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cleansugar의 이미지

웹서버에서 php, jsp등의 스크립트 소스까지 동시에 공개하는 방법 있나요?

웹서버는 php, jsp등의 소스를 해석해서 결과만 보여줍니다.

그런데 소스도 함께 공개하고 싶을 때, 보통 압축해서 따로 공개합니다.

그런데 이걸 개별 파일이나 모든 파일의 묶음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요?

웹서버에서 php, jsp등의 스크립트 소스까지 동작도 같이 하면서 동시에 공개하는 방법 있나요?

coliauct의 이미지

홈 서버 OS - Solaris, CentOS 중에서

네트워크 분야로는 매우 기초적인 지식만 아는 사람입니다. 집에 간단한 서버를 하나 두려고 하는데 처음에는 리눅스를 배우려고 했지만, 솔라리스를 사용하면 zfs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고민중입니다. 걸리는 점은 오라클이 썬을 인수하면서 오픈솔라리스가 중단됐다는건데, 솔라리스의 미래가 어둡다는 글을 여럿 봤습니다. 그런데 솔라리스 11이 출시됐고, 이에 대한 의견은 찾지 못했습니다.

주된 용도는 파일서버이고, 아주 가끔 필요할 경우 APM으로 XE 같은 것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하드웨어는 아톰 기반의 저전력 컴퓨터로 하나 조립할 예정입니다. centos를 사용하면 zfs를 쓰지 못하지만 centos가 여전히 좋은 os인지라, 솔라리스가 이정도 간단한 용도에 큰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집에서만 쓸 생각이니 라이센스 문제는 없고, 솔라리스나 리눅스를 공부해서 나중에 직업(현재 학생)에 활용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여러분들이 보시기에는 어떤게 나아 보이십니까?

ant01의 이미지

에볼루션 초기 설정시 화면 잘림(페도라 13)

페도라 13을 넷북에 설치하여 모든 설정 끝내고 마지막으로

메일서버 구성하여 에볼루션을 기동 하여 메일을 주고 받으려

시도 하였으나 앞으로 단추를 눌러야 하는데 아래쪽 단추 부분이

잘려 화면에 보이질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몇번은 엔터키로 그냥 넘어 갔지만 신상 정보를 입력하는

곳에서 더이상 엔터로 넘어가질 않습니다. 화면을 축소하여 단추부분을

보이게 하려고 시도하였으나 화면이 상하로 축소가 되질 않습니다.

이미 다른 노트북에서 그대로 사용하던 서버를 이전 중인데 어떤 화일을 카피하면

에볼루션을 설정하지 않고 사용 할 수 있나요 ?

또 이 상태에서 설정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지요?

beyondbelief의 이미지

openmpi 를 multi node 에서 돌릴때, 작업이 돌아가질 않습니다. 원인이 뭘까요?

실험실에서 Rocks 클러스터를 새로 설치했습니다.
쿼드코어 threading(x2) 해서 쓰고 있습니다. 노드랑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구요.
큐 시스템은 Rocks 기본 설정인 SGE 쓰고 있구요. ssh 사용하구요.

문제는 openmpi 작업을 실행하면 노드 하나에서는 시리얼이든 패러럴이든
잘 돌아가는데, 노드를 여러개를 묶어 돌릴때면 큐 상에서는 돌아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정작 각 노드에 들어가서 top으로 확인해보면 cpu usage 만 올라가지
memory usage가 0%로 표시되면서 전혀 계산이 돌질 않습니다.
아웃풋도 안써지고 에러 메세지도 출력이 안되구요.
근데 mpich 계열은 또 돌아갑니다. -_- 아주 잘 돌아가는 것은 아니지만..

혹시 이런 문제를 겪어보신 분 있으신지요?
ssh key도 문제없고, nfs 설정도 문제는 없습니다.
firewall 에 상관없이 안돌아가구요.

viper9의 이미지

서버의 파티션 설정 어떻게 해야 최적일까요?

그동안 가상서버를 쓰다가 이제 새로운 서버를 구입해서 데이터를 이전을 하려고 합니다.

새로 구입한 서버는 250GB SATA 하드디스크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가상서버 업체는 파티션을 나눠서 해주셨던데 이번 서버호스팅 업체는 파티션을 통으로 잡아놨네요. 쩝...;; 운영체제도 32비트로...; 그래서 다시 운영체제 설치하고 파티션 잡아달라고 요청하려하는데요.

기존 서버는 80기가 디스크였고 아래와 같이 할당되어있었습니다.

/ - 2기가
/tmp - 1기가
/usr - 6기가
/usr/local - 8기가
/var - 8기가
/dev/shm - 500메가
/boot - 1기가
/home - 나머지

쭉 써보니까 /하고 /usr이 좀 부족한 적이 몇번 있어서 이것저것 검색해본 결과 아래와 같이 해볼까 합니다.

hackerta의 이미지

아파치 가상호스트를 이용한 도메인별 포트연결

예를들어, 111.111.111.111 이라는 아이피가 제 서버라고 치고,

111.domain.com > 111.111.111.111:8080
222.domain.com > 111.111.111.111:22

이렇게 설정하고싶습니다.

검색해보니 아파치 가상호스트를 이용해 도메인을 포트로 받은뒤 프록시 지정을 하라는 말이나오는데, 아무리해도 이해가됩니다..

대체 어떻게 하는건지 참고할만한 사이트라던지 웹문서라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hackerta의 이미지

-삭제-

삭제하는 버튼이 아무리찾아봐도 없어서 편집해서 재작성합니다

hackerta의 이미지

-삭제-

삭제하는 버튼이 아무리찾아봐도 없어서 편집해서 재작성합니다

sysmoon의 이미지

python django 개발환경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개발환경(개인PC): window7 64bit + python27 + django + eclipse
서비스 환경: Ubuntu Server

윈도우에서 이클립스를 이용해서 파이썬 웹서비스를 개발중입니다. 개발한 소스를 우분투 서버에서 서비스하고자 프로젝트 파일을
복사해서 장고서버를 실행했는데 에러가 발생하더라고요.
윈도우에서 생성한 장고프로젝트가 우분투에서 동작하지 않더군요. 실제 setting.py 파일만 봐도 다르게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는 개인PC에서 하고 서비스는 우분투 서버에서 결국해야 하니 개발환경 설정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p.s: 우분투에 이클립스 설치해서 개발하란 말은 제발.. ㅡㅡ

나그네나그네의 이미지

원격 서버 ssh 접속시 텍스트가 흑백으로 나오는 현상

안녕하세요

외부에 둔 리눅스 서버에 ssh 접속 시, shell에서 텍스트가 흑백으로 나옵니다.

단, vim을 실행했을 시 syntax highlighting은 적용됩니다. -_-;;

bash 설정 문제인가요? 제 계정에는 root 권한이 없는데 설정할 수 있는 사항인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