/sda1 이런게 자동으로 안생깁니다.

그에반해 다른 UMS 장치를 연결하면 아주 잘 됩니다.

저는 Gentoo 리눅스 사용자입니다.

knhhack의 이미지

고수님들 제발 unix 문제점 풀어주세요... 급합니다.

제가 앞날을 위해 유닉스나 리눅스를 공부하려고 했는데, 그게 여의치 않터군요...
아튼 이번 여름엔 유닉스 공부를 좀 시작해보려구합니다.
그런데, 이번에 유닉스에 관한 문제를 풀어서 제출해야하는데, 도저희 무슨뜻인지 알수가 없네요... (유닉스와는 전혀 상관없는 직장인데,...) 그래서 여러분들께 부탁드립니다....
문제의 뜻도 모르겠구, 유닉스도 모르겠구, 총 5문제였는데, 3문제는 어떻게 물어물어 풀었습니다. 일요일까지 메일로 보내야하는데, 급합니다. 제가 공부좀 해서 풀어보려구 했는데, 시간이 너무 촉박해서 어쩔수가 없어 이렇게 여러분들 께 부탁드립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