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oddman621의 이미지

리눅스 runlevel 설정 관련 질문 올릴게요.

Slackware 14.1 RC1 쓰고 있습니다.

/etc/inittab 에서 runlevel을 4로 설정한 뒤 guest라는 아이디로 자동로그인 되도록 설정하려 합니다.

id:3:initdefault:

라 되어있는 부분을

id:4:initdefault:

라고 바꿨습니다.(슬랙웨어에선 0과 5를 안 쓴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렇게 해놓고 kde가 시작되면 갑자기 scim이 먹히질 않고(한글입력이 안 되고) 사운드 드라이버를 잡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걸 3으로 돌려놓고 startx하면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혹시 저기서 더 건드려야 될 부분이 있나요?

forefog의 이미지

윈도우 서버에서 IP Forwarding 할 때

1Gbps 3port 시스템입니다.(각 랜카드는 다른 워크스테이션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하이퍼V(2008R2)로 돌아가는 게스트 운영체제용 가상 네트워크 1개가 있고요.

그래서 총 4개의 LAN카드의 대역을 서로 공유하려고 합니다.

현재 IP 포워딩이 안되서 워크스테이션 - 서버간은 잘 사용중인데 워크스테이션이 서버를 경유해서 다른 워크스테이션으로 연결되는 과정이 안되고 있습니다.(가상OS포함)

물리 허브로 묶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러면 3Gbps대역폭을 다 살리기도 어려울 것 같고 가상 네트워크는 여전히 분리되는 상태라 하고 싶지 않네요.

윈도우 네트워크 브릿지로 묶어버리면 간단하게 해결이 되는데 개별적으로 하면 100% 대역폭이 나오는 것들이 묶고 한회선만 돌려도 속도가 반토막나서 500MBps에서 왔다갔다하네요.

브릿지로 해결이 되면 굉장히 편하겠지만 일단 답이 안보이는 관계로 포워딩으로 해결 하려합니다.

IpForwardingEnable 활성화하고 NIC별로 기능 활성화 여부도 확인해봤는데 여전히 포워딩이 안되네요.

naearu의 이미지

Cento OS Whois 관련 질문

웹서버로 쓰고 있는 CentOS release 5.9 서버에서 문제가 자꾸 발생합니다.

가끔 후이즈가 CPU를 100%사용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강제로 해당 PID를 죽이면 해결되긴 합니다만, 어떤 문제인지몰라 근본적인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 문제의 해결방법을 아시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sitan81의 이미지

[Ubuntu] top 했을때 나오는 cahced 가 무엇을 나타내는 건가요??

아래는 제 서버의 top를 했을때 나오는 항목들입니다.

top - 21:20:41 up 8 days, 20 min, 2 users, load average: 0.27, 0.39, 0.43
Tasks: 180 total, 2 running, 178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4.7%us, 0.6%sy, 0.0%ni, 94.2%id, 0.0%wa, 0.0%hi, 0.5%si, 0.0%st
Mem: 8113120k total, 4911160k used, 3201960k free, 431808k buffers
Swap: 3906556k total, 0k used, 3906556k free, 3151704k cached

현재 저 cached라는 항목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피크시간이라 사용량이 점점느는것을 감안하기는 하겠지만

어느순간 8기가 뚤어 버릴지 걱정이 앞섭니다.

서칭 해본 결과 file을 cache 하는 것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지만

sitan81의 이미지

[Ubuntu ] apache2 + tomcat6 + jsp Spring 에서 최초로 외부 서버 접속시 17초의 딜레이가 생깁니다.

DNS 캐싱 관련된 이슈인것 같아서 관련해서 서칭을 아무리 해봐도 답을 찾을수가 없어
글을 남깁니다.

[Ubuntu ] apache2 + tomcat6 + jsp Spring 로 서버를 운영중이며

jsp Spring 에서

내부서버안의 행동이 아닌 외부서버( facebook )로 접속해 파싱해 올려면 17초씩 걸립니다.

최초 한번만 그렇게 되고 2번쨰 부터는 빠르게 응답합니다.

아마도 DNS를 찾아 헤메다 찾아서 저장해 놓는것 같은데..

이걸 좀 빠르게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rznyak7의 이미지

데비안 DVD안에있는 패키지 설치 질문

안녕하신지요?

제가 데비안을 사용하게된지 얼마안되서 많이 헤매고있습니다...
데비안서버에서 패키지를 받아서 설치하는게아니라
DVD안에있는 패키지로 한번 설치를 해보고싶은데요.
마운트시키고 pool 안에있는 deb 패키지파일들을 찾긴했습니다.
근데 dpkg로 설치를하니 의존성문제로 오류가뜨면서 설치가안되는게있더군요

질문은 제가 여기까지 온게 맞게 온건가요?
의존성 오류를 잡을 방법은 없을까요?

그리고 openldap 서버를 구성하려고하는데.. 이 패키지가 어딨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bakdorazi의 이미지

리눅스 질문은 아니고 HP-UX에서 시스템 Daemon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가 유지보수 하는 시스템이 HP RX6600입니다. 여기 OS가 HP-UX인데

OS에서 ps -ef 하고 봤을 때 프로세스들 중에서 모르는 것이 있어서 시스템 재부팅하기가 힘듭니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simonwal의 이미지

파일이 너무 많아 지워지지 않는 디렉토리는 어떻게 지워야 하는지 도와주세요 ㅜ.ㅜ

좀 황당한 경우입니다. ㅜ.ㅜ
아시는 분이 사이트가 이상하다고 서버 좀 봐달라고 해서 원격에서 접속을 했습니다.
한참을 뒤지다 겨우 알아냈습니다.
세션을 저장하는 디렉토리가 333M 더라구요.
세션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사이즈가 35바이트이여서...
디렉토리내의 파일수는 대충 계산해 보니 950만개더군요. --;
ls 치면 반응이 없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하겠지요.
ls -al|more 해도 반응이 없습니다.
rm -rf * 해봐도 반응이 없습니다. 혹시 지워지고 있나 해서
멀티접속해서 디렉토리 사이즈 체크해 봐도 30분동안 그대로 입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 세션디렉토리와 해당 파일을 지울수 있을까요?
참고로 조금씩 지우려고 find명령어를 이용해서 생성된지 1일된 파일만 검색해서 지워보려고 해도
감감무소식이더군요.
우선은 급한데로 mv로 디렉토리 이름 바꾸고 세션디렉토리 새로 만들어 놔서 사이트는 정상화 시켜놨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zepinos의 이미지

samba 에서 계정에서 기본 그룹을 별도로 지정해줄 수 없나요?

samba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aaa 라는 계정이 bbb 라는 그룹이 기본그룹이고, bbb, ccc 가 속해있는 그룹이라고 하면,

samba 에서 파일을 쓰면 aaa:bbb 로 owner 가 지정되는데, 쉘에서는 aaa:bbb 로 되지만, samba 에선 aaa:ccc 로 생성되길 원합니다.

예전엔 pdbedit -G 옵션으로 뭔가 조작이 가능했던 것도 같은데, 지금은 방법이 없는 건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hjsong2234의 이미지

모든 포트포워딩은 == DMZ ? (DMZ 구현 문제)

현재 이더넷 카드 두개로 DMZ(모든 포트 몰아주기)를 구성하려고 합니다.

all 포트 포워딩은 = DMZ 가 맞는 논리 인지요? 일단 찾아본대로 iptables setting 하다보니 몇가지 문제점이 생기더라구요.

여튼 궁국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pc1의 eth1로 들어온 모든 데이타(포트)를 eth2로 전달해서 pc2의 eth1에서 서버프로그램을 돌릴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 랜선 연결 표시 ===== =====pc1================== =====pc2============== =wan= <---> = eth1 : 192.168.147.164 = = = ===== = eth2 : 192.168.1.1 = <----> = eth1 : 192.168.1.2 = ========================== ======================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