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ysh1618의 이미지

Centos 6.4 / shutdown해서 재부팅하였는지 port 안열립니다.


CentOS 6.4 64bit

service iptables save를 이용해서
iptables 포트를 열었는데요.

문제는 shutdown -r now 를 이용해서
재부팅을 한후에 발생하였습니다.

실행(결과)
# service mysqld status
mysqld (pid 1111) is running...

부팅시 자동으로 mysqld는 시작됨.
근데 port 3306(기본)이 열려있다고 확인되도
mysq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접속이 안됨.

분명히 iptables 도 재부팅시 자동실행이 시작됨
#service iptables status
치면 3306 열려 있다고 나옴.

하지만 mysql 외부원격(클라이언트)접속이 안됨.
대신
service iptables restart

그럼
mysql 외부원격(클라이언트)접속이 됩니다.

HotPotato의 이미지

google.com 으로 URL 을 입력하면 www.google.co.jp 로 포워딩됩니다.

윈7 x64 에서 Firefox 를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평소에는 신경쓰지 않고 그저 코딩 중에 발생하는 벽을 해결하고자 사용하던 검색창이었지요, 더구나 DuckDuckGo 를 default 로 설정해서 쓰다보니.
그러나 가끔은 검색창에 키워드를 넣지 않고 바로 엔터를 쳐서 해당 포털사이트의 기사거리를 보기도 합니다.
오늘 무심코 구글 검색창에서 엔터를 쳤는데 Google Japan 이 나오는 겁니다. 순간 눈을 의심하며 검색창에서 구글을 삭제한 후, [더 많은 검색 사이트 넣기] 링크를 통해 Google Default 를 다시 추가했더니 Google Japan 이 맞네요. google.co.kr 이 사라진 것도 아닌데..., ☞☜

왜 이럴까... 왜 이런 거지???? 하면서 www.google.com 으로 접속했더니 www.google.co.jp 로 포워딩됩니다.
여긴 한국인데... ㅡㅡ.

christ17의 이미지

웹페이지 한글 깨짐 문의

kldpwiki GNU make 자료 보려구 하는데
이렇게 나오네요
구글링 검색에 뭐라고 쳐야 할까요?

k1d0bus3의 이미지

완료

감사합니다.

wnsdud9984의 이미지

우분투 데스크탑버전os로 서버용os를 설치할수있나요?

집에 굴러다니는 고물 노트북에 우분투 서버 설치해서 학교에서 하는 공부 복습하려합니다.

그런데 우분투 서버 14.04(학교서 실습으로 사용하는 버전)를 설치하려하니 cpu가 후져서 안되는것 같더군요.(64비트에 않맞는가 봅니다.)

그런제 제가 예전에 분명히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은 설치를 했었던 노트북입니다.(아마 32비트일겁니다.)

그래서 우선 우분투 데스크탑 14.04 32bit를 설치하면서 데스크탑버전처럼 전부 설치하지않고 서버파일만 따로 설치하고싶은데 가능할까요?

예전에 centos는 가능했던걸로 기억해서 드리는 질문입니다.

bluegem1의 이미지

CDMA, WCDMA, GSM 모뎀 어떤걸 선택해야할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모바일 모뎀과 모바일 모뎀 또는 모바일 모뎀과 서버(TCP/IP)
데이터 통신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하는데요. 실제 사용은 말레이시아에서 하게 됩니다.
이럴경우 통신모듈을 어떤걸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초보적인 생각으로는 WCDMA면 국내와 해외에서 다 적용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통신모듈을 사용해서 개발해본적이 없어서 공부중인데 아직 잘 모르겠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jytg669의 이미지

webcollab 설치법이 궁금한데요.. 어떻게 설치하는건가요??

현재 웹페이지에 webcollab 로그인 페이지까지는 해놨는데
여기서 demo//demo라고 치고들어가면
PHP Fatal error: Undefined class constant 'MYSQL_ATTR_INIT_COMMAND' in D:\WebCollab\database\mysql_pdo.php on line 59
이런 문구가 뜨게되네요.. 어떻게하는 걸까요?ㅠㅠ

alaksanazik의 이미지

민트 OS-hamonikr & Mono 개발환경 설정

오늘째로 2일째 입니다. 처음 리눅스란걸 접한계기는 8년전 인천 모 교육기관에서 수업교재로 알게된 페도라 6.0 이었습니다.
하지만 교육수료후 몇번 우분투, 페도라, Cent OS등등을 사용해보려 했으나 초보자로서는 사용이 어려워서 리눅스는 인연이 아니라 생각하며
한동안 살았었는데 어느날 문득 "하모니카 프로젝트"라는걸 알게되서 대충 살펴보니 괜찮아 보여서 선택했습니다.

이걸 선택한 이유중 가장 큰 요인은 별다른 설정없이 설치후 바로 한글입력이 가능하다는 점 이었습니다.
사실 지금 이 글도 리눅스 상에서 설치직후 몇가지 별다른 설정 없이 필요없는 프로그램 삭제 및 활용할 프로그램만 설치 후 리눅스의 크롬 브라우저에서 작성중입니다.

또한 C를 비롯하여 JAVA및 C#까지 재공부 중인데 MonoDevelop이란 IDE가 있어서 윈도우 없이도 충분히 학습용이든 개발용이든 무난하게 이용가능할거 같습니다.

덕분에 저는 가상프로그램(VMware, Virtual BoX등)이 아닌 윈도우 포맷후 HDD설치해서 윈도우 대체OS로 쓰고 있습니다.

aksen123의 이미지

Gnome 환경에서 VNC 를 쓰는게 문제일까요?

얼마전에 Debian 8 로 서버를 하나 구축했습니다.
공인 IP 는 두 개인데, 하나는 개인 (Windows 7) 으로 쓰고, 다른 하나는 공유기를 물려서 Debian 서버를 연결했습니다.

제 서버에서 GUI 환경을 써야 하는데, 예전에 Putty + Xming 은 좀 느린감이 있더라구요. VNC 는 한번도 안써봤는데, Putty + Xming 보다는 빠를 것 같아 선택하였습니다.

그런데 VNC에서 GUI 가 안뜹니다.
Debian 에서 VNC 는 tightvnc 를 이용하고, Windows 에서는 UltraVNC Viewer를 이용했습니다.
netstat 로 포트 번호 5900, 6000번대가 열리길래, Debian 이 물린 공유기에서 5900, 6000번대를 포트포워딩 해 주었습니다.

접속을 시도하면 VNC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것 까지 나오는데, 그 이후론 소위 말하는 '회색 화면'만 나옵니다.
문제 지점은 xstartup 에서 gnome-session 같습니다. 맨 마지막에 Gnome 환경을 사용하기 위해 gnome-session 을 입력한 상태입니다.

hyoneer의 이미지

HTML 관련 간단한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간단한 웹 게시물을 좀 만들고 싶은데요.

┌─────────┐
│ 1 │
├─────────┤
│ │ │ │
│ 2.1 │ 2.2 │2.3 │
│ │ │ │
├─────────┤
│ 4 │
└─────────┘

음.. 그림이 뭉게져서 나오네요.. 사이에 쩜을 찍어 보겠습니다.

┌───────────┐
│............1...........│
├───────────┤
│.......│.......│......│
│.2.1.│.2.2.│2.3.│
│.......│.......│......│
├───────────┤
│........... 4...........│
└───────────┘

이런 형태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