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음 또띠가 말을 갈아 탔군요..

오늘 인터넷으로 아색기가를 보는데 위에 "또디'라고 나와서 설마했는데,

11월 1일부터 일간스포츠로 말을 갈아탔네요.

음 stoo가 너무 돈을 짜게 줬나? ㅡ.ㅡa

하여튼 또띠 다시 보게되서 좋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발~~ 내부ip 설정 하는 방법좀 갈챠주세요..~!

암만해도 벌써 한달째 안돼고 있어요..

그냥해바도 안돼고 dhcp 이용한답시고 해도 안되고..

제발 돼는 방법좀 간단하고 자세하게 좀 갈챠 주세요...

먼저 adsl이 리눅스 컴에 연결되어 있고 또 윈도우가 리눅스컴에 연결되어 있
어요

지금 부터 아래를 부시면..
[root@localhost init.d]#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50BF4C9880
UP BROADCAST RUNNING NOARP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7303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6761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nudb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슴다..[긴급]

gnudb가 데이터 베이스 인건 아는데..
어떻게 설치를 해야하며 그런것에 대해서 넘 궁금합니다..
다른 mysql이나 오라클하고는 달른 점이 많은것 같은데..
도대체가 개념이 안잡히네요..
고수님들 급합니다.. 제발좀 갈쳐 주세요..ㅠ.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용산... 씨퓨... 가격...?

-_-;

애슬론은 차츰 떨어지는 추세..

인텔은 만원씩 팍팍 뜨는 분위기.. -_-

애슬론 xp 이 가격이면 1.4기가랑 별 차이두 없다..

내가 좀 기다렸다면.. 1.4기가 안 사고 xp 샀다.. -_-

쩝..

그리궁... ㅡㅡ;;

보드 잘 쓰는게 좋을듯.. 역시... xxx는 안저아.. -_-;;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에 대해서..궁금..!


리눅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초보자입니다...
큰 맘 먹고 제 컴에다 리눅스를 설치했습니다..
제 컴은 원래 하드가 두개이고 OS는 윈2000를 씁니다...
그래서 나머지 하드는 하드렉으로 여기에다 리눅스를 설치하였습니다...

책에서 읽으니 리눅스 설치시 윈NT나 윈2000의 경우에는
Lilo를 MBR에 설치하지 말고
첫부트에 설치하라고 하여서 거기에다 체크하고 설치를 했습니다...

그런데 윈2000의 멀티부팅에서 리눅스가 나타나지 않고
둘다 윈2000만 뜹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기초 스터디 같이하실분...

리눅스를 공부하고 싶으신분들을 모집합니다... 같이 공부범위를 정하고 공부해서 토론하고
서로 의견을나누어 공부하는 스터디하실분들을 모집합니다. 기초부터 시작합니다....
이글을 올리는 본인도 정말 이제 공부를 하려는 오리지날초보입니다. 같이 좋은인연과
좋은결실을 얻어나갈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공부의 편이를 위해 홈페이지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홈페이지의 memo란에 신청을 부탁드립니다.또는 메일로 보내주시면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도우메이커에서 아미 사용하기

레드햇7.2 유저 입니다.
윈도우 매니저로 윈도우 메이커를 쓰고 있는데요.
아미가 실행은 돠는데 아미의 글자가 다 꺠져보이고
한글이 써지지 않습니다.모질라에서요.어떻게 하면 되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edHat 7.2에서 한텀...

레드햇 7.2에 기본적으로 깔려있던 hanterm-xf를 지우고
hanterm-3.1.5로 다시 깔았습니다.그런데 문제는
한텀을 깐후 hanterm -hfn -*****font**** 이렇게 해서 백묵폰트를
지정하고 한텀을 띄우는데 계속 폰트를 로드할수 없다고 하더군요.
분명히 폰트는 있는데 말입니다.7.1에선 이러지 않았는데 7.2에서 계속
이러고 있습니다.보니 7.2에서는 뭔가 설정을 해야 할거 같은데
그런데 기본적으로 깔려있던 hanterm-xf에서는 -hfn 옵션으로 백묵폰트가
로드 됩니다.hanterm-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파치 서버에서 access log 문의합니다.

access log 가 1주일에 20M 이상 쌓이기에 걱정입니다.

특정파일만 로그에 쌓이지 않고 모두 기록되며 파일크기를 적당하게 자르는 옵
션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20M 이상이 되면 기존의 것이 삭제되던가 아니면 새로운 access1
이라는 파일로 변경이 되던가하는 내용입니다.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싸~ 고민이 해결되었도다~

부디 행복하기를 -)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