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grieda의 이미지

svn 업데이트 방법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SVN 을 처음사용하는데요 작업한걸 커밋하고 업데이트만 하다 에전 작업과 충돌이 난다는 메시지를 만났습니다. ("directory_name" is already under version control)

작업하려는 것은 project/2011/four/ 안에 있는 html 파일과 images 폴더를 add 하는 거였는데요, 예전 작업했던 것에 이미 디렉토리가 있어서 작업을 하지 못 한다는 메시지를 만났습니다.

개발하신 분께 문의를 했더니 svn 히스토리 파일이 제대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것 같다고 하시면서 이렇게 해보라고 화면 캡쳐를 보내주셨습니다. 그대로 따라해서 문제는 해결이 되었는데 어떻게 해결이 된건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의를 드립니다.

전 맨 처음에

cd project/2011/four
svn cleanup
svn update

을 하려고 했습니다.

jamesiha의 이미지

하드디스크 상태가 이상합니다.

현재 wd raptor 150 x2 raid 0으로 묶여있는데요.

iostat -x 해보면 아래처럼 나오는데 2번째 디스크인 sdb의 avgqu-sz 값과 await, %util이 비정상적으로 높습니다.

hoyeon222의 이미지

우분투 postfix 설치 후 인증서 삭제

우분투 서버 10.10을 사용하고 있고,

메일서버를 위해서 postfix를 설치했습니다.

설치 과정은 우분투 포럼에 있는 과정을 그대로 했구요,

인증서를 등록하지 않아서

MS Outlook을 켤 때 마다

'사용자가 연결한 서버에서 사용하는 보안 인증서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대상 주 이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인증서 보기(V)...'

이 서버를 계속 하용하시겠습니까?

라는 내용이 계속 뜨네요,

사용은 잘 하고 있는데,

인증서를 등록할려고 해도 postfix 설치 과정을 그대로 따라만 해서

어떻게 진행해야 되는지 모르겠네요,

인증서 등록이나, 삭제를 통하여 해당하는 창이 안뜨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건가요...? 참조할만한 링크라도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heartthief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비대칭 CPU 지원하나요?

커널버젼 2.6 이후버젼에서 비대칭 CPU(멀티코어인데 코어의 주파수가 각각 다른 CPU) 지원하나요?

halfelf의 이미지

VMware 워크스테이션 8에 unity 모드 질문드립니다.

이 모드 XP모드에서 프로그램만 바탕화면에 가상으로 실행시켜주는 그런식의 개념인건가요?

이거 쓰려면 VM 게스트 머신안에 인스톨해서 안의 레지에 기록이 되있는것만 가능한지

아니면 포터블화해서 실행파일만 클릭하면 되도록 해둔 프로그램도 가능한건지?

djfcjslekd의 이미지

혹시 유닉스에서 자바 swing 또는 swt/jface 로 gui구현 하시는분들 계신가요?

개발프로그램으로 보통 이클립스 쓰시나요?

아니면 그냥 vim으로 코딩하시는지...

리눅스 옛날에 잠깐 써보고 윈도우 시스템만 써보다가 솔라리스로 넘어오니

잘 모르겠네요... 개발환경이 어떻게들 되시는지 궁금해서;;

bluekyu의 이미지

FTP 에서 파일 목록의 한글(UTF-8) 보기

ftp 에서 한글을 쓰는데, 약간 문제가 있어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일단, 리눅스 서버 쪽에서 한글(UTF-8)을 쓰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리눅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한글(UTF-8) 파일을 put 하는데에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ls나 dir 명령을 내렸을 때 파일명이 깨져 보입니다. 그렇다고 기존 한글 파일명으로 get을 하면 잘 받고, 받으려는 파일명 역시 깨지지 않고 잘 나옵니다.

ssh로 접속하여 볼 때에도 역시 한글이 잘 나옵니다.

오직 ls나 dir 할 경우에만 파일 목록에서 한글이 깨져서 보입니다.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참고로, 쿠분투에서 konsole을 사용하고 있는데, UTF-8 형식으로 화면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LANG 은 ko_kr.utf 입니다. 그리고 서버 측의 $LANG은 en_us.utf 입니다. 그리고 ftp는 기본 ftp 패키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gate21의 이미지

자취방에 서버를 세팅하려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대충...

그.. 자취방 건물에 선이 하나 들어와요..

그리고.. 그선은 iptime공유기에서 나눠져서 하나씩 방에 들어오는데요..

공유기는 제가 컨트롤 할수 있어요..ㅎㅎ 근데 문제는..!

제 방에 서버랑 노트북이 있는데 .. 서버라해도.. 그냥 컴에다가 centos깔아 놓은거 뿐이지만은

암튼.... 공유기에서 하나가 들어오는데요..

서버에 공유기 에서들어오는 선을 연결한다음 서버에 랜을 하나 더붙여서 그걸 노트북에 꽂으려는데..

그담에 iptime공유기 세팅할때 맥어드레스가 리눅스 서버것만 뜰건데 이래도 포트포워딩 걸어 놓으면 잘되나요??

음.. 대충 그림??을 그려보자면

자일자일의 이미지

[완료] NAS(NFS)를 이용하여 Linux와 Win 파일 공유 가능한가요 ?

안녕하세요.

Linux(RHEL)과 Windows(2008 R2)에서
NAS를 이용하여 파일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1. Linux 에서 NAS 접근
: 문제 없음

2. Windows 에서 NAS 접근
: 아래 방법과 같이 Windows NFS 서비스 설치 후 Mount

[NFS 서비스 설치 순서]
1. Launch the "Server Manager"
2. Click Role, Click "Add Roles" in the right panel
3. Click Next, Select the checkbox of "File Services", Click Next.
4. When the "Select Role Services" appears, select the checkbox of "Service for Network File System"
5. Click Next, Click install.
6. mount 10.5.5.1:/vg1-lv1/data e:\

sc1991의 이미지

웹서버 부하분산 관련 질문드립니다.

115.1.1.x
175.1.1.x
175.1.1.x

이런 아이피 처럼 ISP 가 다른 웹서버 3대가 있는데요. 붙어 있으면 편히 L4 스위치 같은거 고려해봤겠지만

서버호스팅 회사가 달라서 그런거는 고려 하기 어려울듯 하고 지금 사용하는 방법이 bind DNS round robin 인데

부하 분산이 고르지 못하는건 다들 알고 있으실듯 하고 한 접속자가

2번 서버에 접속이 되면 TTL 이 만료되기 까지 계속 2번 서버에 접속되게 되는 구조네요.

LVS도 dr에 관한자료 밖에 없고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lvs-tun 관련 자료는 외국 사이트 찾아봐도 너무나 없네요..

1,2번서버 centos 5.7 3번서버는 fedora 15 입니다.

ip는 각 서버당 공인ip씩 하나밖에 없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