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wsong의 이미지

libpcap 컴파일 하던 중에 에러가 나오는데요.


linux/can.h
linux/can/raw.h
이 두개 파일이 없다고 하는데요, 이게 어떤걸 설치하면, 헤더가 추가될까요?

philemonbaek의 이미지

RAID 구성시에 포맷방식(꼭 답변 주세요 ^^;)

안녕하세요

지나가신다면 작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제가 하드를 EX2 형식으로 포맷했습니다. 개인서버는 EX2가 EX3보다 좋다고 해서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요

1.

그런데 RAID 할때에도 mdadm을 사용해서 묶을때도 md0,md1을 포맷형식을 지정하던데
제가 ex3으로 잡는다면 어떻게 되나요?
하드는 ex2로 포맷했는데 RAID에서 ex3으로 한다거나 ex4로 한다면?

2.

mdadm으로 설정할때 --create /dev/md1 --level=5 --raid-device=3
--spare-devices=1 /dev/sda1 /dev/sdb1 /dev/sdd1
하려고 하는데
--spare-devices=1 <--여기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bsakiag의 이미지

Unix 서버로의 Telnet이 windows 에서 접속할때만 느립니다.

리눅스 데스크탑에서 터미널로 telnet을 사용할 때는 전혀 못느꼈던 건데,
이상하게 윈도우7에서 secureCRT 나 putty 로 telnet으로 들어가면 타이핑 입력이나, ls 같은 출력이
조금씩 (어떨땐 많이) 느립니다.

서버나 윈도우7 쪽의 장비 이상은 아닌거 같구요..cpu로 거의 0% 상태에서도 이러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은근 불편하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유투브에 저절로 동영상을 올려놓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여기다 벌써 여쭤보긴 했습니다: http://kldp.org/node/121036
근데 질문방이 아니라서 여기다 다시 물어봅니다:

제가 아이폰으로 만든 추억의 비디오를 외부 HDD 에다 저장할려니, 물이나 불로 인해 고장나거나 누가 훔치면 그만이라, 유투브에다 올려놓고 싶은데, 일일이 올려놓으려면 시간이 너무 많이 소모되고 귀찮습니다. 게다가 default 가 공개이기 때문에 일일이 private 비디오 설정을 해놓아야 되는데 이것도 자동으로 할 수 있을까요.

보통 15분보단 적게 녹화하지만 15분이 넘으면 저절로 두편으로 나누어져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어지게 하면 좋겠습니다. 비디오 제목은 찍힌 날짜 로 하면 되겠습니다.

이게 답글이었습니다: "PC 에 영상을 받아놓고, perl/python/ruby/php 등의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해 youtube API 로 일괄 업로드를 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쓰시면 됩니다.

halfelf의 이미지

Hyper-V 지원 OS목록을 보다보니 든 생각입니다.

Linux 배포(1개의 가상 프로세서로 구성된 VM)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0 서비스 팩 2(x86 버전 또는 x64 버전)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0 서비스 팩 1(x86 버전 또는 x64 버전)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0 서비스 팩 2(x86 버전 또는 x64 버전)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1(x86 버전 또는 x64 버전)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5.2 및 5.3(x86 버전 또는 x64 버전)

공식적인 리눅스 지원 목록은 다음과 같은대요 이런식이라면 RHEL의 카피 수준인 CENTos라던가 RHEL의 시험버전인 fadora 같은 경우는 별 문제가 없을가요?

djenadpekzm의 이미지

[완료] 모든 트래픽을 openvpn 서버로 우회시키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학교에서 홈서버 접속, 온라인게임, 메신저등을 하고 싶어 알아보았습니다.

학교는 80번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가 막혀있으며, 각종 사이트들이 차단되어 있습니다.

일단 환경은 이렇습니다.

클라이언트는 Windows, 서버는 Debian Linux 입니다.

KLDP의 openVPN문서 및 여러곳에서 도움을 받아 openvpn 접속까지는 성공하였으나,

홈 서버로의 연결(to 10.10.10.1, 보라색 화살표)은 잘 되는데 외부네트워크로의 연결은 평소와 똑같이 갈색 화살표를 따라갑니다.

초록색화살표처럼 openvpn 서버를 경유해야 뚫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여기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서버가 공유기 밑에 있지만 DMZ설정 해 두었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opaquespot의 이미지

asdf

asdf

halfelf의 이미지

가상머신으로 공유기 제작시의 의문.(수정)

광랜으로 연결관 호스트에

VMware나 Hyper-v 게스트 OS로 리눅스를 잡고

여기에서 다른 물리적 이더넷 카드 -> 허브 -> 다른 장비들

식으로 공유기 역활을 "시킬 수 있다" 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저 리눅스에 설치형 블로그 , 이메일 서비스 , FTP 서버를 구축해서 사용하면서

위에 언급한 기능을 구성해서 쓰고 싶은대요.

이경우에 게스트 리눅스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브릿지로 해야하나요 NAT 방식으로 해야하나요?

추가: 회선이 가정용 광랜으로 호스트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이경우에 게스트 리눅스 쪽에서 웹을 서비스하고 메일을 서비스하고 FTP를 서비스하면서 라우터기능을 하도록 해야한다는거죠

daum1130의 이미지

윈도우 서버 2000 라이센스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윈도우 서버 2000 OS 라이센스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윈도우서버 2000 에 오래된 컴팩 서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입년도가 아마도 2002년도이거나 2001년도 일것 같습니다.
사내 ERP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서버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이번에 새로 델 서버를 구입할려고 하는데 서버를 새로 구매하게 되면
윈도우 서버 2000 OS 라이센스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서버 새로 구매해서 고스트로 카피해서 이전할려고 하는데
문제 없을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bluekyu의 이미지

파티션 오버랩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

이번에 우분투가 새 버전이 나와서 새로 설치를 하려고 하는데, 파티션 인식이 안되서 진행을 못하고 있습니다.

이전까지는 리눅스만 사용하다가, 윈도우즈를 최근에 설치해서 멀티부팅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즈 설치 후에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으로 파티션을 볼 수가 없습니다.

parted로 확인을 해보니까, 파티션이 오버랩될 수 없다고 나오고, fdisk -l 을 확인해보니, start와 end가 같은 파티션 2개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것을 수정하고 싶은데, 방법을 찾지 못하겠습니다. 해결 방법 좀 알려주세요.

ps. 아래에 fdisk 명령 결과가 있습니다. fdisk -l 에서는 5번과 6번 파티션의 start, end 값이 같습니다.

-----------------------------------------------------
< fdisk -l 명령 >

omitting empty partition (5)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