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ky1027의 이미지

라즈베리리파이(리눅스) 인터넷 끊어짐 현상

라즈베리파이 cm을사용하고 있고, USB to LA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선랜인데 인터넷이 자꾸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요

ssh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그렇고, 몇 분지나면 그냥 끊겨버립니다.
고정 IP로 설정하면 될까 싶어 시도 해도 똑같고 그 상태에서
sudo service networking restart 네트워크 재시작 명령어를 입력하면 또 살아납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요?...

계속 찾아봐도 해결이 되지 않네요
도와주세요..

읏짜의 이미지

eclipse + cygwin

eclipse와 cygwin을 사용해서 makefile project를 빌드하려고 하는데 Makefile 안에
dir :=$(shell pwd)가 있어요
근데 cygwin을 쓰다보니까 dir을 출력해보면 /c/~~로 찍혀서 경로를 제대로 못찾아가는데
/c를 C:로 바꿀수 있나요?

lalupo20의 이미지

ffmpeg 공부를 해볼까 합니다.

인강사이트를 만들어야 되는데

동영상 플레이어를 먼저 만들어봐야 할 거 같아서...

soen.kr에 강좌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 한번 들어가보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ygwin path 설정

윈도우에서 eclipse ide + cygwin으로 makefile project로 만들어서 빌드하려고 하고있어요
근데 makefile안에 pwd를 사용하는게 있는데 이게 D:/~~로 잡혀야되는데 D:/가 /cygdrive/d로 마운트 되있어서 제대로 안되네요,,

혹시 makefile안에 pwd가 원래 pwd처럼 D:/~~로 동작하게 하는 법 아시나요

cleo8131의 이미지

shutdown시 recovering journal이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shutdown이 안됨

Ununtu18.04 desktop version을 설치했습니다.
Partition은 boot 512M, swap 32G, / 100G, 이렇게 primary로 잡아 주었고,
512M uefi, 나머지 home으로 logical로 잡아 주었습니다.
SSD 1T에 위와 같이 설정했습니다.

Graphic card nvidia 2080TI이고
cpu 사양은 intel I7 계열이었던 것 같습니다.

한글 입력기는 fcitx로 설정하였고,
graphic card driver는 cuda 설치하면서 가지고 있던 batch file로 함께 설치를 했습니다.

문제가 있어서 SSD를 교체후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는데요.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제가 Linux에 대해서 잘 알지는 못합니다.
위 현상에 대한 설명 및 어떤 식으로 대처를 하면 될지 알 수 있을까요??

lalupo20의 이미지

jsp 개발하던거 놋북으로 옮기고 환경설정하는데만 하루 걸렸네요

1. 자바설치 이클립스 설치후 프로젝트 폴더 옮긴거 열어보니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에러

인터넷에서 하라는대로 해봤는데 안됨.

그래서 톰캣 버전을 10.0에서 9.0으로 낮추니 에러 사라짐

2. 1 완료 후 프로젝트 빌드해보니

the selection cannot be run on any server 에러

이 역시 인터넷에서 하라는대로 했지만 안됨

그래서 혹시나 해서 설정된 자바 버전을 낮춰보니 해결...

오늘부터 다시 손 좀 대보려 했더니 이거 해결하는데 하루종일 걸렸네여;

이제 mysql에 테이블 생성해줘야겠네요.

lalupo20의 이미지

[해결]eclipse jsp "the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에러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java build path->add library->server runtime->apache tomcat 선택

으로 해결책이 나오는데

이미 선택이 되어 있는데도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해결책 아는 분 계실까요?

톰캣10.0->9.0 변경하니 해결되네요.

이클립스 한 5번은 재설치 한 듯 합니다 ㅠㅠ

doodoo의 이미지

[완료]smartctl 결과 ... 이거 위험한것 맞죠?

새 하드를 구매하였습니다.
8TB 용량이라 큰 맘먹구 구매하여 이제 3주정도 지났는데....
smartctl 결과가 이상합니다.

theworkink117의 이미지

포트포워딩 설정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웹서버 접속시
xxx.xxx.xxx.xxx:8181 또는 www.xxx.com:8181이 아닌
xxx.xxx.xxx.xxx 또는 www.xxx.com로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싶습니다.

현재 상황
> 통신사 : LG유플러스.
> 공유기 : 80포트 막혀있음.
> 공유기 포트 포워딩 : 외부 8181 접속시 -> 내부 80포트로 연결
> 내부 리눅스 웹서버 : 80포트로 웹서버 구축해놓음.
> 접속경로 : 외부에서 xxx.xxx.xxx.xxx:8181 또는 www.xxx.com:8181로 접속시,
공유기에서 8181을 80포트로 연결해주도록 하여, 접속이 문제 없이 가능.

orca의 이미지

linux 라우팅 테이블 관련 질문드립니다.

초보 서버 엔지니어 입니다.

최근 설치한 리눅스에 관리망, 사설망, 서비스망으로 사용할 nic를 vm에서 각각 할당하여 다른 대역의
ip를 부여했습니다. 그런데 해당 망들과 연결되어있는 환경의 또다른 망에서 관리망, 서비스망으로 접속을
하고자하는데 디폴트 게이트웨이는 1개만 설정이 가능한것으로 알고있어 static방식으로 라우팅을
추가해주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예시로 1.1.1.1 - 서비스망 게이트웨이
2.2.2.1 - 관리망 게이트웨이

위 환경에서 1.1.1.1을 default gateway로 설정하고 또다른망 (3.3.3.3)에서 관리망(2.2.2.1)에
연결하려는 경우
# route add -net 3.3.3.x netmask 255.255.255.0 gw 2.2.2.1 dev [관리망 ip부여된 device]

위 명령어와 같이 수정하면 되는것인지 확인부탁드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