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mogpjh의 이미지

접속자의 CPU점유율을 제한 하고 싶은데 어떻게 제한하나요?

예를들어 a b c d 의 id를 가진 사용자가 있습니다.
a는 10%
b는 20%
c는 40%
d는 30%
의 cpu 점유율을 다르게 배분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kmk0838의 이미지

윈도우에서 emacs 사용시 한자키를 alt키로 쓸수 없나요?

요즘 emacs에 맛들여서 주력 editor로 쓰려고 하는데,
alt키의 위치가 조금 애매해서 한자키를 alt키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방법이 없을까요?

sb778의 이미지

[완료] dd에서 진행상황 보여주는 옵션이 없는 이유는?

작업 걸어놓고 4시간 정도 기다리다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왜 저렇게 만들었을까하는 물음입니다.
QnA 게시판에 올리는게 적절한지 모르겠네요.

dwlee의 이미지

CentOS 5.6에서 ~/.bash_profile 내 정의된 LD_LIBRARY_PATH 관련

CentOS 5.6 버전 쓰고 있는데요,

~/.bash_profile에 작성해 놓은
$LD_LIBRARY_PATH가 먹히질 않습니다.

분명 $LD_LIBRARY_PATH에 라이브러리 경로를 잘 적어주었는데,
gcc에서 -l'라이브러리명' 해주면 인식을 못하고
-L로 라이브러리 경로를 잡아줘야 인식을 합니다.

(~/.bash_profile 수정 후에 source ~/.bash_profile은 물론 해주었구요..)

root 권한 없이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ld.so.config는 손댈 수가 없습니다...

혹시 이런 증상 겪어 보신 분 계시는지요.. (그리고 해결하셨는 지..+_+)

normalized.signal의 이미지

콘솔 출력물들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ssh 를 통해서 screen(tmux) 같은걸로 작업을 하다보면.

지나간 화면 출력물들을 보기가 매우어렵습니다.

지금껏 사용자의 입력들은 history 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쉘상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모든 출력물들 (ls 결과물, make결과물, 등 모든 출력물)

에 대한 로그를 남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혹시, 이미 존재하는 거라도 있나요?

p.s. 1) 커널 메세지(dmesg) 말고, 단순히 터미널 상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결과물들입니다~

2) 매번 리다이렉션 해주는 방법말고, 자동적으로 되는것을 찾습니다~ history 처럼요~

jazzsir의 이미지

멀티캐스트 가능하도록 구현하려면??

유/무선 공유기(AP)를 만들어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멀티캐스트가 가능하도록 구현하려고 하는데요.
뭐부터 봐야 할지 모르겠네요...

구현 방법 및 테스트 방법 공유 부탁드립니다.

환경은 임베디드 리눅스이고요. 구체적인건 아래와 같습니다.

# uname -a
Linux cpe.amazon_s.infineon.com 2.6.20.19 #21 Fri Aug 12 09:54:58 KST 2011 mips unknown
# busybox
BusyBox v1.00 (2011.08.03-08:42+0000) multi-call binary

srdpt3의 이미지

locale -a

리눅스에서

locale -a 라고 하면 사용가능한 로케일 리스트가 나오는데요

막상 거기중 하나를 사용해보면 couldn't set locale properly.

그러면 거기 locale -a 해서 나와도 인스톨이 안되면 안되는건가요?

아니면 거기 locale -a 했을때 리스트에나오는건 인스톨된 패캐지들인데 뭐 어떤 설정이 잘못되있는건가요?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tjdtn1001의 이미지

아치리눅스 설치후...

아치리눅스 설치후 뭘 해야 할까요?

아치리눅스 설치 후 할 일 추천 부탁드림...

DebPolaris의 이미지

데비안에서 우분투로 전향한 분 계시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데비안 테스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한지 거의 4년이 넘었군요...

사실 데비안 만큼 편한게 없지만

이번에 학교 실습실에 실습용으로 우분투를 설치하고 나서 생각이 좀 변했습니다

처음 데비안을 선택한 이유는 데비안의 자유 소프트 정신 때문이었는데

노트북에 사용하기에는 데비안보다 우분투가 더 편한거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에 돌아다니다 보면 나오는 deb패키지의 경우 아무래도 우분투 개발자들이 많아서 그런지

우분투용이 많아서 데비안에서 호환이 안될 경우가 많거든요...
이 경우 컴파일을 해야 하는데 솔직히 좀 귀찮을 때가 많습니다.

서버용으로 데비안은 정말 최고의 OS라는 생각이 드는데

데스크탑용은 우분투가 낫지 않나 싶습니다.

혹시 데비안에서 우분투로 전향한 분 계시나요??

armadillo의 이미지

[완료]LFS에서...

반갑습니다.

시간을 내어서 linux에 대해서 학습해보려고 LFS(Linux From Scratching)으로
linux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하다가 중간에 막혔는데...
(전체적인 흐름이나 그런건 이해가되고, 별 무리없이 진행되는데...)

중간에 sed 명령으로 확인하는게 있는데,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sed 's@\./fixinc\.sh@-c true@' gcc/Makefile.inc.orig > gcc/Makefile.in 인데

중간중간에 나온 @ 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gnu용 sed 메뉴얼을 확인해봐도 @ 에 대한 특별한 설명도 없고...

...

이제 여름이 다 지나갔다고 하는데...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