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tk, ibus 등 요새 입력 버그 / 끝글자 버그 없나요?

오늘 뭐 검색하다가.. 우연히 아래 이슈를 봤네요.

https://github.com/ibus/ibus/issues/1980

GtkIMContext needs to get the event when input context is clicked
https://gitlab.gnome.org/GNOME/gtk/issues/1534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pm설치 옵션과 컴파일 설치옵션차이

일반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기본옵션이 적용되죠.

그런데 rpm설치시에 적용되는 옵션은 컴파일설치옵션을 따로 설정하기 않았을시에 기본옵션과 같을까요?

힘들다의 이미지

도커 컨테이너로 서버구축을 하고싶은데 정확하게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apache ftp 서버를 구축한다고 가정하면

centos 컨테이너를 만든 다음에 그 안에서 apache를 구축하고

또다른 centos 컨테이너를 만든 다음에 그 안에서 ftp서버를 구축하는식으로 하는건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ettercap 다운받기 오류

제가 우분투에서 ettercap을 설치하려고
sudo apt-get install ettercap-graphical 을 입력 하였더니
ettercap 패키지를 찾을수 없습니다. 라고 뜨더군요... 그래서
sudo apt update 를 하고 다운을 진행하려 했음에도 ettercap패키지를 찾을수 없다고 뜨는데....
인터넷에는 이런 오류에 대한 해결책이 없어서 질문 올려봅니다... 어떻게 해결 해야 하나요?

bhmin0323의 이미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자유 소프트웨어의 차이점이 뭔가요??

둘이 같아보이는데.. 라이선스에 따른 차이만 있는건가요?? 공부중에 너무 헷갈려서 질문드리네요

coral2388의 이미지

NIC 교체 시 mac-address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생겨서 여기에 글 남깁니다!

현재 서버A의 NIC카드가 불량입니다. 그래서 NIC카드를 교체해주어야 하는데요.
그런데 해당 서버A의 70-persistent-net.rule에 mac-add이외에 ip도 같이 설정되어있습니다.

이럴경우 서버A의 70-persistent-net.rule를 이름을 변경해서 복사해둔 뒤에 원본 70-persistent-net.rule을
삭제하고 NIC카드 교체를 해야한다고 들었는데요.

그리고나서 새로 올라온 rule과 복사해둔 rule를 비교해서(ip정보를 보고) 원본파일과 다시 똑같게 만들어줘야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새로 올라온 NIC카드의 rule정보에는 ip정보가 없을텐데 뭘 보고 비교해서 mapping을 시켜주는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mac-add도 새로 올라올텐데 어떤 부분을 보고 비교해서 원본파일처럼 만들어주는지가 제일 의문입니다.
제가 혼자 고민한바로는 rule에 존재하는 device name (ex. eth0)을 보고 비교해주는건 아닌가 싶은데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ㅜ

세벌의 이미지

스팸신고

scret9889 글 지우세요.

일회용아이디의 이미지

Snort log를 사용하여 파일 추출 하는 법

안녕하세요

환경 : 칼리 리눅스 Snort 2.9.7

목표 : 공격자가 공격대상자에게 FTP를 활용하여 악성코드를 전송하였을 때 Snort를 이용하여 파일 전송 log를 기록하고 log를 NetworkMiner로 파일을 추출하는 것 입니다.

snort rule은 아래와 같이 지정하였습니다.
alert tcp any any -> any any (msg:"Malware ccccccc"; content:"|4D 5A|"; offset:0; sid:54450002;)

wireshark로 패킷 과정을 전부 캡쳐하고 miner로 파일추출하는것은 문제 없었습니다.
snort로 파일을 탐지하고 miner에서 파일을 추출까지 하려면 어떻게 rule 설정을 해야 하나요?

msamhh의 이미지

과도한 트래픽을 안 보내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상황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A 서버와 B서버가 있는데, A에서 B로 디도스 공격 (과도한 트래픽) 을 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말씀드리면,
A 서버가 --->> B의 DNS로 SRV쿼리를 과도하게 보내고 있어서 B가 트래픽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A서버는 리눅스 우분투 이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A 서버가 어떠한 조치를 할 수 있을까요? ㅠㅠ
그리고 A가 B에 보내는 트래픽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제가 A서버의 입장이여서 제가 조치를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알고 계신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s1237의 이미지

우분투 부팅이 안됩니다 (왕초보)

문제인건 첫번째 사진이구요 두번째 사진에서 완료완료 후 다운까지 진행했는데 저런화면 뜨더니 부팅이 안되네요

좀 찾아보니 sda3 파티션에 다운했으면 일단 root(hd0,2) 를 입력하라는데 이것도 찾아보니까 저랑은 다르더라구요???ㅠㅠ
컴공과 신입생이라 듀얼부팅 이제 막 하고있는데 너무 고되네요 되다가 안되다가 하고.. 카페에서 다른 분 도움 많이받았는데 계속 도와달라하기도 죄송해서 여기다 올려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