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eminency의 이미지

유닉스 make에 대한 레퍼런스가 있으시면 좀 가르쳐 주세요~

늘 리눅스에서 짜다보니 유닉스에 가져가서 make 하면 난리도 아니군요...-_-;

물론 automake 같은 걸 쓰면 좋지만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그렇게 볼륨이 큰 프로그램도 아니라서...

유닉스의 Makefile에 대한 문법이 잘 정리된 사이트 같은게 있으면 공유 부탁드려요~

jindol2k의 이미지

사운드카드 인식은 되는데 소리가 안나옵니다.

사운드 카드 인식은 하는거 같은데 Mplayer등으로 음악파일을 실행하면 뚜~뚜~뚜~ 기계음만 들립니다.

참고로 젠투를 사용중이며...시스템은 LG xnote le50-ace3모델을 사용중입니다. 사운드카드는 Sigmatel입니다.

Sigmatel홈피에 들어가보니 자기들은 칩만 팔아서 드라이버 제공은 못한다고 합니다.

자동으로 젠투에서 못잡아서 커널에서 ALSA와 OSS를 모두 선택해제 하고 emerge alsa-driver alsa-utils 를 설치했습니다.

설치후 alsaconf 를 실행해서 사운드카드를 설정하고 alsamixer에서 볼륨조절도 하였습니다.

박민권의 이미지

우분투 이전 설정 그대로 커널 컴파일 하려면?

linux-source-2.6.12 를 받아 압축을 풀고
linux-headers-2.6.12-10-386 디렉토리에 있는
.config 파일을 linux-source-2.6.12 디렉토리에 복사해서 컴파일 했습니다.
make-kpkg 를 이용해서 컴파일 했습니다.

kernel-header와 kernel-image패키지가 만들어졌고 설치했습니다.
컴파일한 커널로 부팅했는데 무선랜카드가 잡히지 않습니다.

무선랜의 기종은 intel PRO/Wireless 2200BG 입니다.

기존 커널에서 몇가지 옵션만 바꿔서 컴파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stargt의 이미지

2차 도메인 설정

막 버츄얼 호스트로도 검색해보고 그랬는데

리눅스하고 윈도우가 다른지 속시원한 결과를 찾지 못했어요;

지금 제가 stargt.comful.net 이라는 도메인을 이 컴퓨터에 연결시키고 싶습니다. 우선 comful.net은 그냥 다른데 호스팅받고있는거고

2차로 stargt 호스트를 추가하고 싶은데요

우선 도메인 관리하는 데에는 호스트를 추가하고 제 아이피까지 입력해놨습니다.

그런데 제 컴퓨터에서 뭘 설정해야한다는군요;

그래서 검색해봤는데 속시원한 결과를 찾지못해서 이렇게 올립니다.

jinurius의 이미지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후 윈도우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고 난 후에 윈도우로 부팅이 되지 않네요.
그 전에는 잘 되었는데...

참고로 메인보드는 nvidia nForece2 NF 계열이고요,
/etc/grub.conf 윈도우 설정은

rootnoverify (hd0,0)
chainloader +1

입니다. 파티션이 마스터 하드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이라... 그리고 NTFS 파일 시스템이라 root가 아닌 rootnoverify를 사용하였고요. 예전에 잘 되던 것이 지금은 저 메시지만 뜨고(.conf 파일의 내용) 그냥 멈춰서 있네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savedefault와 makeactive를 설정해 보았지만(뭔지 잘 모르니 여러분들의 조언을 -_- ;;; )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네요.

perdu의 이미지

amd64 에서 wine 이용하기

cpu : amd ㅤㅇㅟㅌ체스터 3000+
os : ubuntu (version 5.10 for your 64-bit pc)

winehq 에서 저장소 주소를 알아서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로 wine 을 검색했습니다.

wine 패키지는 없고
xwine 만 있더라구요

그래서 설치하고
winehq에서 winetool 을 받아서 설치했습니다.

근데 wine 이 없다고 다운받아서 하랍니다.

이번에 wine (i386) 으로 받았죠 deb 파일이더라구요
dpkg -i wine_0.94 ... .deb
이렇게 해서 설치하려고하니

i386 이라고 설치가 안됩니다.

wine 과 xwine은 다른가요?

daenno의 이미지

[질문]콘솔모드의 줄과 열 설정에 관해서.

리눅스를 오랜만에 하니 기초적이지만 생각이 안나는 부분이 있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X window이 아니라. 콘솔모드에서 환경설정으로
커맨드의 출력 라인과 열의 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부탁드립니다. (부팅을 하고 난 다음에도 가능하게요.)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myjuliet의 이미지

ssh2 자동으로 키값 저정해서 영구 쓸 방법은 없나요..

보안상 ssh2 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ssh-keygen

으로 사용하요 eval $(ssh-agent) 후에 메모리 상주 시키는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 없을까하요.. 질문드립니다.. 메모리 상주 시키는 방법은 시스템이 리붓되면 날라가네요.. vi /etc/ssh/sshd_config 파일에서 42번째에서 주석풀고 키 위치 되잇길래 해보려 하는데 계속 패스워드를 물어보네요.. 혹여나

방법이 없는지요... 패스워드 안물어보고 리붓해도 사용할수 있는 방법이 궁금함니다.

min2to의 이미지

궁금한점.?..씨디ftp로 다운받기..

죄송한데여.. 흑흑..

제가 책을 보다가 예전에. .설치 면에서..

리눅스 부팅씨디 첫번째.... 이걸 넣은다음..[[ 레드헷9씨디..]]

에서 linux askmethod를 친다음.. ftp로 접속해서페도라4 다운을 받더라구여..

그래서 오늘 저도 한번 실행해보았져..

페도라를 그렇게 한번 설치해보기 위해서..

근데.. 아이피잡는 데에서.. 저는 adsl이니까..터미널에서..

자동으러 잡게 설정해놓고.. 확인 누르니까.. 않잡히더라구여..

(참 난감하더라구여)... 물론 제가 못해서 그러는거 겟지만..

wizzet의 이미지

Linux와 pkgsrc

BSD들만 주로 쓰다가 Linux를 쓸일이 생겼습니다. Linux의 패키지 관리(rpm, deb)에 익숙하지 못해서 최소설치만 해놓고 pkgsrc로 해결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여러 배포판들 중에서 물색하다가 예전에 잠깐 써본 Debian을 설치했습니다. Gentoo는 문서를 읽다가 위압감(?)을 느껴서 포기······

그런데 보통 프로그램들은 괜찮은데 Apache, MySQL같은 데몬 프로그램들 때문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BSD와 Linux의 시작 스크립트가 달라서 시작 스크립트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bmake install이 끝난 다음에 나오는 안내 메세지는 BSD에 해당되는 내용이라서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