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jazzsir의 이미지

[질문] AP Mac clone 한 후 Ping이 안됩니다.

AP에 MAC Clone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일단 구조는 AP는 public망에서 DHCP로 IP를 가져오고
AP뒷단에는 LAN으로 물린 PC가 있습니다.

MAC Clone 기능이 PC의 MAC을 AP에 복사하는거라고 해서.
걍~ 직접 집어 넣어 봤습니다.

그랬더니 AP는 public망으로 Ping이 안가고
PC는 AP의 WAN단의 인터페이스까지만 PING이 가고 public망으로 빠져나가지는 못하네요.
그러다 pc의 케이블을 뽑으면 한참있다가 AP에서는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다시 꼽으면 dhcpd가 실행되는 동시에 먹통이 돼버리네요.

네트워크 영역이 다르므로(LAN영역과 WAN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니) MAC이 같아도 될것 같은데.. 아닌가요???

MAC Clone이라는 기능이 MAC 주소만 같게 하는게 아니라 iptables 등 다른 부분 설정도 해 줘야 하는지요???

ioufeel의 이미지

일반PC와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리눅스 프로그램 성능차이?

회사에 컴퓨터를 새로 사달라고 할려고하는데
정확한 근거자료가 좀 필요합니다.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리눅스 수치계산 프로그램입니다.
메모리는 그의 별로 사용안하는것 같습니다.
일반 PC i7-2600과 300만원정도의 워크스테이션 컴퓨터에서
수치계산용 프로그램을 돌리면
워크스테이션이 훨씬 빠릅니다.
메모리는 별로 사용안하니까 패스~
일단pc는 듀얼코어이고 워크스테이션은 쿼드코어라 하더라도
프로그램이 멀티코어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인데....
일반pc는 약 6시간,,,워크스테이션은 약 20분
이렇게 많이 차이나는 이유가 뭘까요??

tama의 이미지

named.conf 파일 좀 봐주세요~ 돌아버리겠네요 .. ㅡㅜ

bind 9.3.x 버젼 사용중입니다.

아래 주석 처리한 부분 (view lcoalhost_resolver 이하 부분)이 문제인데요.

//view localhost_resolver {
// match-clients { any; };
// match-destinations { any; };
// recursion no;
//};

이 부분을 주석 처리하면 naver.com 이나 daum.net 같은 zone이 없는 다른 외부 도메인으로 질의가 잘 됩니다.

대신에 내부적으로 가지고 있는 zone 파일을 로딩을 못해요.

rndc status 해서 보면 number of zones: 0 이라고 뜨네요.

주석 처리를 해제하면 내부적으로 가지고 있는 zone파일 로딩은 잘 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vim]에서 w 로 파일 저장시 저장 경로의 지정에 대해

tab new로 임의의 파일을 열고 편집후에

w 파일이름 으로 저장하면

vim이 설치된 장소에 자동으로 저장이 됩니다.

이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을 아시는분은 가르쳐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tmp파일 지정장소와 backup파일 지정장소가 있는데

각각 무슨역할을 하는것인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halfelf의 이미지

[완료] 이런 경우에는 컴파일이 나을지 패키지가 나을지 모르겟습니다.

배포본은 centos 5.6 입니다.

하드웨어 적인 사양은 펜티엄 3 750mhz, SDR RAM 512M 2개, ASUS CUSI-M 메인보드, 삼성 8gb ide disk 입니다.

이 상황에서 mysql을 비롯해서 apm을 세팅시에 패키지가 아닌 컴파일로 하면 성능의 향상이 많이 될가요?

용도는 설치형 블로그의 사용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rbd 테스트 중에 이런 에러가 발생하니다. (Refusing to be Primary without at least one UpToDate disk)


안녕하세요.

근래 drbd, heartbeat를 이용한 mysql ha구성을 해보고 있습니다.

현재 drbd를 셋팅해서 테스트 중이며 일단 drbd 셋팅은 완료가 되서

primary(A서버), secondary(B서버) 서버의 파티션 동기화가 정상적으로 되고있습니다.

문제는.

현재 A서버의 drbd데몬을 내리고 B서버를 primary로 바꾸면

kernel: drbd0: State change failed: Refusing to be Primary without at least one UpToDate disk

에러와 함께 pirmary 로 변하지 않습니다.

제가 사용한 명령어를 정리하면

A서버에서

/etc/init.d/drbd stop 후

B서버에서 일단

cat /proc/drbd 로 확인해보면

xotrs의 이미지

페도라11 가상머신 부팅후 이상한 소리가 납니다

노트북으로 VMware7 에 페도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부팅하자마자 뚜뚜뚜뚜뚜뚜~ 하는 이상한소리가 계속 납니다. 음소거하면 소리 안나는거 보니 경보음은 아니고 단순히 소리인거 같은데....

검색해보고 댓글 처럼 해봐도 해결이 되지 않아서 이렇게 글쓰게 되었습니다.

해결 방안 아시는분 많은 댓글 부탁드려요 ~!

i4u4me의 이미지

linux Ap 만들기관련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심자입니다.
제가 Ubuntu 10.10으로 AP를 올려서 사용중 입니다만(hostapd이용 및 nl80211드라이버사용), 몇가지 드릴 질문이 있어 글 씁니다.

우선 AP로서는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AP를 올린 우분투 자체 네트워크(인터넷)이 안된다는 거죠;;
비교할건 아니지만 winxp같은 경우는 AP를 올려도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더군요;;
그래서 모가 문제일까 고민해보다 내린 결론이 bridge방법이 틀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bridge 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rctl addbr br0
brctl addif br0 eth0
brctl setfd br0 0

ljh0431의 이미지

리눅스서버로 고가의 방화벽을 구축할 수 있나요 ?

순수 리눅스 서버로 요즘 DDOS같은 공격을 막아내는 방화벽 장치를 만들 수 있나요 ? 기존의 무료 서비스를 이용해서요.
아니면 어느 정도 skill이 많이 필요하나요 ?
궁금합니다.

자일자일의 이미지

설정파일 버젼 관리는 어떻게 하는것이 좋은가요?

프로그래밍할 때에는 SVN을 이용한 소스관리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개발을 하진 않고 OS상에서 각종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일이 많은데
여러 인원이 설정을 변경하다 보니 버젼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예로..
httpd.conf 파일을 수정해야 하면
httpd.conf.2011-06-21 이런 식으로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하기보다 더 나은 방법이 없을까요?

단, 파일 수정 시 서버에 접속하여 vi/vim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