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tp 접속불가

리눅스6.2 를쓰고 있었습니다.
아파치랑 mysql로 이용해서요.
근데 원격으로 telnet으로 접속은 아무이상이 없습니다. 당근이 계정으로 로그
인하는데 문제가 없구요.. 싸이트도 잘뜸니다.
그런데 ftp로 계정접속을 하려고 하면 접속 불가라고 메시지가 뜨는데요,..,
ftp 데몬이 떠있나 확인해보니
telnet www.file.co.kr 21
Trying xxx.xxx.xxx...
telnet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 connetion refused
이렇게 나오는데요.
7.1에선 /etc/xinetd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는데 전 6.2를쓰고 있거든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inux에서 NT Interbase DB 연결

음.. 실수로 프로그래밍 게시판에 적었더군요.. 그래서 이쪽으로 옮깁니다. -_-;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입니다.

Linux에서 NT의 Interbase DB에 연결을 하여 콘트롤 할일이 있습니다.

나름대로 ODBC-PERL-howto 를 이용하여 컨트롤하려 했으나 마음먹은 대로 되
질 않는군요

ODBC설치에 대한 hwoto를 따라하여 odbctest를 해봐도 어떨땐 접속이 되고 어
떨땐 되질 않구요.

된다고 해도.. DBDODBC를 설치할때 도데체 어떤환경설정을 해 주어야 하나요?
이부분에 대한 이해도 되질 않고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libc 설치 중 종속성 오류가 발생합니다.

환경 RedHot 6.2
gcc 버젼 2.91.66 을 2.95 이상으로 올리려하는데 glibc 설치중 오류가 있어서요.
아직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아래 오류가 발생하여 여쭙니다.

먼저 474 번 질문에 답해주신 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474번 질문 gcc 버젼을 2.95 이상으로 올리려고 합니다.
답변 glibc를 먼저 까세요. 그리고 2.95 쓰세요 2.96말고..

1. glibc 를 설치하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어떤 것을 먼저 삭제하고 설치해야 할까요?

[root@vos1 kjmun]# rpm -ivh glibc-2.2.2-10.i386.rpm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bootnet.img 을 새로 만들려면??

안녕하세요

보통 플로피로 네트워크 설치를 하려면,
bootnet.img 을 사용하잖습니까?
그런데 만약, 제가 임의의 서버에 ftp 를 설치해 두고

bootnet.img 을 실행시키면 그 임의의 서버에 접근하여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려면,
bootnet.img 속에 있는 ftp 주소 정보를 수정해야
할것 같은데요...

bootnet.img 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는
문서의 위치를 아시는 분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데비안과 FreeBSD의 네트워크 설치 방법은?

으... 오늘은 아침 날씨가 스산하군요...
맨날 읽기만 하다 오늘 첨으로 질문하는데... 일단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제 노트북이 CD-ROM이 없거든요. 그래서 ftp를 통해 설치할려고 하는데 레드
햇 계열은 대부분 쉽게 설치되었습니다.
문제는 FreeBSD 부터인데, 이걸 함 써보고 싶어서 krnl.flp와 mfsroot.flp
를 받아 디스켓을 만들고 부팅하고 설치옵션에서 FreeBSD가 있는 ftp사이트
의 위치를 적어줬거든요... 근데 한 10~20분 동안 해당사이트를 찾기만 하다
가 (Looking up host ...) 그냥 멈춤니다.(빠져나오더군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설치 질문

제가 지금 qlinux를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님들이
그건 맛보기로 적당하기 전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있다며
레드햇이나 와우 리눅스를 설치하라고 권장하는데요..
그러면 파티션을 나눌때 자료가 지워지잖아요..
그거 어떻게 안지우고 사용할수있는방법이 없나요?
그리고 하나로통신 내장형 모뎀은 안되나여?
어떤글보니까 어떤 프로그램 사용하면 된다고 하시던데...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골때리는 cdrom

이런 일도 있을수는 있지~~!
와우리눅스 파란(7.1) 깔려 있고요 현재 커널을 2.4.12로 업그레이드 했는데
2.4.10과 99.0% 똑같이 커널 컴파일 옵션을 주었는데 cdrom을 못읽습니다.
2.4.10에서 내가 마운트 해봤었나 어째튼 부팅할때 cdrom 장치파일을
못찾지는 않았었는뎅..
제 cdrom은 secondary master로 잡혀있고,
mount -t iso9660 /dev/hdc /mnt/cdrom로도 못잡네요..
아마 제생각으로는 얼마전에 윈2000이라는 넘을 깔았는데 그것과 상관이
있을런지...
참고로 제 cdrom은 samsung-RW(12/8/32) 이고요 여러분중에 저와 비슷한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랜카드세개로 리눅스 두대 인터넷 공유해서 쓰면요...

하나는 서버로 돌리고 있는 리눅스 컴이구요

하나는 채팅, 인터넷용 윈도우 깔린 컴인데요

이상하게 컴두대다 리눅스로 부팅하면

서로간에 연결도 너무 느리고(서로 텔넷하면 글자치는걸 화면이 못따라갈정도)

인터넷도 엄청느려지네요..

클라이언트 컴에서 다른데로 핑때려보면 패킷손실도 나오고요

서버컴과 클라이언트 컴이 둘다 리눅스 일때만 그렇더군요.

서버컴을 윈도로 부팅해서 사이게이트(sygate)이용해서 하면

클라이언트 컴이 윈도건 리눅스건 아무 문제가 없는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삼성 매직스테이션에서 (M4600) 리눅스설치하기???

제목에 쓴대로 매직스테이션에서 리눅스를 설치시도하였습니다.
알짜 6.2 입니다.
RAM 32M이고 HDD 15GB CELERON 366Mhz VGA S3 TRIO 3D/2X
이정도 되구요.
FDISK로 13.5기가 는 FAT로 윈도98에 할당되어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구요.
나머지 1.5기가 정도로 설치 하려하였습니다.
그런데
설치다하고 나서
lilo 메시지가 뜨지 않고, 바로 윈도가 부팅됩니다.
다른컴퓨터에서도 여러번 이 CD로 깔아보았지만 이런경우는 없었습니다.
보통 리눅스를 윈도98보다 나중에 깔아서 MBR을 덮어쓰기 때문에 이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usr 가 계속 쌓여가고 있어요..

안녕하세요..자주 도움 받는 사람입니다...
레드헛 7.1 사용자인데요..
/usr/가 자주 쌓이는데...왜 그런지 아세요?
아파치 로그는 지워주는데.........
/usr/local/ 에는 apache,php,mysql 이 있습니다...
아무리 많이 싸이트에 글을 남겨도 mysql 데이타량을 보면
많지도 않더라구요...
혹시 뭐가 그렇게 자주 쌓이는지 알수는 없을까요?

제가 사용하는 서버입니다.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7 497829 51654 420473 11% /
/dev/hda1 23302 3485 18614 16% /boot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