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haneol815의 이미지

centos 6 기본 route 삭제

안녕하세요. centos6.9 버전을 사용중입니다.

부팅시 기본으로 routing 설정이 5개 올라옵니다.
웹 검색을 해보니, static 설정에 관한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route-eth1 이런 파일에 들어있다고 하는데, 그런 파일은 없습니다.
그런데도, 기본으로 routing 설정이 5개나 올라오네요.

이것들 중 일부를 지우고 싶습니다.

검색을 아무리 해봐도 기본 설정을 추가하는 법만 나와있고, /etc/sysconfig/network-scripts/route-ethX 파일에 있는 것을 지우는 것 말고는 다른 파일에 관한 언급이 없네요.

bashrc나 bashprofile 같은 파일에 혹시 명령이 있을까 해서 봐도 아닙니다.

routing 자동 설정에 대해 의심해볼만한 파일이 또 있을까요?

두서 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라스코니의 이미지

시스템 (CPU load, mem usage, disk I/O access) 로그 장기 저장

시스템에 알수 없는 지연이 가끔 생겨서 이것이 CPU load 문제인지 memory usage, disk I/O access 대역폭 문제인지 로그를 장기적(하루 이상)으로 저장해서 원인 분석에 참고하려는데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요?

초단위로 로그에 기록하고 지연이 발생했을 때 어떤 다른 프로세스나 disk에 이상 현상이 동반되는지, 아니면 그 원인이 될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혹시 관련 시스템을 구축해서 운용해 보신 분이 있으신가요?

bman25의 이미지

Debian 11 Xfce : 모니터 해상도에 따른 폰트 크기 조정

안녕하세요, 폰트 크기 조정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Windows 10이 설치된 노트북에서 Virtual Box를 이용해 Debian 11을
사용 중입니다. Desktop 환경은 Xfce입니다. 맘 같아서는 Debian만
사용하고 싶지만, 업무적인 필요 때문에 Windows를 버릴 수가 없네요.

통상 노트북 화면을 보고 일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사무실이든 집이든
별도의 모니터에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문제는, 사무실과 집에 있는
모니터의 해상도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Windows의 경우 어떤 해상도에서든
적당히 읽기 좋은 폰트 크기로 자동으로 조정해 주는데, Debian의 경우
그게 안되는 것 같습니다. 해상도가 높은 모니터를 기준으로 폰트 크기를
설정하면, 나중에 해상도가 낮은 모니터에 연결할 경우 글씨가 너무 크게
보이고, 반대로 해상도가 낮은 모니터를 기준으로 폰트 크기를 설정하면,
해상도가 높은 모니터에서 글씨가 너무 작아 보이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anny724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리눅스 시작한지 3일 된 초보입니다

.bash_profile을 수정하고 적용하려고 source ~/.bash_profile을 했는데요.
계정이름(? 뭐라 부르는지 모르겠어요)이 전에는 [username@hostname ~ ]$이었는데 -bash-4.1$로 바뀌었어요...
왜 이런거죠? 처음으로 돌아가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이런 기본적인 질문 하는곳이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어디에 어떻게 물어봐야 될지 모르겠어서요 ㅠㅠ

seoul_girl의 이미지

iptable 자료 저장 문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centos 6 버전인데요,
제가 iptable에 내용을 입력하고
iptable을 재 시작하면 해당 내용이 모두 없어져 있습니다.

제 절차가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조언 좀 구하고 싶습니다.
저는 주로 vi 에디터로 iptable을 수정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 vi /etc/sysconfig/iptables

내용 추가 함

# service iptables save <- 여기가 안먹힘 ㅠㅠ
# service iptables restart

위와 같이 하는데 iptlbes 내용에 제가 추가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고
다시 진입하면 이전 내용이 그대로 있습니다.

# vi /etc/sysconfig/iptables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일까요?

ekejaqutmqk의 이미지

WSL2가 CPU를 제대로 활용하질 않습니다.

기존에는 우분투 + 윈도우 듀얼부팅환경에서 작업했었는데,
이번에 i9-13900K 사양의 새 컴퓨터를 받게 되어서 WSL로 해볼까 싶어 넘어왔습니다.

각설하고
WSL에서 QEMU를 돌리는데 너무 느려서 뭘 할수가 없는 수준입니다.
WSL로 들어간 뒤 nproc으로 확인해보면 32코어(Host와 동일) 모두 들어가 있는게 맞는데
윈도우에서 작업 관리자로 CPU 사용률을 보면 7~8%를 넘기지 않습니다.
논리프로세서 그래프로 확인하여도 1~2개의 코어만 사용합니다.

QEMU가 코어를 두개만 사용하는것이 아닌가 싶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기존의 i5-12500 환경에서 적어도 지금보단 5배~10배는 빨랐습니다.
QEMU인스턴스가 켜지는데 기존에는 1분정도 걸렸다면 지금은 10분은 걸립니다.

WSL환경이라 리소스 분배 잘 안 일어나는 것 같은데
WSL이라는 친구가 원래 이렇게 느린 친구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해결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sunwkim19의 이미지

apache를 프록시서버 이용시 400에러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apache를 프록시서버로 이용하여 was에 존재하는 모듈을 통해 특정 ip/포트를 호출하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이때 모듈의 헤더가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별도의 양식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구글 같은 곳들에서 가이드된 대로 아파치 서버를 proxy로 이용할 경우 proxy서버 자체에서 400에러를 발생시키더라고요.
(다만 다른 was에서 proxy서버 호출시, 즉 표준헤더일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페이지 전환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혹시 이럴경우 아파치에서 헤더를 무시하고 프록시를 한다던지 아니면 들어온 헤더를 파싱하는 방법같은데 별도로 있을까요?

queenmedley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인터넷뱅킹이 되는 은행이 있군요..

리눅스로 은행에 접속이라도 해줘야 금융권에서 리눅스에서 관심을 가져줄거 같아서 재미삼아 접속을 시도해 보곤 합니다.
아치리눅스를 주로 사용하다 보니 은행에서 지원해주는 보안프로그램 deb.rpm 형식을 사용할수 없고, 변환도 잘 할줄 몰라서 노트북에 우부투를 설치해서 은행접속을 가끔 해보는데요...
보안프로그램이 deb 형식이라고 해도 우분투 최신버전 등을 사용하니깐 설치가 제대로 되지도 않아서 우리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등 대부분 실패했습니다. 예상했던대로 입니다.

그러다 오늘 스마트폰으로 새마을금고 로그인 할려니깐 공인인증서를 pc에서 가져와야 한다는 겁니다..
사무실 컴퓨터에는 아치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혹시나 하고 들어가보니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해야하는데 2개 밖에 안되더군요...
delfino 하고 astx ... 2개정도면 잡깐 시도해보기로 했습니다.

kkb의 이미지

불량품 보상 관련해서

상품을 구입했는데 불량이 발견되어
모든 고객들에게 환불을 해주기로 했는데
제품 일괄 반품이 쉽지 않아서
제품은 반품하지 않고
돈만 전액 환불해준다고 합니다.

불량품이지만 그런대로 쓸려면 쓸 수도 있고
싼값에 판매할 수도 있겠죠.

그런데 그냥 돈을 환불해주면 되는데
보상으로 원금을 돌려주고
소득 처리로 하는지 제세공과금을 내야 하고
제세공과금은 본인들이 낸다고 하더라구요.
제세공과금 처리를 위한 신분증 사본 복사와 서류작성을 요구합니다.

이렇게 하면 물론 고객입장에서는 전액 환불 받고
제품도 불량품이지만 갖게 되긴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원래 환불처리가 이런 건지
아니면 편법이지만 문제는 없는 건지
혹시 문제가 있다면 굳이 이렇게 처리하는 이유가 뭘까요?
누구나 다 아는 이름 있는 회사라서 불법적인 상품이거나 불법적인 행위를 할 건 아닙니다.

basscraft의 이미지

Ubuntu 디스크 마운트 실패

안녕하세요

디스크가 사용중인 것인지 확인 할 수 있을까요?
SSD 500G 1장, 디스크 4T 디스크 2장 으로 구성된 PC 입니다.

처음 윈도우 서버로 설치 할 때 CMOS 에서 레이드를 구성한 것으로 기억되는데
보안 문제로 내려 놓았다가 다른 직원이 Ubuntu를 설치해서 개발서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서버에 DB를 설치 할 상황이 생겨서 파티션을 확인해 보니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