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embeddeds0의 이미지

커널 소스 분석에 대해..

리눅스에 관심이 많은 학생인데요.

현재 리눅스 커널 내부구조라는 책을 보면서 공부를 하는 중에 커널 소스를 봤는데, 양이 엄청 방대하더라구요.

그래서 궁금한게 있는데 커널 소스를 분석하면 리눅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건가요?

그 밖에 장점좀 알려주세요~

cycix의 이미지

mysql 의 DB와 로그 파일 위치 질문입니다.

mysql의 db내에 있는 data들이 리눅스에서 물리적으로 어디에 저장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

/usr/local/mysql/data
이곳의 mysql-bin.00001 이파일들이 db파일인줄 알았더니..
바이너리 로그 파일이라고 하더군요 -_-;;;

그래서...

질문1.
/usr/local/mysql/data
이곳에 db로 추정되는 파일이 ibdata1 인데 확인해볼 방법이 있을까요?

질문2.
mysql-bin.00001 이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 링크? 부탁드립니다.. ^^

--------------------------
InnoDB사용중입니다.
data디렉토리를 변경/설정/지정한적 없읍니다

망치의 이미지

mysql workbench 의 dbdoc 같은 기능 공개된 프로그램은 없나요?

잘 쓰고 있는 mysql workbench 5.2 에 분명 명세서 작성 기능이 있을듯하여 열심히 찾아봤더니,
dbdoc 이란 녀석으로 있는데 이게 mysql standard 버젼 이상에만 포함되어있는 상용이더라구요.

MySQL DB 명세서 작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그램 추천좀 부탁드려요..

k1d0bus3의 이미지

I/O 벤치마크 툴 추천 부탁드립니다.

조건1.
사용자 지정한 파일사이즈(512,1k,4k,8M 등등)들에 대해 각각 read/write 속도측정이 가능해야 함.

조건2.
다수의 장치(/dev/sda1,/dev/sda2,/dev/sda3, 혹은 /dev/sda,/dev/sdb,/dev/sdc)에 대한 속도 비교가능해야 함.

위 조건을 만족하는 툴 추천 부탁드립니다.

윈도우용이든 리눅스용이든 상관없습니다.

zunhaeng의 이미지

완전 초보;;; 리눅스 공부할겸 개인서버를 설치했는데요. 도와주세요.

회사에 남는 컴이 생겨서 몰래 공부할겸 리눅스 서버(CentOS)를 설치했는데요 ㅎ;;

회사에서 외부로 나가는 공인아이피는 115.*.*.* 이고, 내부에 리눅스서버 컴(PC1)은 192.168.0.9 으로 지정되어있는데요.

외부(집) 내부(회사)
------------------||--- 공유기 ---> PC1

집에서 PC1로 ssh 접속하고 싶은데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초보에게 자비를 배풀어주세요(__)

ps. 음..제 생각으론 포트포워딩을 해야하는거 같은데... 공유기와 pc1과 포트포워딩 작업만 하면 연결이 되는건 아닌거 같아서요;;

ngh1262의 이미지

KLDP 오전에 서버다운이었나요???

오전에 접속이 안되서 설마 폐쇄된건가....하고 조마조마했습니다 ^^;;;

mhhong의 이미지

dead lock 디버깅 툴

메모리 누수 디버깅 툴은 꾀법 보이던데
데드락 디버깅 툴은 찾기가 쉽지 않네요.
최근에 디버깅 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 경험이 있어서 찾고 있습니다.
괜찮은 툴 알고 계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jyotaro의 이미지

커널 옵션 한글화 사이트 사라졌나요??

다시 마음 잡고 임베디드를 공부할려고 하는 도중에

책에 나와있는 http://kernel.pe.kr/home.php

사이트 접속할려고 하는데 없다고 뜨는군요.

http://kernel.sarang.net 도 안뜨구요.

Tae_Wook의 이미지

다른 c클래스 주소와 통신할려면 무슨방법이 사용가능 할까요?

다른 c클래스 주소와 통신할려면 무슨방법이 사용가능 할까요?
- - -
내부 라우터망은 192.168.1.x를 255.255.255.252 로 나누고
라우터의 말단 컴퓨터쪽과 컴퓨터에는 192.168.0.x 을 255.255.255.0 으로 해서
패킷트레이서로 192.168.1.x 와 192.168.0.x 끼리 통신하고 싶은대요. [
-
모든 컴퓨터는 라우터와 1:1로 연결하고(라우터 1개에 컴퓨터 1개만 연결)
라우터쪽은 192.168.0.1로 나머지 컴퓨터는 남는 주소로 할려고 합니다.
]
rip에 192.168.1.0 192.168.0.0 둘다 추가해도 안되내요. 원래 안되는 걸까요?
[그냥 192.168.1.x를 255.255.255.252로 하고 그걸로 전부 해결(?)하면 잘 됩니다.]
- -
(정적라우팅 방법은 제외하고) 무슨방법이 있을까요?
- - -

universe의 이미지

서버에 대한 질문입니다.

먼저 궁금증의 시작은 idc의 인터넷 속도유지 비결이었습니다.

idc는 적게는 수십대에서 많게는 수천대 수만대의 서버가 들어가 있는데요.

다른건 부품을 달면 된다 치더라도 도대체 인터넷 속도를 어떻게 유지할까 싶었습니다.

수 만대의 서버에 접속하는 유저가 수십만명이라면

인터넷 회선 하나의 업다운로드 속도는 동일하다고 봤을때

접속하는 수십만명의 유저가 자기 회선의 다운로드 속도를 회선 속도 속도만큼 내기 위해서는

idc는 개인이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을 기준으로 수십만개의 회선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는 말인데요.

솔까말 이게 현실적으로 말이 안되보여서요.

개인이 쓰는 회선 하나 비용이 만원이라고 했을때 idc가 수십만명을 감당하려면 만원 x 수십만인데

그냥 십만이라고 처도 1,000,000,000 10억의 유지비가 나오네요.

아 idc 하나의 인터넷 유지비용은 한달에 10억인겁니까?

따지고 보니 그렇게 비싸지는 않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