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heisenjoy의 이미지

Apache에서 httpd.conf 파일을 이용하여 접속 제한을 주고 싶습니다.

<Directory "/var/www/test">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Deny, Allow
 Allow from 127.0.0.1 192.158.75.10
 Deny from all
</Directory>

현제 제가 설정해 놓은 httpd.conf 파일의 일부입니다.

여기에 추가로 접속을 허용하고 싶습니다만, ip주소가 아닌 Mac address로 입력을 하고 싶습니다.

fe80::340c:eddf:2251:a319%16

의 Mac address를 갖는데 어떻게 입력을 해줘야할지몰라 고민중입니다.

단순히 소/중/대괄호를 이용해서 ip와 구분해주면 될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heisenjoy의 이미지

Apache에서 httpd.conf 파일을 이용하여 접속 제한을 주고 싶습니다.

<Directory "/var/www/test">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Deny, Allow
 Allow from 127.0.0.1 192.158.75.10
 Deny from all
</Directory>

현제 제가 설정해 놓은 httpd.conf 파일의 일부입니다.

여기에 추가로 접속을 허용하고 싶습니다만, ip주소가 아닌 Mac address로 입력을 하고 싶습니다.

fe80::340c:eddf:2251:a319%16

의 Mac address를 갖는데 어떻게 입력을 해줘야할지몰라 고민중입니다.

단순히 소/중/대괄호를 이용해서 ip와 구분해주면 될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poiq1의 이미지

IP주소로 컴퓨터 정보 가져오는 방법

안녕하세요.

사설망에 있는 특정 아이피가 어떤 컴퓨터인지... 찾아야 하는데.. 문제는 안보이는겁니다.

분명 ping를 때리면 네트워크가 살아 있는데... 해당 정보를 볼 수 가 없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nbtscan 명령으로도 해당 정보를 못읽어 오더라구요..

그런데 이상하게 ping은 대구요...

윈도우 시스템에서 nbtstat 명령어로도 찾아지질 않네요...

이거.... 일일이 컴퓨터 찾아다니는 방법 말고.. IP주소로 해당 컴퓨터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gomnutu의 이미지

무선 USB 네트워크 어탭터 사용하시는 분~

arm 보드에 우분투 올려서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우분투에서 BELKIN N+ Wireless USB Network Adapter F5D8055aK 지원하는지요?

윈도우에서는 설치CD 넣고 설치해야 인식을 하는데 우분투에서는 그냥 사용이 가능한지....

우분투에서 이런 장치를 사용하려면 디바이스를 깔아야 하는지 등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Soi의 이미지

[완료]리눅스 설치 자체가 안되네요.

우분투, 페도라 모두다 설치가 안되네요.
왜이런건지 알수가 없는데..

우선 페도라 설치하려 할때는

Fedora 16 설치중에 로딩끝난후 GUI화면 출력이 되지 않고

dracut Warning : No root device "live:/dev/disk/by- label/Fedora-16-i686-Live-Desktop.iso"found

Dropping to debug shell.

sh : Can't Access tty : job control turned off

dracut;/# _

라고 뜨고 우분투도 비슷하게 커널화면만 뜨고 GUI쪽으로 안넘어가네요..

왜이런건지 아시는분..

컴퓨터 사양은..

----컴퓨터 사양----

CPU : Intel i5 2500

RAM : 8GB

그래픽카드 : Geforce GTX560

HDD ; WD500GB - SATA III
메인보드 : Asrock H61M-S

hexagon의 이미지

gnome에서 KDE로 교체한 후 GDM이 안뜹니다.

정확한 상황은 좀더 복잡한데요...

openSUSE 11.1 + Gnome + gdm 환경에서 xdmcp를 잘 사용하고있었습니다.

그러다가 openSUSE 11.1 + KDE + kdm 환경으로 옮겼더니 xdmcp가 안돼더라구요.ㅠㅠ

이런... 그래서 어차피 유지보수 기간도 끝난 버전이겠다!! 해서~ openSUSE 12.1 + KDE + kdm으로 업그래이드...
xdmcp가 안돼네요..-_-

그래서 openSUSE 12.1 + KDE + gdm으로 했더니 xdmcp로 잘 로그인이 됩니다.
문제는 로컬에서 gdm이 안떠요...콘솔로그인도 안뜨고...GDM배경만 뜬상태에서 그냥 계속 멈춰있습니다.

gdm log파일이 뭔지도 모르겠고...난감합니다.kdm은 로컬에선 잘되는데 xdmcp가 안돼고...

gdm 로그파일 뭔지 알려주시면 올려드릴게요.
해결책 좀 찾아주세요.

zaneiru의 이미지

리눅스를 처음 접해보려고 하는데... SSD에 설치해보려 합니다.

리눅스 어제 입문한 완전 초보인데요;;;;

정말 몰라서 여쭙는거니... 너무 몰아세우시지는 마시구요 ^^;;;

만약에 외장 하드 케이스에 ssd를 넣고

그 외장 하드 케이스에 있는 ssd에 리눅스를 깔아도 무방한건지..

참고로 centOS를 깔아보려고 합니다.

prankenmk2의 이미지

ipvsadm의 sh와 dh 방식의 차이점이 뭘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질문을 많이 올리게 되네요...

모르는게 너무 많습니다.

현재 ipvsadm으로 웹서버 2중화를 셋팅하고 있습니다.

셋팅 자체는 어렵지 않게 완료 하였습니다.

필요한 설정은 세션문제로 동일한 클라이언트가 웹서버 2대 중 한대에만 연결이 되어야 하는 설정입니다.

예를 들어 1.1.1.1 IP의 클라이언트가 A웹서버로 연결 되면 그 후에도 계속 A웹서버로 연결되고

2.2.2.2 IP의 클라이언트가 B웹서버로 연결 되면 그 후에도 계속 B웹서버로 연결되어야 하는 겁니다.

man페이지 및 구글링을 하니 SH방식과 DH방식이 눈에 띄어 테스트 하니 두가지 방식 모두

동일한 클라이언트에선 한가지 리얼서버로만 연결이 됩니다.

그래서 SH방식과 DH방식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검색으로 보니 둘다 동일한 리얼서버로 연결해주고 SH 방식은 멀티 게이트웨이나 멀티 방화벽, DH방식은 캐쉬에서 쓰다는거 같은데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는 모르겠습니다.

python477의 이미지

[질문] SPARC 크로스 컴파일러 빌드시 에러가 납니다.

안녕하세요.

SPARC용 리눅스 커널 이미지가 필요해서 공부도 할 겸 직접 커널을 빌드를 해보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을 해서 몇 가지 자료를 찾아 그대로 따라해 보고 있는데 크로스 컴파일러를 빌드하는데서
에러가 나서 진행을 못하고 있습니다.

우선 빌드 환경은

ytt123의 이미지

Cygwin도 Xmanager처럼 그래픽창 복사하기 (화면캡춰) 가능한가요?

Xmanager는 그래픽을 띄운 후, 열린창의 좌측상단을 우클릭하면 그 창의 내용 또는 윈도우를 화면캡춰식으로 복사하는 기능이 있는데요, (복사 후, 다른 문서 등에 붙여넣기 위하여...) Cygwin에서는 유사 기능이 없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