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I LY@Google의 이미지

라즈비안OS에 다른 리눅스 패키지 저장소를 추가해도 될까요?

라즈비안OS 4.19.57-v7+에서 libncurses5-dev를 install하려고 하는데
"생략
404 not found [IP: 93.93.128.193 80]
생략"
라는 에러가 발생하여서 데비안의 패키지 저장소를 추가해서 install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걱정되는건 다른 OS 패키지를 install해도 될까요? 막 config가 안 맞는다든지

그.. 리고 혹시 라즈비안OS 자동 업데이트가 있나요?
커널 이미지를4.19.57-v7+로 SD카드에 넣고 맞추고 이것 저것 명령어 치면서 (너무 많아서 기억이 잘 안나요) 놀다가 다음날 5.10.52-v7l+로 바뀌었어요 이상하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나콘다와 파이썬의 32bit, 64bit 버전의 관련성

안녕하세요 ?
수고 많으십니다.
파이썬 입문자입니다.

아나콘다는 32bit와 64bit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파이썬도 32bit와 64bit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h****@Naver의 이미지

rpmbuild로 직접 .rpm 제작시 어려움을 격고 있어요...

리눅스 공부하고 있는 직장인 입니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rpm 파일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생각에 진행 중인데

진행 관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1. nginx 소스파일을 받았습니다

2. nginx 소스파일을 ./configure

lalupo20의 이미지

듀얼부팅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놋북에 윈10(ssd)+데비안(hdd) 설치해두고

쓰고 있는데요.

이제 리눅스가 쓸모없어졌거든요.

그래서 포맷해버리려고 하는데

리눅스 들어있는 하드디스크 포맷해버리면

그럽 날라가서 윈도우로도 부팅안되는 현상이 발생할까요?

아니면 그냥 지워버려도 괜찮을까요?

zip9seok의 이미지

솔라리스10 / Filesystem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du 명령어로 찾아봐도 못찾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솔라리스 서버에 / filesystem 용량이 계속 증가해서

(/ 파일시스템은 총 19G 이고 오늘 확인해보니 2일전과 비교시 400M가 증가했더군요.. 2% 증가, 총 75% 사용중)

du -sh 명령어로 각 디렉토리 용량을 며칠 전 용량과 비교해봤는데 용량이 증가한 디렉토리를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400M 증가한거면 du 결과에도 눈에 띄어야하는데 그런건 없었고요... 2일전 du 결과값과 똑같네요...

증가한것이라곤 swap filesystem으로 마운트 된 /tmp 디렉토리 뿐인데...

혹시 /tmp 쪽이 증가하면 / Filesystem 용량도 증가하나요?? 그건 아닌거 같은데...

2일이내 생성된 파일을 찾는 find / -ctime -2 -print 명령어로도 찾아봤으나

/ filesystem 쪽에 생성된 파일은 전부 몇십 kb, 1~2 메가 수준으로 용량이 작거나 proc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 된 /proc 디렉토리쪽 뿐이네요...

stew의 이미지

CentOS 8 systemd

안녕하세요. 리눅스 systemd에 관련해 질문 드립니다.

CentOS 8에서 apache 2.4.48을 컴파일 설치하여

./apachectl start 명령어로 실행시켰습니다.

(systemd에 수동으로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은 상황)

그런데 systemd에 수동으로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았는데 pstree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httpd 데몬이 systemd 위에서 작동하고 있었습니다.

서비스 등록을 하여 httpd.service로 httpd를 작동하는 방식과 ./apachectl로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고 httpd를 작동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을까요?

stew의 이미지

CentOS 8 ./apachectl vs ./httpd

안녕하세요. 웹서버 관련해서 독학중인 취준생입니다.

현재 CentOS 8에서 apache 2.4.48을 컴파일 설치하여 테스트를 했습니다.

여러 자료를 찾아본 결과 ./apachectl 명령어와 httpd 명령어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둘 다 apache의 httpd 데몬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라고 하더라고요.

근데 ~/bin의 apachectl 와 httpd 파일을 vi 편집기로 열어보니

apachectl 파일은 스크립트, httpd 파일은 바이너리로 되어있었습니다.

# ./apachectl start , # ./httpd -k start 두 가지의 명령어로 httpd 데몬을 실행시켜 ps 명령어로 확인을 해보니 둘 다 httpd -k start로 실행중이였습니다.

./apachectl 명령어와 ./httpd 명령어의 차이점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wltjd666의 이미지

리눅스 가상머신과 WSL의 차이, 도커?

안녕하세요. 요즘 리눅스 환경을 설정하려고 이것 저것 알아보고 있는데요.
너무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려요.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렇습니다.

1. 컴퓨터 자체에 운영체제 설치(멀티 OS)
2. 가상머신으로 리눅스 구동하기
3. 윈도우 WSL2로 리눅스 사용하기..

이렇게 세가지 정도 알고 있고, 1번과 2번은 확실하게 이해했고, 2번은 직접 해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3번 WSL2가 조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요.

1. 여기서 WSL은 리눅스를 구동할 수 있는 가상머신이라고 볼 수 있나요?
2. 가상머신이라고 볼 수 있다면, 2번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왜 메모리 측면에서 더 좋나요?

3. 우분투 터미널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WSL과 연동되어야 하는 건가요?
4.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를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컴퓨터 메모리를 아끼기 위함인가요?

skyinfo34의 이미지

Ubuntu 18.04 DHCP server 관련 (client가 remote에 있는 환경)

안녕하세요.
Ubuntu 18.04 에서 DHCP server 를 구동하려 합니다.
그런데, direct network이 아니라, remote network 환경입니다.
따라서, 서버와 client 사이에 relay agent가 있는 구성입니다.

DHCP server ----------- DHCP Relay Agent------------- DHCP client
(10.1.1.1/24) (10.1.1.2/24) (10.100.100.1/24) (10.100.100.0/24)
(10.200.200.1/24) (10.200.200.0/24)

byungjun4458의 이미지

레드헷 리눅스 재부팅시 서비스 기동 실패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지금 아주 특이한 상황이 있어서 도움을 받고자 글을 작성해 봅니다.

RedHat 8.1 / RedHat 7.7 대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재기동시 특정 서비스 시작시 실패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수동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면 정상적으로 기동됩니다.

제일 처음 확인한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unlevel 명령어로 현재 실행 중인 run level 확인
2. cd /etc/rc.d/rc[런레벨 번호].d 이동 (e.g. cd /etc/rc.d/rc3.d)
3. ls -al | grep 서비스 이름 검색
4. SXX서비스이름 형태의 파일 존재 여부 확인 (시작 문자열이 S인지 확인 및 XX 번호 확인)
5. 해당 파일 실행 여부 확인 절대 경로 및 상대경로 모두 실행 테스트 (e.g. ./S99서비스 이름 start , /etc/rc.d/rc3.d/S99서비스 이름 start)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