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thxue의 이미지

커널 빌드시 make -j 옵션주면 시스템 뻗는 현상 있으신가요?

데스크탑으로 archlinux를 사용중 입니다. 커널 컴파일할일이 있어 3.9.6을 받아서 빌드를 하는데 make -j 옵션을 주어 빌드하면 시스템이 뻗어버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PC하드웨어 문제인가 싶어서 다른윈도우즈 PC에서 virtualbox로 archlinux를 설치하여 빌드해보니 같은 현상이 나오네요;; 원래 커널 빌드할때는 -j 옵션을 사용할 수 없는것인가요?

세벌의 이미지

yeeloong 노트북 데비안? 젠투?

GNOME Asia 2013에서 받은 8089D http://www.lemote.com/en/products/Notebook/2010/0310/112.html 에 데비안 설치하고 X 윈도 설정, 한글 세벌식, 영어 드보락 까지 성공하니 살짝 욕심이 생기네요.

http://www.gentoo.org/proj/en/base/mips/yeeloong.xml
참고해서 젠투에 도전해 볼까 하는데...

데비안과 젠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pci486의 이미지

웹 페이지가 이상한 현상을 보여서 질문 드립니다.

일단
a.com 이 있습니다.
버츄어 호스팅으로

DocumentRoot "/home/a/public_html/" ~~~~~~

이렇게 걸어놧구

유저 dir 쪽은

AllowOverride All
Options SymLinksIfOwnerMatch
Require method GET POST
Require all granted

이렇게 해 놓았습니다.

일단 페이지 잘뜨길래 됫나보가 라고 생각하고 있엇는데
우연찮게 존재하지 않는 경로를 입력하게 되었을때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기본 로그인이 a.com/log/index.php 라고 한다면
만약 a.com/log/index.p 라고 입력하면
브라우져 상에

a.com/log/log/log/log/log/log/log/log/log/log/log/log/log/log/index.p......

Mini-Me의 이미지

[급] CentOS 6.2 외장하드 디스크의 정보가 변경되었습니다.

USB외장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만, 저의 실수로 파티션 타입을 Linux에서 Win95 FAT32로 변경하고 말았습니다.
부리나케 Disk Utility를 이용해서 Edit Partition 으로, 다시 Linux로 변경시키고 있습니다만,
(첨부파일 이미지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1. 엄청 오래 걸리네요. 4일간을 돌려도 종료가 안되네요.
2. 하드디스크 안에 있는 데이터는 날아가나요?

리눅스 고수님들께 SOS를 요청합니다. ㅠㅜ

gildong17778의 이미지

-

yellowstone의 이미지

리눅스 업데이트 설치하려고 하니까 오류가나요...

페도라코어 18버전 쓰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실행하고 설치하니까 다음과 같은 오류메시지가 뜨더라구요.

mdadm conflicts with dracut-024-18.git20130102.fc18.x86_64 : Success - empty transaction

어떻해야 하죠?

foruses의 이미지

Fedora가 인식하는 usb 외장하드 크기 제한이 있나요?

하드디스크를 직접 보드에 물리는거랑 usb 외장케이스를 통해 연결하는거랑
인식하는 하드디스크 크기 제한이 있나요? 어떤 원리인지 몰라서요.

대용량 하드(2TB)를 직접 보드에 물리면 잘 인식하는데,
usb로 연결해도 별 문제없나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foruses의 이미지

윈7에 vmware player로 설치된 우분투 리눅스가 usb외장하드(ext3)를 인식할 수 있나요?

윈7에서 ext3형식으로 된 usb외장하드를 바로 인식하지 못하여,
vmware player로 우분투를 설치한 후, usb외장하드를 인식시키려고 하는데요, 가능할까요?
윈7이 usb외장하드를 인식하지 못하는데도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예전에는 explore2fs를 이용하면 윈도우에서 ext 포맷 디스크가 잘 읽혔던 기억이 있는데,
지금은,
Error: Block number 1196312900 is out of range!
가 뜨네요.
하드가 2TB 라 너무 커서 그런걸까요?
설마 깨진건 아니겠죠? ㅜㅜ

ngixnull의 이미지

DNS 서버 구축 중 질문 드립니다.

DNS 서버를 리눅스에서 구축할때
최종적으로 zone 파일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딱 막혀버렸네요 ㅠ.ㅠ

1. zone 파일에서 DNS 서버 IP를 지정하게 되는데요
www IN A 123.123.123.123 식으로
DNS 서버 IP를 입력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어떤 IP 주소를 입력해야 하나요?
제가 D-link 공유기 사용 중이라 관리페이지에서 나오는
네임서버 IP가 있던데 그걸 써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거나 쓰면 되나요?

hopeman1의 이미지

ARM 우분투에서 열심히 OpenCV를 설치하기 위해 다운을 받고, 작업을 했습니다. 그런데, 연결방법을 바꾸자 작업내용이 사라졌네요.

ARM 보드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중입니다.
리눅스와 ARM 모두에 깜깜이라 삽질을 열심히 하고 있어요~

평가보드와 노트북에 USB-Serial 케이블을 꼽고 PuTTY로 연결해서 터미널 열고 라이브러리를 컴파일 및 설치하려고 wget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운을 받았습니다.
물론 위치는 평가보드상의 SD메모리고 평가보드는 인터넷연결이 되어 있던 상태고요..

일이 좀 있어서, 시리얼 케이블을 빼고, PuTTY에 다시 IP를 입력하여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 했더니 그만 그간 작업한 내용이 하나도 없고, 깨끗하네요.
이런일도 있나요?

디렉토리들을 아무리 열심히 뒤져봐도 다운 받은 라이브러리는 온데간데 없네요..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하신분은 좀 도움 주세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