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망치의 이미지

KT-공유기 제한 시작하려고 하나봅니다.

모 사이트 들어가다 보니 저런 팝업이 뜨네요. 여러대 쓴다고 트래픽을 제공되는것 초과해서 쓰는것도 아니고..
한도내에서 쓰는건데... 에잉..

---------------------------------------
http://www.waitfor.com/

julggol의 이미지

[완료] telnet 다중 접속

안녕하세요.. 텔넷 데몬 관련해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현재 arm9 cpu에 리눅스 포팅해서 busybox의 telnetd를 올렸습니다.
외부에서 정상적으로 텔넷 접속이 되는데 한번에 한개의 접속만 가능하더군요...
한개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되어 사용하고 있으면 더이상 접속이 안됩니다.

coolie의 이미지

proxy 를 이용한 응답시간 측정?

proxy 를 이용해서 응답시간을 알고 싶은데요.

A 서비스가 해외 지역에 설치가 되어 있습니다.
해외 지역에서 접근할때는 응답속도가 빠른지 모르겠으나,
한국에서 접근하면 조금 느린 감이 있습니다.
프록시를 이용해서 실제 응답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걸 간편하게 설정하고 측정 해주

gt1000의 이미지

trac 설치시 setupTools 오류 "Compression requires the (missing) zlib module

apache , trac, subversion을 설치 하고 있습니다.
설치중에

setupTools 설치시
>python ./setup.py install
"Compression requires the (missing) zlib module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 합니다.
File "/usr/local/lib/python2.6/zipfile.py", line 660, in __init__
"Compression requires the (missing) zlib module"
RuntimeError: Compression requires the (missing)

con183의 이미지

windows 2008 slave dns 구성

리눅스 데비안을 master dns로.. 윈도우 2008을 slave dns로 구성을 했는데요
master dns의 정보를 slave dns가 동적으로 동기화 하기 위해서 master dns에 allow-update { ip; }; 설정을 해주었는데 동적으로 동기화가 안되네요;; 다른 설정이 필요한가요;?

peccavi의 이미지

Xvnc, eggcups

안녕하세요.

인계받은 서버에 아래 두 프로세스가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고 있습니다.

Xvnc - vnc 데몬으로 추측됩니다.
eggcups - cups 드라이버 겠지요?

뻔한 프로세스들이라 그냥 죽여도 상관 없을것 같긴 한데요
그래도 정말.. 만에 하나..

jungwook의 이미지

영어 프리젠테이션( 논문 리뷰 수업 )에 도움이 될만한 책 추천 부탁드릴께요.


안녕하세요?
논문 리뷰하는 영어 발표 수업을 하게 되었는데, 영어가 약해서 많이 힘드네요.
혹시 영어 프리젠테이션에 도움이 될만한 책 있으면 추천부탁드릴께요.
처음 발표 시작할 때 시작 멘트나 섹션이 나눠질때 해야될 말, 이런식으로 잘 나눠진 것이면 좋겠네요.

그리고 혹시 보고서 작성을

동이의 이미지

여러분은 어떤 메일서버를 이용하시나요?

얼마전 qmail에서 Postfix로 메일서버를 바꿨답니다.
주변을 살펴보면 대개 이 두 서버로 양분되어있는것 같더군요.
모바일과 보안에 관련된 사항때문에 이기도 하지만,
계정 관리를 위해서 어떤것을 선택하는게 좋은건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메일서버를 사용하시고 계십니까?

brain2012의 이미지

얼마전 국민신문고에 "IT 근로환경"에 관련된 민원을 넣은적이 있습니다. 국민신문고에서 4일만에 돌아온 답변입니다.


3월 8일 "IT 근로자의 절규"라는 기사가 뜬 다음날 제가 국민 신문고에 민원 신청을 하였었습니다.

일단 민원을 넣게 된 요지는 이런이런 문제들을 해결해 달라가 아니라 그냥 이명박 대통령께서 IT의 현실을

알고 계신가 싶어서(직접 보리라는 기대는 하지않았습니다ㅎ) 그때 당시에는 뭐라도 하지

bumworld의 이미지

centos에 yum으로 mysql 설치후 접속 에러 입니다.

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lib/mysql/mysql.sock' (2)

centos에 yum으로 mysql 설치 후에 위와 같은 오류로 접속이 안됐습니다.

그래서 찾아서니 mysql.sock 파일이 문제인듯 한데 아래 두 파일이 모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파일을들 어디서 복사해와야 하는건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