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매스커레이드에서요...

예전에는 고정 ip를 모두 할당해서 리눅스 서버에 연결해서 사용했는데요,

요즘은 서버에 매스커레이드를 깔아서 잘 쓰고 있습니다...

nfs도 아주 잘 되구요...

근데 nis 설정은 기존설정 그대로인데도 nis가 되네요...

되니깐 문제없어 좋지만... 이상해서요...

원래 매스커레이딩을 하면 내부 네트워크에 nis를 디폴트로 서비스

해주는지... 잘 모르겠네요... 아시는분은 쫌 깨우쳐 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200~300MB하드에 리눅스 인스톨..

안녕하세요.
특별한 이유로 200MB~300MB정도에 리눅스와 X를 깔려구 하는데요..
어떤 인스톨본을 쓰면 이정도에 X까지 깔수있을까요?
레드햇같은경우 패키지상에서 X만선택하면 400MB를 넘어버려
쓰기가 그렇구요.. 일일이 하나 손으로 깔면 될거같긴한데
리눅스에 많이 익숙하지 않아 혹시 인스톨본중에 300MB내에서 X까지
쉽게 깔리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쓸려고합니다.
커널은 일단 2.4커널을쓰고 다른것들도 어느정도 요즘버젼이면 되겠구요..
(그래서 레드햇예전버젼을쓰긴 좀그렇구..)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inux에서 1394 모듈의 자동 로딩

와우 리눅스 커널 2.4.2-2w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부팅할 때 마다 1394모듈을 손으로 직접 올리는데-_-

자동으로 어떻게 올리는지요?

/etc/modules.conf를 수정하면 될 것 같은데, 잘 안되더군요.-_-

올라가는 모듈은 3개인데, ohci1394, raw1394, ieee1394 이렇게 3개이고

앞의 두개는 ieee1394에 의존합니다.

/etc/modules.conf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요.

그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server error 에러 .. 레드햇리눅스에서

영문레드햇리눅스 7.1에서 KDE에서 그놈으로

변경하고 나니까..

X-Server error
keyboard..hadle
mouse ...

이런 메시지가 뜹니다.

당연히 X-window는 안되구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메모리 16 Ram의 컴에도 설치 가능한가요? 꼭 대답해 주세요.

펜티엄 166이 집에 있는데 버리긴 아깝고 해서 리눅스나 유닉스를 깔아서
쓰고 싶습니다. 그런데 파란 같은 것은 메모리 부족으로 깔수가 없다고 나
오더군요. 현재 컴의 사양은 CPU 166, Memory 16 Ram, Hard 1.6G 입니다.
좋은 방법을 아시는 분은 제발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게시판이 완전 도배다, 도배

제발 공부좀 하고 질문하시용.
게시판이 완존히 반복질문으로 도배도배도배도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멀티 부팅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리눅스에 아주 관심이 많은 왕초보입니다. 얼마전부터 리눅스를 접하게 되면서 집에 있는 컴에도 리눅스를
설치하게 되었는데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제가 30기가 하드를 10기가씩 파티션을 3개씩 나눠 쓰거든요. c드라이버에는 윈2000을 사용하구요. d드라이버는 백업폴
더로 사용합니다. 글구 e드라이버에 리눅스를 설치했거든요. 근데 리눅스는 설치가 잘 되었는데요. 윈2000이 부팅이 되지
않는거에요. 그래서 보니까 리눅스 리로에서 hda5, 그러니까 윈을 d드라이버로 인식하는거에요. 그래서 vi에디터로 다시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한국통신 MyIp에서 bind서비스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한국통신 MyIp에서 bind서비스가 가능한가요?

ns.aaa.org로는 되는것 같은데 www.aaa.org로 되는지 궁금하네요

kldp 문서를 찾아보았는데 이것때문에 그런건지...

public domain은 신청해서 받았는데

inverse domain은 isp에 신청하라고 되어 있는데 이걸 신청 안해서 그런
지..

한국통신에 신청 할 수도 없구...

아니면 다른 설정이 잘못되어서 그런건지...

그럼 수고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를 설치 시 파티션을 어케 나누어야 할 지...


제가 win98, win2k, linux 3개의 OS를 모두 사용해야하는데...
어떻게 파티션을 나누고 어떤 순서대로 깔아야 에러없이 컴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참고로 저는 주로 win2k와 linux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리눅스를 C coding 위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현재 하드는 40G입니다.
어떻게 파티션을 해야 리눅스 설치 시 나타나는 1024 실린더 에러도
나타나지 않을까요?

여러 고수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PM을 설치하는 중입니다.

정말 미치겠습니다.

APM을 설치하는 중입니다.
Mysql(mysql-3.23.47)은 설치에 성공해서 데이타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상태구요.

다음으로 PHP(php-4.1.1)와 apache(apache_1.3.22)를 설치하기 위해
[/usr/local/src/]에 압축을 풀었습니다.
그리고 apache소스 폴더로 이동해서 configure를 실행했습니다.

[root@localhost apache_1.3.22] ./configure

여기까지는 성공..
php를 설치하기 위해 php소스폴더로 이동한 다음 configure실행...

[root@localhost php-4.1.1]# ./configure --with-
mysql=/usr/local/mysql\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