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ngixnull의 이미지

DNS 서버 구축 중 질문 드립니다.

DNS 서버를 리눅스에서 구축할때
최종적으로 zone 파일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딱 막혀버렸네요 ㅠ.ㅠ

1. zone 파일에서 DNS 서버 IP를 지정하게 되는데요
www IN A 123.123.123.123 식으로
DNS 서버 IP를 입력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어떤 IP 주소를 입력해야 하나요?
제가 D-link 공유기 사용 중이라 관리페이지에서 나오는
네임서버 IP가 있던데 그걸 써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거나 쓰면 되나요?

soc의 이미지

개발환경 모두 1대의 컴퓨터로 통합, 2020년까지 사용계획

개발환경을 모조리 1대의 컴퓨터로 통합함.

제온 서버에 우분투 서버랍시고 깔아놓은 게 램을 500MB 넘기지도 못하고 하드 용량도 1.5GB밖에 안 처먹으니 그냥 내가 주로 쓰는 i5-3570k 데스크톱 VirtualBox로 이전해서 개발환경 통합시켜 버렸다. 이 참에 딴 외부 서버 같은 데에 뿔뿔이 흩어진 쬐그만 프로그램들도 죄다 VirtualBox 가상머신으로 이전시켜 버림. 이런 식으로 통합하니까 더 편리해짐!

이렇게 해서 내가 산 Xeon E3-1245v2 서버는 얼마 전부터 잉여다.
아놔 이 쓸데없는거... 어떻게 처리하나? 한 1년 전에 그래픽카드를 여러번 사고 파는 것도 그렇고, 최근에 이 제온 서버랑 ECC 메모리 구매건까지 합하면 80만원을 그냥 허공으로 날려보낸 셈이네? 1달 알바비로 받은 돈을 이렇게 고스란히 날려먹는 것도 어지간히 미친짓이라 할만함. 나머지는 스윙칩 100봉지, 라면 200개에 소모함!

망치의 이미지

IDE Netbeans 쓰시는분 질문


쓰다가 좀 답답해서 질문 올려 봅니다.

PHP 에서 변수 앞에 (int) 나 (float) 를 붙여서 타입 캐스팅을 할 때, 괄호 ( 를 쓰면 자동으로 ) 를 붙여주는데요. 그 안에 int 를 쓰고 나면 커서가 아직 괄호 안에 있게 됩니다. 아래 처럼..

(int )
^커서 위치

그럼 꼭 방향키 -> 를 눌러서 밖으로 나가야 하는건가요? 거기서 걍 ) 를 쓰면 (int)) 가 돼버려요 ㅡ.,ㅡ; 아 이거 뭔가 굉장히 답답해요.. 으엉..

hopeman1의 이미지

ARM 우분투에서 열심히 OpenCV를 설치하기 위해 다운을 받고, 작업을 했습니다. 그런데, 연결방법을 바꾸자 작업내용이 사라졌네요.

ARM 보드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중입니다.
리눅스와 ARM 모두에 깜깜이라 삽질을 열심히 하고 있어요~

평가보드와 노트북에 USB-Serial 케이블을 꼽고 PuTTY로 연결해서 터미널 열고 라이브러리를 컴파일 및 설치하려고 wget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운을 받았습니다.
물론 위치는 평가보드상의 SD메모리고 평가보드는 인터넷연결이 되어 있던 상태고요..

일이 좀 있어서, 시리얼 케이블을 빼고, PuTTY에 다시 IP를 입력하여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 했더니 그만 그간 작업한 내용이 하나도 없고, 깨끗하네요.
이런일도 있나요?

디렉토리들을 아무리 열심히 뒤져봐도 다운 받은 라이브러리는 온데간데 없네요..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하신분은 좀 도움 주세요^^

ytkim4558의 이미지

오픈소스인 OCROpus에서 프로그램 디버깅 or 페이지 레이아웃 분석 관련 질문입니다.

우분투 설치 후 , OCROpus 0.7 버전을 설치는 했습니다. - https://code.google.com/p/ocropus/
터미널에서 ./run-test 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이 동작하는것 까지는 했고요
제가 알고싶은건 OCROpus에서 페이지 구조분석을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따라서 run-test 파일을 한줄 한줄 디버깅을 하면서 분석을 할려고 생각중이었는데요
이게 스크립트파일이라 그런지 gdb를 비롯하여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을 못찾겠더라고요.

windows에서 visual studio에서 opencv 설치해서 프로그램 실행만 해왔던 저라 도저히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감이 안잡히네요;;
관련 논문이나 웹을 검색해보았으나 2009년 논문이 전부라 최신버전것은 반영이 안되어있는것 같습니다.

코드 분석을 하거나 아니면 구조분석하는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_=;;

pci486의 이미지

백업 서버를 운용하실때 다들 어떻게 관리를 하시나요.

일단...
회사에서 필요에 의하여 백업서버를 구축했습니다.
뭐... scp 로.. 하는거지만요...

아무튼..

데이터의 보유기간을 보통 얼마정도로 잡나요?
평생~~ 은 아닐꺼구...
백업 데이터를 보통 어느정도 기간까지 머신또는 hdd에 보존을 해두시나요?

cleansugar의 이미지

웹서버에서 링크의 허가권 읽는 법은?

웹서버에서 어떤 디렉토리를 못 읽고 있습니다.

원본의 디렉토리의 허가권이 dr-- 이고 그것에 링크를 건 껍데기가 lrwx라고 할 때 웹서버가 못 읽는 게 당연한가요? 반대로 원본이 rwx이고 껍데기가 r--이면 웹서버가 역시 못 읽나요?

그리고 아파치 설정에서 Options +FollowSymLinks와 Options FollowSymLinks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htaccess의 소유권을 root에서 다른 걸로 바꾸고 싶은데 안 바뀝니다.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세벌의 이미지

ibus? scim?

나비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쓰고 있는데, 한국어 영어는 입력가능하지만, 일본어 중국어 등 다른 언어는 안 되는 것 같네요.

ibus와 scim 은 어떤 점이 다른가요? 그 외에 다른 입력기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도 궁금.

kikiki8589의 이미지

커널컴파일 옵션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리눅스를 하나씩 배워가는 사람입니다.
커널컴파일시 옵션에 무수히 많은 것들이 나오던데
이 옵션들이 정리되어져 있는 사이트나
좋은 서적이 있으면 혹시 알 수 있을까 싶어
여기에 질문을 해봅니다.

별도로 정리된 사이트나 서적을 알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

brown의 이미지

서버간 ssh 접속문제

A서버와 B서버가 있습니다.
A : CentOS 6.2 / openssh 6.1
B : CentOS 5.8 / openssh 4.3

A에서 B의 ssh(22포트)로 접근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두 서버 다 selinux는 disabled 되어 있고, iptables도 내려가 있습니다.
/etc/밑에 호스트 deny, allow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B서버의 /var/log/secure에 아예 기록이 없고, B까지 못오는 것 같아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