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whitewolf8의 이미지

서버 locale 변경시 바뀌게 있나요?

작년 중순에 다른 개발자가 apache + tomcat + mariadb 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서버가 있습니다.
서버 os 는 rocky 8 os 입니다.

최근에 sms 서비스 문제로 sms agent 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locale 타입이 ko_KR.euckr 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미 mariadb 캐릭터셋 타입도 utf8 이고
tomcat 등도 모두 utf8 로 세팅이 된 상태인데

LANG=en_US.UTF-8 ==> LANG=ko_KR.euckr 로 변경하면
문제가 될것 같아서 망설이고 있는데

문제가 발생할까요?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ps. tomcat , apache *.log, *.out 파일을
tail -f catalina.out, apache_access.log 등에서
한글이 포함되 있어도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볼때도 깨지지 않고 잘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euc-kr 로 변경하면 깨질것 같아 고민이 많습니다..

queenmedley의 이미지

wayland에서 nvidia 가 성능을 못내는건가요...

gpu는 nvidia 1060이고 wayland 모드에서 그놈을 사용해 왔습니다.
얼마전 실수로 x11로 들어가서 스팀에 csgo2를 하게되었는데 렉이나 화면 깜빡임도 없고 너무
너무 부드러워서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wayland에서 랙이나 화면 깜빡임이 발생할때 게임이 무거워서 그런갑다 했고...
yuzu 나 mame 에서는 에러 많아서 아예 포기했는데 x11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고, 그래픽도 더 깔끔하고..

제가 nvidia 설정을 잘못했나 싶어 몇일동안 arch wiki 나오는 설정을 다 테스트 해봤는데 답이 없는거같습니다. 다른 분들 중에 nvidia로 스팀게임이나 mame, yuzu 하시는 분들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답답해서 사무실에 radeon 그래픽카드가 달린 리눅스 컴퓨터로 오늘 csgo2를 몰래 설치해서 해보니 이건 정말 부드럽더군요. 아무리 생각해도 nvidia (property)드라이버가 wayland 와 아직 최적화가 안된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wallash의 이미지

CentOS 7.9에서 사용중인 ssh를 CentOS 6버전대로 낮출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서버는 CentOS7.9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접속 터미널의 OS 버전에 따라서 사용하는 툴의 GUI상에서 로딩 속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CentOS 6 버전으로 접속하면 빠르고 7버전 이상으로 접속을 하면 랙이 많이 생기는데요.

그래서 혹시 ssh나 x11의 버전의 차이인가 싶어서 일단 ssh의 버전을
CentOS 6에서 사용되는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하고 싶은데요...
제가 초짜다 보니 생각보다 쉽지 않네요...ㅠㅠ

일단 커널이 달라서 잘 안되는 건가 싶기도 하고...
이게 가능한 건가요??

고수분들의 조언을 좀 부탁드려봅니다..

화정큐삼@Google의 이미지

커널 5 buildroot 에서 커널 6로 변경후 UEFI 콘솔출력이 안됩니다.

기존 커널5를 깃 워크플로우를 통해 unbuntu-lastest 만 지정해서 최종 커널버전인 5.15.26 를 사용중이였으나
필요에 의해 사용자 정의 커널버전을 지정해서 6.4.16 버전을 빌드해야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커널5 에서는 잘 동작하던 grub.cfg 가
커널6 에서는 화면이 동작하지 않아서 아래 라인에서 vga=791 옵션을 제거했습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grub/blob/main/boot/grub/grub.cfg#L66

linux /bzImage-friend loglevel=3 waitusb=5 vga=791 net.ifnames=0 biosdevname=0

vga=791 옵션을 제거하면 USB 레거시 부트에서는 640x480 의 해상도로만 콘솔이 출력됩니다.

그리고, UEFI 에서는 아예 출력이 불가능한데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ptables ssh 공격 질문입니다.

$IPTABLES -N blacklist
$IPTABLES -N ssh
$IPTABLES -A INPUT -m state --state NEW -p tcp --dport 22 -j ssh
$IPTABLES -A blacklist -m recent --set --name blacklist
$IPTABLES -A blacklist -j REJECT
$IPTABLES -A ssh -m recent --update --seconds 600 --hitcount 1 --name blacklist -j REJECT
$IPTABLES -A ssh -m recent --set --name ssh
$IPTABLES -A ssh -m recent --update --seconds 20 --hitcount 5 --name ssh -j blacklist
$IPTABLES -A ssh -j ACCEPT

위 명령은 ssh 공격을 막기 위해서 인터넷에서 확인해서 넣은 iptable 구문입니다.

lalupo20의 이미지

usb에 리눅스 설치하기 질문드립니다.

현재 128g짜리 usb에 데비안12를 설치했습니다.

usb를 끼면 실행할 os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구요

usb를 빼면 grub> 요 프롬프트?가 뜹니다. exit 입력해주면 윈도우로 부팅되구요.

현재 이런 상황인데

오늘 사무실 와서 다른 놋북에 usb 연결해보니 그럽메뉴 안뜨고 그냥 윈도우로 부팅되네요.

바이오스 설정에서 부팅 우선순위 바꾸는 화면에서 해당 usb가 안잡히구요.

무엇이 문제라 다른 피씨에서 부팅이 안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lalupo20의 이미지

리눅스 가벼운거 usb에 설치하면

컴퓨터 바꿔가며 쓸 수 있나요?

그리고 혹시 그렇게 된다면 설치할만한 가벼운 리눅스 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aha1283의 이미지

CentOS7.9에서 Rokcy9.2 OS Upgrade 시 데이터 보존 방법

몇개의 CentOS의 경우 사용량이 적어 전체 백업 후 OS Rokcy Upgrade 이후 백업 파일을 Rocky에 적용하였습니다.
문제가 되는 CentOS7.9의 사용량이 약 12TB 정도가 되는데, 백업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 서비스 다운 타임이 러프하게 잡아도 일주일정도가 소요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데, CentOS에서 Rocky OS Upgrade 시 기존 데이터 보존하면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parrier의 이미지

M2 슬롯에 파티션 할당시에 어떻게 하는 것이 나을까요?

추가적으로 질문 하나 더 드립니다.

현재 M.2 슬롯이 두 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개 중에서 한 개를 파티션을 나누어서 리눅스를 깔고 나머지 파티션을 디비로 구성하는 것과, 아니면 M.2는 DB 및 백업 용으로 빼두고, 따로 SATA3포트에 작은 SSD를 연결해서 여기에 리눅스 설치 등 전반적인 것을 구성하게 하는 것 중에 어떤 것이 더 나을까요?

성능에 문제만 없다면 혹시나 대비해서 M.2 슬롯은 디비 및 백업으로 놔두고 SATA3에 연결한 용량 작은 SSD를 리눅스 설치 등으로 쓰고자 하는데 그래도 M2슬롯과 SATA 속도 차이가 많이 나니까 무조건 젤 빠른 M.2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그 파티션을 쪼개서 쓰는 것이 나을까요?

basscraft의 이미지

CentOS 7 사용하시는 분들 OS 마이그레이션 준비 하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회사 서비스 중인 서버에 4~5년전 CentOS 7로 설치를 했는데요
2024년 6월이 만료로 알려져 있어서 OS 마이그레이션을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KISA 취약점 점검을 받았는데

glib 버전이 현재 2.17 인데 2.18이상으로 업그레이드가 권고 사항입니다.
openssl 버전도 걸리고...

glib 의 경우 CentOS 7에서는 공식적으로는 2.18이상을 지원하지 않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버전업을 잘 못 하면 아예 먹통이 될 것 같고...

해서 이참에 조금 땡겨서 OS를 바꿔 볼까 싶습니다.

현재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1. Rocky Linux
2. Oracle Linux
3. Fedora
입니다.

다른 회사들은 어떻게 준비 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OS 선택에 대한 조언이나 쉽게 하는 방법 같은 것도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