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5t0ryv1ct의 이미지

Xubuntu&Katoolin

주분투(23.04)에서 Kali 해킹툴 사용하기 원하는 리눅스 뉴비 입니다...
Katoolin을 사용하면 kail 해킹툴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서 파이썬깔고 katoolin을 실행하는데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trymp의 이미지

아파치 같은 웹서버가 DoS 공격 받으면 alarm 같은 것을 보내주는 기능이 있나요?

아파치 같은 웹서버가 DoS 공격을 받으면 alert 나 alarm 같은 것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소켓이든 SMS 든 상관 없습니다. ㅎㅎ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로키리눅스9 버전 failover 관련 자료가 없네요

MHA 구성을 해볼까 하는데 대부분 cento7이나 우분투 주류라
제대로 설치도 안되고 명령어도 안맞고 그러네요
리플리케이션은 구성이 잘되는데
그다음에 failover에 관련된 마땅한게 없네요
갈레라는 일단 active-standby가 안되는거 같고
maxscale은 라이선스 문제가 있어보이고
proxysql은 failover지원이 아직 안되는거 같고
haproxy도 failover와는 좀 성격이 다른거 같고
남은건 mha쪽인거 같은데 관련한 자료 참고할만한곳 있으면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ejingod99의 이미지

IPv6 Ready Logo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혹시 TTA에서 진행하는 IPv6 Ready Logo 인증 시험을 준비하시거나 준비하셨던 분 계실까요..??

현재 업무로 진행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어려운 점이 많네요..

OS는 Centos7 사용하고 있습니다.

ehddms10의 이미지

Syzkaller를 이용하여 현재 Host의 kernel을 fuzzind test해보려고 하는데 설치부터 개같이 막혔습니다 도와주세요

우분투 버전 22, 20 둘 다 시도중이구요

https://github.com/google/syzkaller/blob/master/docs/linux/setup.md

여기 있는 그대로 하는데 자꾸 163번째 줄에서 make가 막힙니다 혹시 사용해보신 분이나 설치가 되신 분은 어떻게 하셨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슉@Naver의 이미지

우분투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 생성

안녕하세요.
우분투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질문드리고자 글 남깁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점에 automake-1.0.0, make-1.0.0, vim-1.0.0이 설치되어 있고, 1년 후 automake-2.0.0, make-2.0.0, vim-2.0.0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설정파일들, 라이브러리, 실행파일 등이 고려 사항이 되겠네요.
지금 생각나는건 A,B,C 패키지들과 기존 패키지들을 삭제하고 새로 설치하는 스크립트를 함께 압축하여, 압축을 풀고 스크립트를 수행하면 호환성 유지하면서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혹시 다른 방법이 있는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참고 할 만한 자료나 키워드 알려주시면 너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erace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이제 막 배우기 시작한 초보입니다

리눅스 서버를 체크를 하던중
프로세스 체크를 해봤는데
각 항목에 대한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혹시 도움을 받을수 있을까 해서 작성해봅니다

agi - ok
asterisk - ok
eventcdr - ok
maincliserver - ok
maincli_connettor - ok
monitorserver - ok
monitor_connnector - ok
mysqld - ok / sql과 연결 상태?
statserver - ok
tomcat - ok / tomcat과의 연결상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글링 해보아도 나오질 않습니다 ㅠㅠ

study의 이미지

UBoot의 동작에 관한 질문입니다.

개발보드를 하나구해서 UBoot를 올려봤는데요.
Uboot에서 bdinfo 명령을 실행하면,
DRAM bank = 0x0000000000000000
-> start = 0x0000000040000000
-> size = 0x00000000be000000
으로 나오구요.

Uboot 코드를 컴파일한 후의 System.map화일을 보면
0000000040200000 T __image_copy_start
0000000040200000 T _start
0000000040200008 T _TEXT_BASE
.
.
.
라고 나오는데요,
UBoot에서 md.b 0x40200000 100 처럼 실행해보면
컴파일된 spl.bin의 내용이 0x40200000 주소에서 보이지 않네요

Uboot 이미지를 DRAM 메모리상에서 찾아보려면, 어떻게해야 할까요?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apt upgrade message

debian 11 설치되어있던 컴에서 debian 12 로 올렸습니다.

apt upgrade
하면
The following packages have been kept back:
라고 뜨며 여러 패키지 이름이 주르륵 나오고, 그 다음에
0 upgraded, 0 newly installed, 0 to remove and 423 not upgraded
나오네요.
왜 그런 건가요?

423개 업그레이드 안 된 거 업그레이드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study의 이미지

Openssl 관련 질문입니다.

OpenSSL을 이용해서 CA 인증서 만들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생긴 openssl 명령어에 대한 질문인데요.
-passin하고 -passout이 어떤 용도인지를 모르겠네요

Openssl명령의 Pass Phrase Argument를 보면 -passin을 써서 input password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passout을 써서 output password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되어있는데요.

input password와 output password의 의미를 모르겠어요.

예를들어,
# openssl genrsa -des -out ./ca.key라고 하면
Enter PEM pass phrase:
라는 프롬프트가 나와서 사용자가 password를 입력하도록 하는데요

이걸
# openssl genrsa -passout pass:abcd1234 -des3 -out ./ca.key라고 하면
위에 나왔던 프롬프트 필요없이 password를 명령어상에서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은 알겠는데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