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doriver의 이미지

Git 서버 설치 왜케 복잡 하죠?

svn 서버 설치는 그냥 설치만 하면 땡인데

Git 서버 설치는 스크립트가 왜이렇게 복잡해요?

좀 쉬운 방법 없나요? ㅠㅠ

hsnks100의 이미지

vim 에서 lambda 를 파라메터로 전달 할 때 indent 문제.

removeMessage(mail["no"].asInt(), mail["memberID"].asInt64(),
[=](Json::Value r)
{
if(r["result"]["code"].asInt() != GDSUCCESS)
{
av->removeFromParent();

appleinu의 이미지

kernel code 의 nor flash 에서 odd data length 처리를 해주나요?

안녕 하세요.

현재 nor flash 쪽 write 하는 부분을 porting 해보고자 합니다.
헌데 block 단위로 들어올때를 빼고, odd length 로 들어오는 부분에 대한 write 는 하지 않는 것 같은데,
혹시 관련된 팁을 얻을 수 있으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xoduddk123의 이미지

리눅스 부팅시에 ip 라는 명령어가 어떤 역활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bin 디렉토리안에보면 ip 라는 명령어가 있는데요

이 명령어를 삭제하면 리눅스 부팅이 안되는데

리눅스 부팅과정중에서 ip라는 명령어가 어떤 역활을 하는지 알수 있을까요??

기냥 ip관련 명령어인거같은데 부팅하고는 관계가 없는 명령어 인거같은데 있고 없고에 따라서 부팅이 되고 안되고 그래서

부팅시에 어떠한 용도로 쓰이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upstart job *.conf 파일에서도 사용하지 않고요...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

parkcy0113의 이미지

새로운 커널을 추가했는데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우분투 12.04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널을 공부해볼 목적으로 3.2버전의 커널을 받아서 추가로 설치하였구요
grub에 정상적으로 등록도 되었습니다.

문제는 grub화면에서 등록된 커널로 부팅하면 아무런 에러메세지 없이 보라색 화면이 가득하게 나오고 키가 먹통이 됩니다.
ctrl + alt + f1~ 쭉 눌러보고 아무키나 막 눌러봐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하지만 복구모드로 진입하여 아무런 설정없이 바로 노말모드로 부팅을 다시하면 성공적으로 부팅이 됩니다.

버전도 바꿔보고 커널을 제거하고 다시 설치하기만 6번째인데 마찬가지 입니다.
어느 부분에서 잘못되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가요?

제가 초기에 우분투에서 gdm을 잘못 건드리는바람에 부팅시 텍스트모드로 들어가서 lightdm을 직접 켜줘야 x환경으로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문제가 되는건가요? 부팅모드는 text모드입니다.

실력이 미천한지라 새벽까지 밤을새도 원인을 찾지 못하겠습니다.ㅜㅜ
어느 부분을 손봐야 할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nice7285의 이미지

아파치 서버에 접속시 http 404 에러가 뜹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아파치 서버를 설치해서 다른 컴에서 접속을 하는데 http 404에러가 발생해서 어떻게 조치를 해야할지 여쭤봅니다. ㅠㅠ

증상은 아래와 같아요.

kchdully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고3 1인개발자입니다. 제가 만든 질의시스템 어플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이제 고3 되는 1인 개발자입니다 ^^;

다름이아니라 제가 KLP연구를 진행중인데

진행중인 프로젝트를 응용해서 질의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습니다.

아래는 다운로드주소입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programmaster.hub

아래는 실행사진입니다.

다운로드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무료입니다.

shine1054의 이미지

리눅스 넷트웍 질문 드립니다.

네트웍 설정 질문 드립니다.

현재 리눅스 컴퓨터에 2개의 랜카드가 있습니다.

1번 랜카드는 공용 허브에 물려 있습니다 공용 허브에는 윈도우 pc1과 리눅스 pc가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 컴퓨터의 2번 랜카드에는 윈도우 PC2번이랑 다이렉트로 랜끼리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연결 상태에서 허브에 연결된 윈도우 PC1번에서 리눅스 컴퓨터에 다이렉트로 연결된 윈도우 PC2번으로 데이터를 날리거나 핑 확인이 가능하가요 ?

연결 도 그림 첨부 하였습니다.

dltkddyd의 이미지

USB 메모리에 OS 설치하기 문제

16기가바이트 usb 메모리에 fedora14를 설치하던 중에 에러가 뜹니다. 제품은 sandisk고요. 예전에는 동일한 제품으로 설치가 제대로 됐는데 이번에는 설치 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 창이 뜹니다.

There is an error installing the live image to your hard drive. This could be due to your media. Please verify your installation media.

usb 메모리에 문제가 있다는 건데. 이 문제가 OS인 리눅스의 문제인가요, usb의 문제인가요? 이 지금 교환받은 다른 제품이 바로 sandisk인데 이런 문제가 생깁니다. 참 난감한데요. 교환해주던 직원도 좀 거짓말 보테면서 교환해주지 않으려고 변호하는 모습 보면서 좀 짜증이 나기도 하고요. 그래도 OS의 문제가 아닌 것이 확실하다면 확실하게 주장해서 양보를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는데요. 요즘 usb 좀 허접한 제품들이 많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