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arikera의 이미지

데비안 리눅스, 하드를 USB 로 옮겼을 때!

질문하려고 오늘 처음

데비안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케이블 문제로 하드를 연결하지 못하게 되서, USB 외장하드로 옮겨서 부팅을 시켰어요.

USB로 부팅은 되지만.. 도중에 /dev/hda1 이 없다고 오류가 나요 ㅠㅠ

어떻게 설정을 바꾸거나 하지는 못할까요? .. ..

eun1505의 이미지

리눅스 포트 열기... ^^; 도와주세용~~

맨날 삽질만 하다가 ㅋㅋ 처음 질문해요~

아. 저는 지금 flight gear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뭔가를 만들어야 되는 사람이에요 ㅋㅋ
거기에서는 udp로 통신하는데요...
통신포트가 5502(out), 5503(in) 이에요. 그러니까 제 컴퓨터에서는 5503이 out이 되고, 5502가 in이 되겠지요?

그리고 지금 제 컴퓨터는 win7 --> virtual box에 fedora가 설치되어있구요.
다른 컴퓨터(flight gear가 실행되는)에는 fedora가 설치되어있어요.
음.. 네트워크 방식은 NAT를 했었는데 안되어서 지금 bridge로 바꾸어서 인터넷은 되는 상태에요.

근데 이게말이죠... 제가 보드에 올린 아이피로는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는데요...;;;
제 컴퓨터에서 테스트를 하려고 하다보니... ㅡㅡ;; 포트가 열려있지 않은지..;;; ㅠㅜ
아무튼 안되네요..

여기저기 삽질로

orkan의 이미지

회원 탈퇴 어떻게 하나요

아무 활동이 없어서 탈퇴하려는데..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네요

s0ulhacker의 이미지

MRTG 서버트래픽과 스위치 트래픽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어떤 한 서버에서 snmp를 설치하여 서버에서 뽑은 MRTG 트래픽과

그 서버가 연결된 3com 스위치에서 뽑은 MRTG 트래픽 그래프가 있습니다.

그런데 서버에서 뽑은 MRTG 그래프에는 최대가 88 Mbps,

스위치에서 뽑은건 최대가 108 Mbps 로 나옵니다.

그래프 곡선형태는 거의 같습니다.

근데 구간별로 스위치의 그래프가 20M 정도 높게 나오네요.

어떤 이유가 있어서 이렇게 나오는지 이게 원래 정상적인건지

아시는 분의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Nicatio의 이미지

[Eclipse/C++] 디버그할 때 memory view에서 floating point로 볼 수 없을까요?

Eclipse, Cygwin Compiler 이용해서 C++ 코딩을 하고 있습니다.

디버그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볼 수 있는게 HEX, integer, ASCII 등인데...

float, double 같은건 없더군요.

부동소수점 및 매트릭스 이용하는 작업을 많이 하고있는데 메모리 확인이 안 되니

이걸 일일이 콘솔에 찍어보고 있는 실정입니다.

덕분에 코드짜는 시간이 두 배 이상 걸리고 있는데요 ㅜㅜ

floating point로 메모리를 볼 수 있는 (VC++ 같이..) 렌더링은 제공이 안 되는건지

구글링 해봤는데 명확한 답변을 찾기가 어렵네요.

이거.. 플러그인 같은게 있을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etectivekim의 이미지

tomcat서버에 프록시역활을 하는 jsp코드

저에게 서버1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 서버1에서만 연결가능한 서버2가 있습니다.

그런데 서버1에 jsp를 deploy시켜 프록시서버역활을 하게 할수 있나요?? 몇몇사람들에게만 공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부하정도는 상관없습니다.
예를 들어 서버1 주소가 xx.xx.xx.xx라 하고 서버2 주소가 yy.yy.yy.yy 라하면

xx.xx.xx.xx/proxy.jsp?url=yy.yy.yy.yy 으로 연결하면 페이지가 뜨게할 수 있나요? 로그인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세션 유지 정도는 할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jsp코드가 오픈소스로 있을까요??

detectivekim의 이미지

NetCat(이하 nc)를 이용한 프록시서버 만들기

현재 상태는

Home ------------방화벽--회사(cent os 5.3)

인데요 회사에서만 접근할수 있는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고싶은데 방화벽이 있어 netcat을 이용해 리버스 연결을 사용했는데요. (w3m같은 텍스트 브라우저로는 로그인이 안되더군요) 리버스연결에서는 프록시 서버를 어떻게 만들수 있는지에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netcat을 이용해 프록시서버를 만들수 있을까요?

netcat의 -x 옵션을 리버스연결중일때 사용할 수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세벌의 이미지

xsl fo processor

http://www.w3.org/community/ppl/wiki/XSL-FO_Processors
보니 commercial 아닌 건 딱 하나 있네요.

prankenmk2의 이미지

mysql slave 서버의 포지션이 맞질 않네요.

안녕하세요.

현재 마스터 서버 1대에 슬레이브 서버 4대를 연결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갑자기 슬레이브 서버 1대의 리플리케이션 포지션이 어긋나 확인을 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못찾아 글을 올립니다.

포지션이 맞지 않는 시점은 금일 운영 서비스의 이벤트로 접속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포지션 넘버가 차이나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서비스 서버들은 문제없이 맞는데 해당 서버만 포지션 넘버가 맞지 않으며 문제 있는서버 와 다른 서버와 사양과 구조가 거의 동일합니다.

서버간의 다른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문제 있는 서버
CentOS 6.3, ext4, 소프트웨어 raid0

문제 있는 서버
CentOS 5.8, ext3, 레이드X

sar로 cpu 사용률을 보면 IO쪽의 병목이 의심됩니다.

parkon의 이미지

맥에서 키매핑 노하우 부탁드립니다.

최근에 맥에어를 사서 적응하려 노력 중인데
컨트롤/알트/윈키에 대한 맥의 정책이 마소나 리눅스와 달라
무진장 헷갈리네요.

아시겠지만 멕의 물리적 매핑은
컨트롤->컨트롤 (변화 없음),
윈키->커맨드,
알트->옵션키이고,

노트북 키보드의 위치는
맨 하단 첫 키 = 펑션 키,
컨트롤->컨트롤 (변화없음),
윈키는 알트 (즉 옵션) 키 자리,
알트는 윈키 자리이고,

기능 면에서
컨트롤 키의 역활을 윈키(즉 커맨드 키)에 다 때려 박고,
알트 키의 역활을 옵션 키에 넣어 놨고,
거의 안쓰는 윈키의 역활을 컨트롤 키에 넣어 놔
결과적으로 맥에선 컨트롤 키가 거의 쓸모없게 만들어 놨네요.

즉, 키들의 이름, 위치, 역활이 다 틀려 지금 무진장 헤매고 있습니다.

더구나 사무실에선 (맥용이 아닌 통상의) 외장 키보드를 연결해서 쓰고 있어
더 헷갈리고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