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 php 프로그램으로 서버를 돌리고 있습니다.
한시간전까지만 해도 세션이 잘되던데 지금은 안됩니다.
증상은 이렇습니다.
로그인을 한후에 사용자 아이디를 session_register("s_id")로
등록한후 다른 파일에서 session_start()를 페이지 맨 위 상단에 적고
아래에서 세션 아이디 $s_id로만 볼수 있는 페이지를 보여주었는데
지금까지는 별문제가 없었거든요.
그런데 $s_id를 echo $s_id로 찍어보면 값은 나오지만 session_register
윈도우즈 환경에서 넷텀이라는 클라이언트로 작업을 할 때가 종종 있습니
다. 이맥스의 고급기능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이맥스에 더욱 친해지고파서
문서편집을 이것으로 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백스페이스가 도움말의 키로
바인딩이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delete 키로 백스페이스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어있지만, 다른 환경에서 작업할 때는 실수를 하게 됩니다. 어떻
게 하면 다른 환경처럼 백스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커널 패치해주었구요. 커널설정에서
Code maturity level options에서 Prompt
for development and/or incomplete code/drivers 를 설정.
Colsole drivers에서 Support for frame buffer devices 와 UNICON Support, 그리고
VESA VGA graphics colsole 을 설정했습니다.
하드가 하나더 생겨서 윈도2000과 와우 리눅스를 설치하려합니다.
하드 용량은 30기가와 13기가 인데 30기가 짜리에는 윈도 2000을
파티션 3으로 나누어 설치하려하고 13기가 짜리 하드에는 파티션을 2로 나
누어서 한 5기가는 와우 리눅스를 나머지는 윈도 시스템용으로 쓰려하는
데 어케 파티션을 나누고 마스터와 슬래이브는 어케 설정하고 설치 순서
는 어케해야하는지 좀 구체적으로 알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