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36311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HiDPI(레티나) 쓰기가 생각보다 쉬운 모양이네요

리눅스와 HiDPI(레티나) 관련 문서들을 검색해봤는데

KDE, Mint, Xfce 이런 것들은 해상도 설정만 해주면 끝(?) 이네요!

내년엔 고해상도 모니터에 리눅스를 연결해서 쓰는 꿈을 꿔봐야겠습니다…

foruses의 이미지

썬더버드 동기화 방법?

썬더버드 사용자인데요, 메일을 관리하기 위해서 받은편지함에 폴더들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동기화가 안되는지 다른 PC에서 썬더버드를 실행시키면 기존에 구성해 놓은 폴더 구조가 생성이 안되어 있더라고요.
혹시 썬더버스 환경을 동기화 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shint의 이미지

Visual Studio 다운로드 링크


Visual Studio / C / VB / Qt / 삼성 LG 스마트 TV / 스마트폰

카드할부로 사면 저렴합니다. ㅇ_ㅇ;; <--- 강력 추천.

지금 당장. 다운 받아서. Hello World를 해보세요. ㅇ_ㅇ!

출처 표시하다. 세월 다 보내겠습니다. 다 때려 치세요.

책을 몇권 보세요.

MSDN 에서 함수를 참고하세요.

MSDN - strcmp, wcscmp, _mbscmp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e0z9k731.aspx

C언어 프로그래밍 기초 강의 무료

gujilo의 이미지

Cent6.8 사용시 두개 같은 게이트웨이 와 넷마스크를 가질때 문제점

Cent6.8에서 1G를 사용하는 Bond0 와 10G를 사용하느 Bond2가있는상황에서

ssh 로 Bond2로 접속 후 Ftp로 파일 올릴시

Bond0으로 패킷을 보내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Bond0과 Bond1은 동일한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넷마스크를 가지고있고

bond0이 디폴트 게이트웨이라고 routing table에 적혀있어서

저쪽으로 패킷이 수신되는건가요?;;

L3스위치가 IP통해서 목적지 던지고 L2는 맥어드레스 확인하여 목적지를 결정하는것으로 아는대

이상황이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던져 봅니다.

flyhighb의 이미지

이미 커널 컴파일에 포함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off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USB to Serial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모듈 프로그래밍으로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짠 소스 상에서 probe가 걸리지 않는게 아무래도 실제 장치의 이름과 제가 등록한 이름이 맞지 않는 것 같아서 그런 것 같은데요.

이미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포함되어 있는 ftdi_sio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모듈을 만들고 등록을 하려하면 이미 등록되어 있는 이름이라고 에러가 뜨고 모듈 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이미 커널 컴파일 할 때 포함되어 있던 ftdi_sio 관련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있는 것 같은데요.

이것을 지우거나 장치가 핫 플러그 되어도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커널을 다시 컴파일 하는 방법은 저같은 초보가 하기 힘든 것 같아서.. 어떤 방법이 없을까하고 질문드립니다.

결국엔 이 ftdi_sio가 없는 환경에서 제가 짠 소스로 USB 장치 인식을 시키는게 최우선 목표입니다.

oblab의 이미지

linux top 명령어 CPU% 의 기준은 어떻게 해서 계산되는건가요?

top 명령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cpu 부하율을 보고 있는데요

CPU% 가 100%가 넘어갑니다.

사용하는 PC의 cpu갯수는 4개입니다(grep -c processor /proc/cpuinfo)

100%가 넘는다는것은 cpu가 4개이기때문에 최대 400%중에 100%를 사용한다는 의미인가요?

CPU% 의 출력값이 어느기준을 이용해서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

shint의 이미지

어떻게 400명이 동시에 채팅이 가능할 수 있을까? 400줄인데...

어떻게 400명이 동시에 채팅이 가능할 수 있을까? 400줄인데...

의문이 드네요. ㅇ_ㅇ;;

추가로 적어봅니다.

실제로... ㅇ_ㅇ;; 다음팟 TV 에서는 400명이 동시에 채팅을 합니다...

400명이 동시에 대화를 한다면. 대화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는 각자에 대화 내용을 알림상태로 표시하고. 메시지 펌프' 처럼 선택적 출력이 될것 같습니다.

섀도우 헌터스 : 뼈의 도시 - 다음팟 TV 방송
http://tvpot.daum.net/mypot/LiveView.do?ownerid=kE7RuBIo36I0

hch2838의 이미지

이번에 새로 가입했습니다.

중학교 3학년으로 내년이면 고등학교 입학 예정입니다.
평소 윈도우만 쓰던 일반인 입니다.
독학으로 윈도우 환경에서 C나 C++,WINAPI를 어중간하게 끝내고 리눅스 공부를 하려고
일단은 우분투 최신버전을 설치했습니다.
일단은 CLI부터 낯서네요.
GUI의 폐해일까요?
초보자에게 상당히 불친절해 보이지만 bash에 익숙해져야겠습니다.
이런 방황하는 초보자를 위해 어딘가에 bash 강좌라든가 없을까요?
(아 그리고 gdb도 배워야겠네요.)

thsalsgh01의 이미지

Docker 에서 Image 의 layer ID로 왜 Content digest를 쓰는지 모르겠습니다ㅜㅠ

1. Docker 1.10 부터 CAS(Content Addressable Storage) 도입을 Image 의 layer 에 대해서 content digest
라는 ID로 차용을 하고 있는데, Docker doc를 아무리 읽어봐도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ㅜㅜ

1.1. 왜 data retrieve 가 빨라졌는지..

1.2. 어떤 면에서 보안성이 높다는 말인지
(data 가 저장된 실제 위치와 몇개의 복사본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숨길수 있다고
하는데, 말만으로는 이해가 안가는데. 좀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줄수 있는 분 계신가요
어차피 CAS도 hash index 와 실제 저장된 위치가 mapping 되는 table 이 있는게
아닌가요? 거기가 뚫린다면 다른 Storage 방식과 다를게 없어보이는데
보안이 높다는 말이 이해가 안되서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