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is2123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sata디스크 배드섹터 체크가능한 툴이 있나요???

badblocks 처럼 실시간으로 퍼센테이지 나오면서 배드섹터를 검출할수 있는 툴이있나요??

smartctl -t offline /dev/sd1 이런식으로 하면 퍼센테이지나 실시간 처리결과가 안나와서요..

혹시나 아시면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ant01의 이미지

cdrom 없이 페도라 설치하기

노트북에 cdrom이 없어서 usb로 부팅 설치를

진행 중 install.img를 카피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와서

네트웍 부팅하여 nfs를 이용 하여 설치하려 했으나 분명히 nfs작동하고

마운트 되는 것도 확인 했는 데 설치시에는 마운트 할 수없다는 메시지 나와서

어떻게든 설치하려고 /dev/sda3에 iso 이미지를 풀어서 통째로 카피하고

usb로 부팅하여 설치이미지 위치를 dev/sda3으로 지정하여 설치하려 하였으나

이 또한 설치 이미지를 찾을 수 없다 합니다. 분명히 있는 데도요 이 때문에

벌써 일주일 넘게 고생하고 있습니다. 어떤 빙법이라도 설치 가능한 방법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지리의 이미지

BIND 동적인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NSUPDATE를 이용해 동적인 업데이트를 하고 있는데
존 파일에 업데이트는 한참이 지나서 되고 있습니다. 이 존파일에
쓰는 작업을 조절할수 있는 설정이 따로 존재하나요?

리플 달아 주시는분들 복받을겁니다. ^^

cleansugar의 이미지

디스크 없이 운영체제 설치하는 PXE를 개선한 gPXE 프로젝트

PXE는 시디롬이 없는 컴퓨터에 리눅스 등을 깔 때 씁니다.

랜 내의 다른 컴퓨터에 tftp서버외 dhcp데몬을 띄우고 리눅스 이미지를 올려둡니다.

설치할 컴퓨터의 바이오스에서 랜부팅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걸 개선한 gPXE는 DNS, HTTP, iSCSI등을 추가할 수 있고 랜카드의 플래시 롬이나 메인보드 바이오스를 변경해서 쓰기까지 합니다.

http://etherboot.org/wiki/start

글 올리고 나니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지네요.

ant01의 이미지

iso를 이용한 네트웍 설치

네트웍으로 pxe부팅 하는 것 까지는 어렵게 되었는 데요

nfs를 이용하여 iso이미지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nfs의 역활을 windows에서 리눅스에서 할 수 있는 방법 모두를

알고 싶습니다.

서버로 쓰려고 넷 북을 하나 장만 했는 데 dvd rom이 없어서요.

도움 기다리겠습니다.

ant01의 이미지

페도라 13 iso를 이용한 네트웍 설치

네트웍으로 pxe부팅 하는 것 까지는 어렵게 되었는 데요

nfs를 이용하여 iso이미지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nfs의 역활을 windows에서 리눅스에서 할 수 있는 방법 모두를

알고 싶습니다.

서버로 쓰려고 넷 북을 하나 장만 했는 데 dvd rom이 없어서요.

도움 기다리겠습니다.

djenadpekzm의 이미지

tftpd-hpa 연결 거부..

평소 vsftpd 를 이용하다 시스코 장비 백업으로 인해 tftpd-hpa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설정법이 무지 간단해서 좋아라 하고 서비스를 켜고 ftp접속을 해봤습니다.

Status: Connection attempt failed with "ECONNREFUSED - Connection refused by server".
이렇게 뜨면서 접속이 안되네요.

/etc/init.d/tftpd-hpa, /etc/default/tftpd-hpa 그 어디에도
disable=no 같은 옵션도 없이 ftp경로, 사용자 이름, 포트 번호같은 기본 옵션 뿐인데, 정말 모르겠습니다.

한시간 가까이 구글링하다가 안되서 여기 글 남겨봅니다.

뭔가 정말 기초적이고 바보같은 것에서 실수한 느낌입니다. ㅠㅠ

isty2e의 이미지

Ruby를 여러 사용자가 있는 시스템에 설치하려 합니다.

모든 유저가 tcsh를 쓰는 상황입니다. 관리자가 gem을 설치하면 모든 유저가 퍼미션 문제 없이 gem을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여태 시도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데...

1. ruby를 직접 컴파일: root 이외에는 gem을 쓸 수가 없었습니다.

2. rvm: 모두 tcsh를 쓰고 있어 여러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tcsh에서 bash로 rvm command를 넘기게는 할 수 있습니다만 rvm default 등의 명령어가 잘 먹지 않고, 또 퍼미션 문제를 피하며 gem을 쓰려면 모든 유저가 .rvmrc를 설정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어떤 방법이 제일 나을까요?

cleansugar의 이미지

크롬 브라우저 검색내용 구글에 전송한다는데 보신 분?

크롬 브라우저가 매 방문 사이트인가를 구글 서버에 전송한다는 글을 읽었는데 패킷 스니핑으로 확인해본 분 계신가요?

언제 어떤 정보가 유출된다는 건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