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드추가

레드헷7.1한글을 파티션 /,/boot, /root, /usr, /home, /var로 각각 나누
어 설치하였습니다.

그런데 /usr부분의 용량이 부족하여 하드를 추가하여 사용하려 합니다.

새 하드의 용량만큼 /usr에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현재 기존 /usr
용량은 2.6G 이고 새하드는 1.2G 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ed hat 7.1 설치중 에러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전에 알짜리눅스 5.0을 설치해서 사용하던 컴인데요
이번에 레드헷 7.1을 설치할려고 하니까 자꾸 설치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타납니다..아시는 분은 도와주세요...

처음 설치옵션 파티션등을 설정하고 마지막 프로그램설치가 진행중에
약 30~40% 진행중에 설치 그래프 화면이 사라지고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화면 전체에 뿌려집니다.

install exited abnormally--recieved signal 11
sending termination signals...done
sending kill signals...mdrecovery thread
got worken up...mdrecovery threa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에 관해서 꼭~~ 리플좀 부탁

리눅스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은 학생입니다.
예전에는 윈도와 리눅스를 다른 하드드스크에 설치했다가 사정상 하드디스
크하나에 윈도와 리눅스 둘 다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리눅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티션 용랑이 얼마가 필요한지요
그리고 리눅스는 하드디스크 8기가 이후로는 깔리지 않는다는 얘기를 들은
거 같은데 사실인지요 좀 갈켜주세요
하드디스크 하나에 윈도와 리눅스를 설치하려면 파티션을 어떻게 나눠야
하는지 리눅스는 어느 파티션에 설치해야 하는지 꼭좀 알려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hcp설정이 제대로 된것 같은데 인터넷이 안되염

제가 와우리눅스파란7.1을 가지고 랜카드를 두개를 설정했습니다.
랜카드의 종류는 Realtek8139와 8130을 설정했습니다.
8139는 eth0로 잡혔고 8130은 eth1으로 잡혔습니다.
그리고 dhcpd.conf설정하고 네트워클 설정을 하고 아래와 같이 하니깐

/usr/sbin/dhcpd eth1

여기아래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러면 설정이 제대로 된거라고 생각하는

윈도우98에서 ip를 받아올수 없네염 ㅡ.ㅡ;; 머가 잘못됐는지좀 봐주세욤

Please contribute if you find this software useful.
For info, please visit http//www.isx.org/dhcp-contib.html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quid설정 문의

안녕하십니까?

squid설정에대한 문의를 드리려고 합니다.
현재 pc방에서 squid를 이용해 웹캐쉬서버로 사용하려고 설정중입니다.

한게임이나 넷마블, 심파일같은곳에서 한번 다운받은 자료를 또 받을때는
이상하게 전용선 속도로만 나오네요.
개인홈페이지 같은 곳에서 받는경우에는 내부 네트웍 속도가 납니다.
혹시 그 홈페이지들에서는 ftp를 사용해서 받아지는건지요?
손님들이 주로 사용하는게 한게임이나 넷마블 같은 온라인 게임인데요
그게 가능하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정을 해야하는지 답변부탁드릴께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공짜 텔넷 계정 쓸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실은.. 다름이 아니고.. 지금 겜방 알바하고 있거든요.

한데.. 좀 한가해서.. 조용한 시간에 vi하고 c 공부좀 할려고 하는데...

리눅스 텔넷 공짜 계정 쓸수 있는데가 있을까요???

집에는 adsl사용중인데.. 아직 인터넷 연결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

그럼..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vmware에서 서버 운영이 가능한가요?


제 집의 컴퓨터에 윈2000을 깔고 vmware3.0 안에 리눅스를 설치하였습니
다.
물론 인터넷 라인은 DHCP로, guest운영체제인 리눅스에서는 NAT로 네트웍
을 설정하여 쓰고 있습니다..
문제는, 리눅스에서 외부로 나가는 네트웍은 잘 되느데.. 외부에서 리눅스
로 접근하려 할 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리눅스가 host운영체제일 경우에는 유동IP를 매스커레이딩해서 iptables
로 접속이 가능한데, 지금 제 상황은 윈2000이 host운영체제이고 리눅스
가 사설망 속에 있는 guest운영체제이기때문에 그 방법은 맞지 않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황당한 질문 좀 하겠습니다 (부팅)...

메인보드와 하드디스크만 남아서, 쓰지 않던 셀러론 433 프로세서를
보조 서버로 사용할 생각으로 리눅스를 설치했습니다.
(와우 리눅스 7.1을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데서 부품을 떼어다가 설치하고 나니, 원래 것을 쓰지
않을 수 없어서 "서버로 쓸 건데 필요없는 건 도로 빼버리지..."
하는 생각에 CD-ROM, 모니터, 키보드 등등을 다시 뺐습니다.

근데 생각지도 못했던 그래픽 카드는 정말 문제더군요.
혹시나 하는 생각에 그래픽 카드까지 빼고 부팅시켰는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2000서버와 멀티부팅...

저는 하드를 2대씁니다.
C 는 40기가 단일 파티션 NTFS로 2000프로를 씁니다.
D 는 30기가인데 첫번째 파티션은 26기가로 NTFS에 2000서버를 깔았습니
다.
두번째 파티션 4기가중에 3기가를 /로 1기가를 스왑으로 잡아서 리눅스를
깔았습니다.
그리고 bootsect.lnx라는 파일을 40기가 C 의 루트에 복사하고 boot.ini
에 C\bootsect.lnx="Linux" 라는 줄을 추가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로 부팅은 안되고 다운이 됩니다.
D 에 2000서버를 깔때 C 의 전원 케이블을 뽑지 않았기때문에 boot.ini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DNS relay 와 DNS proxy 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염치없이 또 질문을 올리게 되는군요.
DNS relay 와 DNS proxy 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기는 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각각의 기능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기는 하는데 그리 많지가 않군요.
도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