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우분투 13.10 업데이트 하신분 계시나요? 평판(?)이 안좋아서 선뜻 모험하기가 고민스럽네요.

우분투 13.10 업데이트 하신분 계시나요? 평판(?)이 안좋아서 선뜻 모험하기가 고민스럽네요.

개인프로젝트 진행중이라 시간 들여 만든 작업 환경 날리기 아까운 게으름때문에 평판을 보는데,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사이트 들어가도 13.10 이야기는 없네요.

bakdorazi의 이미지

리눅스 질문은 아니고 HP-UX에서 시스템 Daemon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가 유지보수 하는 시스템이 HP RX6600입니다. 여기 OS가 HP-UX인데

OS에서 ps -ef 하고 봤을 때 프로세스들 중에서 모르는 것이 있어서 시스템 재부팅하기가 힘듭니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simonwal의 이미지

파일이 너무 많아 지워지지 않는 디렉토리는 어떻게 지워야 하는지 도와주세요 ㅜ.ㅜ

좀 황당한 경우입니다. ㅜ.ㅜ
아시는 분이 사이트가 이상하다고 서버 좀 봐달라고 해서 원격에서 접속을 했습니다.
한참을 뒤지다 겨우 알아냈습니다.
세션을 저장하는 디렉토리가 333M 더라구요.
세션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사이즈가 35바이트이여서...
디렉토리내의 파일수는 대충 계산해 보니 950만개더군요. --;
ls 치면 반응이 없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하겠지요.
ls -al|more 해도 반응이 없습니다.
rm -rf * 해봐도 반응이 없습니다. 혹시 지워지고 있나 해서
멀티접속해서 디렉토리 사이즈 체크해 봐도 30분동안 그대로 입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 세션디렉토리와 해당 파일을 지울수 있을까요?
참고로 조금씩 지우려고 find명령어를 이용해서 생성된지 1일된 파일만 검색해서 지워보려고 해도
감감무소식이더군요.
우선은 급한데로 mv로 디렉토리 이름 바꾸고 세션디렉토리 새로 만들어 놔서 사이트는 정상화 시켜놨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zepinos의 이미지

samba 에서 계정에서 기본 그룹을 별도로 지정해줄 수 없나요?

samba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aaa 라는 계정이 bbb 라는 그룹이 기본그룹이고, bbb, ccc 가 속해있는 그룹이라고 하면,

samba 에서 파일을 쓰면 aaa:bbb 로 owner 가 지정되는데, 쉘에서는 aaa:bbb 로 되지만, samba 에선 aaa:ccc 로 생성되길 원합니다.

예전엔 pdbedit -G 옵션으로 뭔가 조작이 가능했던 것도 같은데, 지금은 방법이 없는 건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hjsong2234의 이미지

모든 포트포워딩은 == DMZ ? (DMZ 구현 문제)

현재 이더넷 카드 두개로 DMZ(모든 포트 몰아주기)를 구성하려고 합니다.

all 포트 포워딩은 = DMZ 가 맞는 논리 인지요? 일단 찾아본대로 iptables setting 하다보니 몇가지 문제점이 생기더라구요.

여튼 궁국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pc1의 eth1로 들어온 모든 데이타(포트)를 eth2로 전달해서 pc2의 eth1에서 서버프로그램을 돌릴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 랜선 연결 표시 ===== =====pc1================== =====pc2============== =wan= <---> = eth1 : 192.168.147.164 = = = ===== = eth2 : 192.168.1.1 = <----> = eth1 : 192.168.1.2 = ========================== ======================

soc의 이미지

망가보는 사람은 인생패배자

원피스라는 만화는 원체 분량이 많다 보니 안 본 지 2년, 3년 정도 지나면 어디가 어딘지 파악되지 않아서 잘 안 보게 됨. 특히 만화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씬 안에 너무 많은 정보를 담아놔서 보기 힘듬.
애니메이션으로 접근했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접근이 잘 되는데, 그 만화의 한컷 한컷에 압축된 분량이 좀 많은데 네이버 코미디에 마술사 만화 같은 식으로 술술 넘기다 보니 그런 정보를 캐치하기 힘들었던 듯.

뭐 처음부터 다 본 것도 아니니깐 중간에 어떤 인물이 어떤 인물인지 파악되지 않아서 그런 것도 있을테고, 암튼.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보면 재미는 있지만, 각종 설정들을 보면 도저히 재미로 넘어갈 수 없는 악질적인 내용들이 무수하게 많음.

2004년 쯤에 원피스 애니를 봤을 때는 친구들이 보고 있는걸 보고 나도 집에서 찾아서 봤는데, 그 때는 하늘섬 에피소드,
거기 욱일승천기가 나온 것을 봤음.

그리고 이번에 원피스 봤을 때는 어인섬이 유구왕국.
아놔! 미치겠네.

astzlra955의 이미지

Android Framework의 Log를 Console로 출력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Android Framework단에서 Service를 작업중입니다.

이때 Log를 Console로 출력하고 싶습니다. ( Serial Terminal 이요. )

현재 android.util.Slog / android.util.log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Eclipse에서 동작하는게 아니라, Build 해서 Target Board에 올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Log를 Serial을 통해서 확인하고 싶습니다.
( logcat 등을 사용하지 않고 Log가 발생하는 즉시 Console을 통해 보고 싶습니다. kernel의 printk() 처럼요.. )

어떻게 하면 될까요?

jjraon의 이미지

--

콩수니의 이미지

kacpid 데몬 점유율이 너무높아요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사용하고있는데
어느날 갑자기 kacpid 데몬에점유율이 갑자기높아졌어요
전원관리데몬이라는데 다른곳보니간 설정 파일 바꿔서 off하라는데
정확히 해당 데몬이 무슨 일을하는건가요
단순히 오프시켜도되나요!?

ko1205의 이미지

[질문] windows server 2008의 active directory 가 linux bind9의 DNS 에 동적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하려면 어디를 손봐야 하나요...

linux DNS 서버는 yum install로 설치후 간단하게 존파일 설정하고 작동 테스트도 이상없이 되었습니다..

여기저기 웹에 있는 글들을 참고로 windows server 2008에 AD를 설치할때 미리 설치된 linux DNS 서버를 primery DNS로 설정하고 윈도우 DNS는 설치 하지 않았습니다...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dd316373.aspx 여기 내용을 참조 하여 zone 파일 설정 allow-update 설정도 넣어주었지만..

동적 업데이트도 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등록도 되지 않아서 DNS 서버에 위 내용에 있는 SRV 레코드 들을 수동으로 추가해주었더니 클라이언트 join은 성공 하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AD server 쪽에서는 NETLOGON 에서 DNS 레코드 동적 업데이트를 실패했다고 5774 이벤트를 계속 뱉어 내고 있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