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ehddms10의 이미지

우분투 서버용 설치 후 git 사용 질문

서버용으로 설치를 해서 cli환경인데 git을 사용하려면 토큰 인증을 해야 하잖아요 복사 붙여넣기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기존에 gui환경에서는 우클릭으로 paste하면 되는데 cli는 그게 안되니 좀 당황스럽습니다

hunssom의 이미지

퇴근 후 게임 개발 해보는데, 맨날 유튜브만 보고 있네요.. 그래서 오픈 채팅방을 만들었어요.

MFC 만 10년째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퇴근 후 게임을 만들어 보고 있는 중이에요.
근데 현실은 맨날 유트브만 보고 있네요...
그래서 오픈 채팅방(실천방)을 만들어봤어요.

매일 1분만 코딩하자.. 뭐 이런 주제입니다.
근데 사람이 생각보다 안 들어와서 이게 맞나 싶으네요 ㅎㅎ
개발이든 공부든 저랑 같이 해보실분은 들어오세요

https://open.kakao.com/o/gc4Mxzxe

상업적 의도 전혀 없고요.
혹시라도 문제되면 글 삭제 하겠습니다.

다들 즐코딩 하세요 ^^

dooggy의 이미지

release후 실행시 debug flag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C 언어에서 code내에 DEBUG macro을 삽입한 후 compile시 -DEBUG을 사용하여 debug code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뉴로맨서의 이미지

AWS에서 리눅스 패치 자동 적용

AWS에서 개인용도로 리눅스 서버를 운영 중인데 OS의 보안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설치되더군요. 패치 관리자에서 별도로 설정을 하지 않아도 배포판의 기본 패치 기준이 적용되는 것인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 시 디스크가 /dev/sdb로 인식됩니다.

레드햇 리눅스 설치 진행 중에 디스크 파티션을 나누는 부분에서 raid 1로 잡은 가상 디스크가 /dev/sda가 아닌 /dev/sdb로 인식됩니다.
다른 가상 디스크가 있나 싶어 레이드 컨트롤러에서 확인 해보아도 구성된 가상 디스크는 하나입니다.
혹시 디스크가 아니라 hba나 nic가 /dev/sda를 먼저 차지하는 경우도 있나요.
해결 방법 아시는 분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sh server key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관리 부실로 서버에 문제가 생겨 도움 요청드립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ssh 접속하는 스크립트에서 비밀번호 입력없이 접속하게 하려고
클라이언트 .ssh/known_hosts 파일에 서버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었었습니다.

현재 서버에 문제가 생겨 새로 설치했구요. 원래 데이터는 복구하지 못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시도시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해킹당한거 같은데 이게 뭘까요?

저거 점유율 99 뜨면서 cou 쿨러 최대치로 돕니다. 강제로 프로세스 종료해도 다시 살아납니다.

네트워크를 끊고 프로세스 종료하면 다시 안살아나구요.

실제로 저 경로에 자바 설치 안되어 있습니다.

저게 뭘가요..

fineafter6442의 이미지

홈페이지 접속 문의드립니다. DNS

안녕하세요

웹구성 파일은 var/www/html/에 있습니다
ip주소를 적으면 메인 페이지 출력됩니다
이제 도메인을 사용하여 메인페이지 출력하려면
도메인DNS설정만 하면 되나요?

메인호스트만을 다루는거니 가상호스트 설정 뭐 이런거 필요없죠?
혹시나 몰라서 000-default.conf 와 000-default-ssl.conf 에서
ServerName과 ServerAlias 만 추가하고 활성화 했습니다
가상호스트라는게 또 하나의 홈페이지를 만들고자할 때 만지는거죠?

queenmedley의 이미지

ibus 와 qt5 관련

draftsight라는 캐드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qt5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2019년 이후 더이상 배포가 되지 않지만 Arch에서 작동은 잘되고,
프로그램 자체에서 제공되는 qt5 라이브러리가 대부분 사용이 되는거같습니다.

사무실에 있는 여러 컴퓨터에 archlinux 를 설치를 해서 저 draftsight라는 프로그램을 설치를 했는데
ibus 한글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근데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지금 이컴퓨터는 10년 가까이 사용하고 있는데
리눅스를 여러번 설치한적은 있어도 home 파티션은 그대로 사용해오다 보니 .config, .local, .cache 파일이 오래동안 누적이 되어 있고 희한하게 저 draftsight에서 ibus 한글입력이 됩니다. 참고로 다른 입력기는 안되더군요..

kkb의 이미지

cross compile 중에 host 실행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Top directory
│
├ first_directory ─ configure.in, Makefile.in, src1.c header1.h
│
├ build_directory ─ Makefile, build_script.sh, configure, src2.c header2.h
│
├ build_help_directory ─ configure, Makefile.in, src3.c header3.h
│
└ other_directory ─ configure.in, Makefile.in, src4.c header4.h

first_directory, build_directory, other_directory는 cross compile로 빌드하고

build_help_directory는 host 실행파일로 빌드하여 build_directory로 갖고 와서 build_directory를 cross compile 할 때 필요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