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aloha1981의 이미지

[완료] 리눅스 서버(웹서버) + LG NAS(파일서버) 로 연동하기

제가 못찾은 걸수도 있지만 아무리 찾아도 안보여서요.

리눅스 서버(웹서버)에서 게시판 글을 올리고 파일을 첨부하면
LG NAS(파일서버)에 첨부파일이 올라가고,
게시판에서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무엇을 어떻게 설정을 해야하는지 알수 있을까요?

직접 알려주셔도 좋고, 관련 정보가 있는 곳의 링크를 알려주셔도 좋아요.

참고로 리눅스 서버는 우분투 서버가 설치되어 있고,
두 서버 모두 고정 IP를 가지고 있습니다.

prankenmk2의 이미지

[완료] bash의 배열을 perl 배열로 복사 하는 법

안녕하세요~

필요한게 있어서 bash로 스크립트를 한창 짜다가 perl이 필요한 부분이 생겼습니다.

필요한 Perl소스는 인터넷에서 찾아 수정해 만들어 놓았는데 문제는 배열 복사 입니다...

Bash의 배열로 담은 데이터를 perl의 배열로 옮겨야 하는데 방법이 전혀 떠오르질 않습니다....

이것저것 떠오르는데로 해봤지만 무용지물....

어떻게 해야 할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ixedsys 폰트


windows7 환경에서 putty로 unix/linux 에 원격 접속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폰트는 fixedsys (12pt) 쓰고 있는데요,
아직 fixedsys보다 나은 폰트를 못 찾겠더군요..

그런데 크기만 조금 작았으면 좋겠는데요,
혹시 이 환경에서 10pt 정도 크기로 쓰기 좋은 fixedsys와 유사한
폰트가 있을까요?

나눔코딩도 좋긴한데 줄간격이 너무 좁아서 불편하더군요..

hynosis의 이미지

RHEL 5.6 에서 바탕화면으로 device 가 생기는 문제

먼저 설치시 잡았던 파티션은
/boot 200m
swap 16G
/ 50G
/log 150G
/usr 10G
/var 10G
/home 나머지

이런식으로 되있는 것을
/boot 200m
swap 16G
/ 10G
/LOG 200G
/usr 10G
/var 10G
/mysql 10G
/maxgauge 10G

로 log 는 리사이즈로 50 G를 추가로 할당해 주었구요. 전부 internal disk 입니다.

일단 fdisk 를 통하여 포맷 해주었구요. (ext3)
그 후에 e2label 로 라벨링.
fstab 에 새로운 파티션인 /mysql /maxgauge 등록
포맷후 리부팅

하였습니다.

문제는 usb 같은 디바이스를 꽂았을때 바탕화면에 나타나는 현상 처럼

바탕화면에 /mysql /maxgauge 가 생겼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통신사 마켓에서 구글마켓에 못 팔게 막나요?

안드로이드 통신사 마켓에 올린 유틸리티나 게임을 구글마켓에 못 올리게 비공식적으로 압박하는 경우가 있나요?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그런 적 있었죠.

음원이나 영화도 그런 경우가 일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공정거래가 아닐 것 같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치리눅스 CD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오래된 컴퓨터가 하나 생겨서 개인용 서버로 활용해볼까 합니다.

리눅스는 거의 우분투만 사용해봤구요. 처음으로 아치를 사용해볼려구 합니다.

일단 설치는 완료했는데 네트워크 설정이 가장 큰 문제더군요. 참고로 무선랜만 장착되어있고 내장 랜카드 없습니다.

아치 위키를 찾아보니 무선인터넷 설정에 ifconfig, iwconfig, iwlist, dhcpd 명령어가 사용되던데 문제는 이 명령어가 없네요...

CD를 통해 라이브 부팅을 했을때는 사용 가능한걸로 보아 설치가 안된듯 합니다.

설치당시엔 패키지 중 base-devel 을 선택하는 방법을 몰라서 base 하나만 선택했는데 혹시 그때문일까요?

네트워크 설정용 명령어가 기본 설치가 안되면 어쩌라는 말인지...

그래서 말씀입니다만 위에 나열한 명령어들을 따로 CD를 통해서 설치할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재설치라도 해볼까 하는데 어느 패키지에 포함된
명령어인지라도...

dpkg랑 APT 외에는 거의 건드려본적도 없으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합니다.

goh_nerd의 이미지

맥에서 scp로 윈도우즈 클라이언트 접근할 때 command

초봅니다.
파일을 옮기려는데 scp 사용법을 잘몰라서 질문드립니다.
호스트는 올드맥이고 클라이언트는 윈xp 입니다. 윈도우즈에서 pscp로 맥에 있는 파일을 가져올 때는 잘됩니다.
문제는 거꾸로 하고 싶은데 잘 안됩니다.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터미날명령어로 파일을 옮기려고 합니다. 옮길 장소는 d:\example 이라면

scp /Users/Documents/..... windows_client_name@ip주소:d/example/

이렇게 쳤는데 반응이 없습니다.
제가 볼 때 이상한 부분이라면 콜론(:) 다음 부분인 것 같습니다.
d:\example 이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방식인데 이걸 맥에서 잘 처리하는지 모르겠네요.

인용부호(')를 사용해 보기도 하고, 'd:\example'
슬래쉬를 바꿔보기도 하고, d/example/
슬래쉬를 두개 써보기도 하고 d//example/
역슬래쉬며 위의 인용부호까지 포함해서 몇가지 조합을 사용해봤지만 전부 안됩니다.

제비의 이미지

파이어 폭스가 이상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주소에 들어가보면:

위젯 로딩중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이게 나옵니다.

그리고 구글에서 뭔가 검색할 때는 첨부된 파일에 올린ㅐ로 나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entOS공부중인데 RedHat 9+책으로 해도 될까요?

리눅스 공부를 한다고 하니 지인께서 "서자룡의 리눅스9+ 그대로 따라하기" 라는 책을 주셨습니다.

버전을 보니 상당히 오래된 것 같은데도 이제 걸음마(명령어) 단계라 현재 CentOS 버전과 차이점을 잘 못 느끼겠습니다..

혹시 심각한(?) 차이점이라던가.. 그런게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ukyoukyo의 이미지

Solaris 11 정품은 어디서 구입하나요 ?


Solaris 11이 출시되었다고 하던데,

정품(?)이란것이 존재한다면 다운로드 하는건지요 ?

구입해야하는거라면 판매점 좀 알려주세요.

회사에서 사서 쓰려고합니다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